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낙동정맥 관리방안 연구 - 부산, 울산, 포항 인근을 대상으로 - = Management of the Nakdong-Jeongmaek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d Air - Focused on Busan, Ulsan, Pohang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958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낙동정맥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활용 확대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찬공기 생성과 흐름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낙동정맥의 중요한 찬공기 생성지역 보호 및 인근 도시로의 찬공기 ...

      본 연구는 낙동정맥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활용 확대하기 위해 낙동정맥의 찬공기 생성과 흐름에 대한 특징을 분석하고, 낙동정맥의 중요한 찬공기 생성지역 보호 및 인근 도시로의 찬공기 활용 극대화를 위한 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낙동정맥 인근에 위치한 부산 구덕산 일대, 울산 고헌산 일대, 포항 운주산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여 정맥의 지형적 특징 및 토지이용에 따른 찬공기 흐름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녹색 에어컨 기능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제시하였다. 부산 구덕산 일대는 정맥 경계에 인접한 지역에서의 고밀도 개발로 인해 생성된 찬공기가 충분히 발달하지 못하며, 시가지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향후 정맥 접경지역에 대한 개발 압력이 매우 커질 것으로 예상되므로, 정맥의 녹색서비스 기능 강화를 위해 높은 보전정책이 요구된다. 울산 고헌산 일대는 넓은 계곡에 위치한 농공단지와 산업단지에는 충분히 발달된 찬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고 있어 현재의 찬공기 유입을 유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필요하며, 넓고 평평한 지형으로 인해 향후 개발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보전이 반드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포항 운주산 일대는 복잡한 산악 및 계곡지형으로써 생성된 찬공기가 좁은 계곡을 통해 이동하면서 계곡 하단부로 갈수록 점차 발달하고 있으므로, 찬공기 생성지역 가까이에 위치한 계곡 지형을 활용해야 한다. 특히, 영천호 주변은 찬공기층이 가장 높으면서도 흐름이 가장 낮으므로 찬공기로 인한 피해를 예방하는 계획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낙동정맥의 체계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향후 녹색에어컨 기능산지의 양적 확대 및 보전을 위한 정맥관리 강화 등 산지의 녹색에어컨 기능을 확대하는 정책 마련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cold air production and its flow of Nakdong-Jeongmaek(mountain ranges), and to suggest management strategies for Nakdong-Jeongmaek in order to enhance the green air conditioning functions of Jeongmaek. For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cold air production and its flow of Nakdong-Jeongmaek(mountain ranges), and to suggest management strategies for Nakdong-Jeongmaek in order to enhance the green air conditioning functions of Jeongmaek. For this purpose, three study sites including Gudeoksan Mountain and the vicinity in Busan, Goheonsan Mountain and the vicinity in Ulsan, and Unjusan Mountain and the vicinity in Pohang were selected. The results found that cold air flow and its height of the three study sites were analyzed based on topographic properties and land use. Management strategies for preserving and enhancing their temperature reduction functions were suggested. The cold air produced in the vicinity of Gudeoksan was not fully developed and spread because of the high-density development at the border of Jeongmaek. Since high pressures of development are expected at the border, high conservation policies are required. In the vicinity of Goheonsan, where the agricultural complex and industrial park are located, cold air flows well throughout the entire study site thanks to fully developed cold air in the wide, flat valley. Hence, plans to maintain the current cold air flow are required, and conservation plans to mitigate future developments are also needed in the flat valley. The cold air in Unjusan and the vicinity with its complex and narrow mountain valleys gradually develops into valley bottoms.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terrain, the valley near the cold air production areas are preserved. In particular, special plans are required to prevent damage to the cold air layer near Youngcheonho Lake, where the highest height of cold air was recorded due to the closed and lower terrain feature. This study could support the establishment of systematic management plans of Nakdong-Jeongmaek to preserve and enhance its green air conditioning func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진일, "적외선 영상 복사계를 이용한 산간집수역의 찬공기 배수와 온난대 형성 관측"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79-86, 2011

      2 백상훈, "위성영상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미기후변화 분석 -대구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34-43, 2009

      3 엄정희, "용산미군기지 지역의 기후정보구축 및 계획적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185-198, 2010

      4 박명희, "야간 냉각율을 이용한 우포늪의 기온변화 완화효과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20 (20): 309-319, 2011

      5 이순환, "도시화에 의한 야간 대기 냉각율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4 (24): 83-90, 2008

      6 이강국, "도시 열환경 유형 분석 및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53-260, 2008

      7 김금지, "녹화 유형에 따른 도시열환경 형성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229-236, 2011

      8 송봉근,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14-127, 2010

      9 이채연, "고밀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이동 분석 - 서울 은평구 뉴타운 사례"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24-137, 2012

      10 김만규, "경기북부 지역에서 도시화에 의한 대기 냉각 특성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9 (9): 107-124, 2014

      1 윤진일, "적외선 영상 복사계를 이용한 산간집수역의 찬공기 배수와 온난대 형성 관측" 한국농림기상학회 13 (13): 79-86, 2011

      2 백상훈, "위성영상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미기후변화 분석 -대구시 달서구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2 (12): 34-43, 2009

      3 엄정희, "용산미군기지 지역의 기후정보구축 및 계획적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45 (45): 185-198, 2010

      4 박명희, "야간 냉각율을 이용한 우포늪의 기온변화 완화효과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20 (20): 309-319, 2011

      5 이순환, "도시화에 의한 야간 대기 냉각율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대기환경학회 24 (24): 83-90, 2008

      6 이강국, "도시 열환경 유형 분석 및 완화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4 (24): 253-260, 2008

      7 김금지, "녹화 유형에 따른 도시열환경 형성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7 (27): 229-236, 2011

      8 송봉근, "기후생태적 기능을 고려한 찬공기 생성지역 분석 -창원시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3 (13): 114-127, 2010

      9 이채연, "고밀도 관측자료를 이용한 야간 지면냉각과 찬공기 이동 분석 - 서울 은평구 뉴타운 사례" 한국지리정보학회 15 (15): 124-137, 2012

      10 김만규, "경기북부 지역에서 도시화에 의한 대기 냉각 특성에 관한 연구" 기후연구소 9 (9): 107-124, 2014

      11 안승만, "거칠기길이를 이용한 바람통로 네트워크 구축" 한국조경학회 43 (43): 101-113, 2015

      12 Korea Forest Service, "The First Basic Plan for Forest-land Management" 96-, 2012

      13 Schädler, G, "Simulation of nocturnal drainage flows on personal computers" 3 : 167-171, 1994

      14 Hwang, K. H., "Shim(2001b)Characteristics of nocturnal atmospheric cooling on a mountain slope" 2001 (2001): 68-71, 2001

      15 류지원, "KLAM_21을 활용한 바람생성기능 평가분석 연구 -대구시를 대상으로-" 한국지리정보학회 11 (11): 85-92, 2008

      16 Eum, J. H, "Integration of Climate Information into Spatial Planning in Seoul, South Korea" TU Berlin 2008

      17 Eum, J. H., "Establishing the urban climate information and its applications for spatial planning in Yongsan garrison" 36 (36): 231-241, 2001

      18 윤성환, "E-GIS 데이타베이스를 활용한 도시녹화의 열환경 개선효과 정량화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6 (26): 357-364, 2010

      19 Eum, J. H., "Development of an urban landcover classification scheme suitable for representing climatic conditions in a densely built-up Asian megacity" 103 (103): 362-371, 2011

      20 Hwang, K. H., "Characteristics of the lower boundary layer during frost nights" 2001 (2001): 65-67, 200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4 0.74 0.7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6 0.74 1.02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