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san (鴻山) battle was a combat which General Choi Young (崔瑩) defeated Japanese pirates (倭寇) who invaded Geum River (錦江) basin at the Hongsan region in July 1376 (2nd year of King Woo, 禑王),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great mil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57203
2016
Korean
鴻山 ; 大捷 ; 崔瑩 ; 倭寇 ; 戰場 ; 胎峰山城 ; 飛鴻山 ; Hongsan ; Sweeping Victory ; Choi Young ; Japanese Pirates ; Battlefield ; Taebong MountainFortress ; Bihong Mountain
KCI등재
학술저널
75-103(29쪽)
0
학회 요청에 의해 무료로 제공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Hongsan (鴻山) battle was a combat which General Choi Young (崔瑩) defeated Japanese pirates (倭寇) who invaded Geum River (錦江) basin at the Hongsan region in July 1376 (2nd year of King Woo, 禑王),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great mili...
Hongsan (鴻山) battle was a combat which General Choi Young (崔瑩) defeated Japanese pirates (倭寇) who invaded Geum River (錦江) basin at the Hongsan region in July 1376 (2nd year of King Woo, 禑王),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great military victories over the course of 40-year fight against Japanese Pirates. The battle is worthy of special mention and is also assessed as a ‘Sweeping Victory (大捷).’This study briefly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process of development happened in Hongsan Battle and reviewes wether the battle could be really assessed as a ‘Sweeping Victory’ or not and wether the Taebong Mountain Fortress (胎峰山城) could be considered as valid battlefield.
This study pointed out that Hongsan Battle somewhat falls short of being assessed as a Sweeping Victory (大捷) in that not only the scale of military force mobilized and military accomplishments gained during the battle are unclear but also the battle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effects on the features of the war even after the battle. And yet, the study evaluated that Hongsan Battle still holds significant historical meaning of its own in that it lived up to desperate requirements of the time to a certain degree even though it did not make accomplishments enough to satisfy expectations.
The study then examined if the recognition that the battlefield of Hongsan was Taebong Mountain Fortress is correct. This recognition was the result of establishment of Hongsan Memorial Stone (鴻山大捷碑) in the process of designating Taebong Mountain Fortress as one of the remains of historical national protection in the late 1970s, which was a hasty outcome without the support of documentary records or excavation survey. Thus, careful comparison of geographical conditions with historical records of Hongsan Battle reveals considerable discrepancies. Although it is very difficult to assert any specific region as the battlefield of Hongsan Battle given the lack of related data available, as the result of assumption based on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which appeared in the historical data, there is high possibility that the battlefield was actually valleys around Bihong Mountain(飛鴻山).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金陵直指寺·黃山대첩비등 올해안에 文化財115件補修"
2 李領, "홍산·진포·황산 대첩의 역사지리학적 고찰" 15 : 7-13, 2000
3 이성규,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下)" 창작과비평사 270-272, 1994
4 李鉉淙, "한국사 8" 國史編纂委員會 1974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97-, 1991
6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4고려Ⅱ" 경인문화사 266-, 2012
