이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분석도구로서의 '어린 백성들'의 개념) '어린 백성들'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가를 검토함으로써 이 연구의 목적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51094
2006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분석도구로서의 '어린 백성들'의 개념) '어린 백성들'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가를 검토함으로써 이 연구의 목적을...
이 연구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분석도구로서의 '어린 백성들'의 개념) '어린 백성들'의 개념을 어떻게 규정하는가를 검토함으로써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분석 도구로서의 유용성을 파악한다. 우선, "자신의 정책성향에 대한 인지 상태와 실제 투표 행태가 일치하지 않는 사람들"이라는 가치중립적인 개념으로서의 '어린 백성들'의 개념을 유권자들의 정책지향 의식 수준을 측정하는 지표로 쓸 수 있는 것인지, 문제점은 없는 것인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 다음, '어린 백성들'의 개념을 확장하여 "정책지향 투표"를 하지 않는 사람으로부터 "비합리적 투표를 하는 사람"으로 변화시키는 경우 분석도구로서의 유용성을 검토한다. 이 때에는 합리적 선택으로서의 투표행위를 경제적 합리성의 관점에서가 아니라 사회적 합리성의 관점에서 논의한다. 그 다음, '어린 백성들'의 개념의 범위를 어떻게 잡을 것인가는 이 연구의 연구(분석) 목적과 분석 도구로서의 조작가능성을 고려하여 결정한다.
2. ('어린 백성들 '의 비율 측정) '어린 백성들'의 비율과 성분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어린 백성들'의 정책성향을 측정하여야 한다. 이들의 정책성향은 정책성향을 나타내주는 설문 분석을 통하여 정책성향 척도들을 구성하고 이를 0-10점 척도로 변환시킨 후 유권자들을 정책성향 점수에 따라 세 집단으로 분류한다. 이 때 분류의 근거로는 응답자의 중앙화 경향을 완화시키기 위해 중앙을 중심으로 비례적으로 감소하는 삼각형 분포를 가정하여 계산한 S점수 산정방식에 따른다. 이 경우 단일척도가 가능한 것인지를 요인 분석을 통해 검토한다. 만약 하나의 척도로 유권자를 분류할 수 없다면, 정책성향을 나타내주는 다차원적인 여러 가지 척도를 함께 사용할 것을 검토한다.
3.(어린 백성들의 성분 분석 ) '어린 백성들'의 사회경제적 배경, 정치적 관심 및 투표의 효능감 등 설문 자료가 허용하는 범위 안에서 이들의 특성을 분석한다. 만약 다차원적 척도를 쓰는 경우 각각의 척도에 해당하는 '어린 백성들'의 성분을 분석하고 종합적인 판단을 내릴 것이다.
4.('어린 백성들'의 투표 왜곡 효과 분석) 어린 백성들이 선거 결과에 미친 영향에 대한 분석은 후보자들이 획득한 득표율의 차이와 어린 백성들의 비율과를 비교함으로써 이루어진다.
5.(어린 백성들의 비율, 성부, 투표결과에 미친 영향 등에 관한 비교분석) 어린 백성들의 비율이 어느 정도나 되는지를 여러 나라를 비교해 봄으로써 어린 백성들의 현상이 어느 범위에 걸쳐 있는 것인지를 찾아내고, 이들의 성분에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어린 백성들의 특성을 밝혀낸다. 또한 이들의 투표 왜곡 효과가 얼마나 나타나는지, 선거에서 어느 정도의 중요성을 가지는지에 관하여도 비교 분석한다. 또한 각 국의 ‘어린 백성들’의 비율은 유권자들의 정책지향 의식 수준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한다. 곧, ‘어린 백성들’의 비율은 각 국 유권자들의 정책지향 의식 수준을 비교하는 데 사용될 것이며, 이들의 성분 분석 결과는 그 원인을 밝히는 데 사용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