7 이영,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와 고려 말 왜구―동아시아의 파이렛츠(PIRATES)와 코르세어(CORSAIRS)―" 혜안 2013
8 이영, "잊혀진 전쟁왜구―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피스테메 2007
9 이정란, "왜구의 충청 지역 침구의 시기별 추이와 고려의 대응" 수선사학회 (52) : 143-173, 2015
10 이영, "왜구의 단계별 침구 양상과 고려의 대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81-212, 2012
1 "金陵直指寺·黃山대첩비등 올해안에 文化財115件補修"
2 李領, "홍산·진포·황산 대첩의 역사지리학적 고찰" 15 : 7-13, 2000
3 이성규,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下)" 창작과비평사 270-272, 1994
4 李鉉淙, "한국사 8" 國史編纂委員會 1974
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97-, 1991
6 육군본부 군사연구소, "한국군사사4고려Ⅱ" 경인문화사 266-, 2012
7 이영, "팍스 몽골리카의 동요와 고려 말 왜구―동아시아의 파이렛츠(PIRATES)와 코르세어(CORSAIRS)―" 혜안 2013
8 이영, "잊혀진 전쟁왜구―그 역사의 현장을 찾아서―" 에피스테메 2007
9 이정란, "왜구의 충청 지역 침구의 시기별 추이와 고려의 대응" 수선사학회 (52) : 143-173, 2015
10 이영, "왜구의 단계별 침구 양상과 고려의 대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181-212, 2012
11 이영, "왜구와 고려·일본 관계사" 혜안 2011
12 김보한, "왜구·위사 문제와 한일관계" 景仁文化社 2005
13 부여군, "비홍산의 품자락" 부여군 2008
14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문화재연구팀, "부여 홍산 태봉산성 문화유적 시굴조사 부여남부순환도로 개설사업부지내 문화유적 시굴조사"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9-85, 2009
15 백은영, "문헌설화와 구비전승에 나타난 고려의 기억 -문화적 기억 속의 최영(崔瑩)장군" 한국중세사학회 (23) : 91-125, 2007
16 김보한, "고려・조선의 對일본 외교와 왜구–13~15세기 금구(禁寇) 외교와 그 성과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47) : 3-34, 2014
17 이재범, "고려후기 왜구와 해양방어대책" 13 : 2010
18 이재범, "고려말 조선전기의 왜구와 사천"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58) : 147-176, 2006
19 윤용혁, "고려 말의 왜구와 서산 부석사" 호서사학회 (69) : 265-289, 2014
20 허인욱, "고려 말 왜구의 전북지역 침입 연구 - 全州를 중심으로 -" 전북사학회 (46) : 93-120, 2015
21 朴宗基, "고려 말 왜구와 지방사회" 한국중세사학회 (24) : 173-207, 2008
22 정영현, "고려 禑王代 倭寇의 동향과 성격 변화" 효원사학회 33 : 157-202, 2008
23 閔賢九, "高麗軍制史" 陸軍本部 1983
24 羅鐘宇, "高麗末期의 麗·日關係―倭寇를 中心으로―" 4 : 1980
25 孫弘烈, "高麗末期의 倭寇" 9 : 1975
26 韓容根, "高麗末倭寇에 對한 小考" 6·7·8 : 1980
27 車勇杰, "高麗末倭寇防守策으로서의 鎭戍과 築城" 38 : 1984
28 金庠基, "高麗時代史" 東國文化社 769-, 1961
29 김혜원, "高麗後期 瀋王 硏究"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9
30 "高麗史節要"
31 "高麗史"
32 이재준, "高麗 末 金成雨 부대의 왜구토벌에 관한 군사학적인 검토"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0) : 35-66, 2011
33 羅鐘宇, "韓國中世對日交涉史硏究" 圓光大學校出版局 1996
34 김갑동, "開泰寺의 創建과 그 動向" 백산학회 (83) : 365-389, 2009
35 方相鉉, "朝鮮前期水軍制度" 民族文化社 1993
36 靑山公亮, "日麗交涉史の硏究" 明治大學文學部文學硏究所 1955
37 中村榮孝, "日鮮關係史の硏究上" 吉川弘文館 1965
38 "新增東國輿地勝覽 권19, 忠淸道鴻山縣"
39 鄭基永, "文化財補修三個年事業推進現況(槪報)―1977년~1979년―" 13 : 109-, 1980
40 "文公部의 올해 施策방향"
41 "扶餘郡誌" 扶餘郡誌編纂委員會 1964
42 "扶餘郡誌" 扶餘郡誌編纂委員會 1234-, 1987
43 "忠淸南道誌 上·下" 忠淸南道誌編纂委員會 1963
44 "忠淸南道誌 上·下" 忠淸南道誌編纂委員會 1979
45 충청남도역사문화원 충청학연구부, "忠淸南道誌 5" 충청남도지편찬위원회 287-, 2006
46 申奭鎬, "國史上의 諸問題 3" 國史編纂委員會 1959
47 崔炳鈺, "倭寇討伐史" 國防軍史硏究所 1993
48 李領, "倭寇と日麗關係史" 東京大學出版會 1999
49 川添昭二, "九州の中世社會" 海島社 1997
50 田中健夫, "中世海外交涉史の硏究" 東京大學出版會 1959
51 田村洋幸, "中世日朝貿易の硏究" 三和書房 1967
52 "世宗實錄 권149"
53 村井章介, "アジアのなかの中世日本" 校倉書房 1988
54 이태훈, "<삼도왜구>의 <삼도>에 대한 이영 說의 재검토" 한일관계사학회 (43) : 349-389, 2012
55 金琪燮, "14세기 倭寇의 동향과 고려의 대응" 9 : 1997
56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상)" 168-, 1996
전투력 요소로 본 이순신의 전투준비태세와 초기전투 승리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7-10-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Institute, MND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6-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military histor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6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6 | 1.024 | 0.3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