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화랑의 정신사적 접근 = Spiritual History Approach of Hwa-r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46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Hwa-ra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angun Legend. The Hwa-rang code is recognized as a unique idea of Korea. However, its essence has not been define due to the lack of specimens. That is why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Hwa-rang co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angun Legend. The Dangun Legend is a myth that symbolically expresses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Koreans. Therefor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Dangun Legend may have partially been reflected in the Hwa-rang code. Hence, this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while tracking the origin of the Hwa-rang code, its correlation with the Dangun Legend was discussed. It was stated that the Hwa-rang code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Won-hwa prior to Hwa-rang. It was revealed that if Won-hwa was based on a unique religious system of Korea, then the Hwa-rang code was a system of ideas that included the Three Teaching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based on the unique religious system of Korea.
      Afterwards, the relationship of the spirit of the Hwa-rang code and the Dangun Legend was discussed. The spirit of the Hwa-rang code was understood as the integration of Poong-ryu-do and the Three Teachings. Poong-ryu-do was discussed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 Dangun Legend, and that its spirit included inclusiveness and jeob-hwa-gun-saeng. It was further discussed that such spirit of poong-ryu-do can include foreign ideas.
      Lastly, it was discussed how poong-ryu-do and the Three Teachings were integrated in the training method of the Hwa-rang code. It was explained that the training method of the Hwa-rang code included traveling the great mountains and rivers of the country to train, learning music and dance, and training in ethics and morals. While the first two training methods were on the appreciation of the arts, training in ethics was based on foreign ideas. It was discussed that the Hwa-rang combined the two types for training.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Hwa-ra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angun Legend. The Hwa-rang code is recognized as a unique idea of Korea. However, its essence has not been define due to the lack of specimens. That is why this study attemp...

      This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the Hwa-ra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angun Legend. The Hwa-rang code is recognized as a unique idea of Korea. However, its essence has not been define due to the lack of specimens. That is why this study attempted to approach the Hwa-rang co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angun Legend. The Dangun Legend is a myth that symbolically expresses the emotions and thoughts of Koreans. Therefore, the symbolic meaning of the Dangun Legend may have partially been reflected in the Hwa-rang code. Hence, this study discussed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while tracking the origin of the Hwa-rang code, its correlation with the Dangun Legend was discussed. It was stated that the Hwa-rang code should be differentiated from Won-hwa prior to Hwa-rang. It was revealed that if Won-hwa was based on a unique religious system of Korea, then the Hwa-rang code was a system of ideas that included the Three Teachings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based on the unique religious system of Korea.
      Afterwards, the relationship of the spirit of the Hwa-rang code and the Dangun Legend was discussed. The spirit of the Hwa-rang code was understood as the integration of Poong-ryu-do and the Three Teachings. Poong-ryu-do was discussed within the relationship of the Dangun Legend, and that its spirit included inclusiveness and jeob-hwa-gun-saeng. It was further discussed that such spirit of poong-ryu-do can include foreign ideas.
      Lastly, it was discussed how poong-ryu-do and the Three Teachings were integrated in the training method of the Hwa-rang code. It was explained that the training method of the Hwa-rang code included traveling the great mountains and rivers of the country to train, learning music and dance, and training in ethics and morals. While the first two training methods were on the appreciation of the arts, training in ethics was based on foreign ideas. It was discussed that the Hwa-rang combined the two types for trai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논문에서는 화랑문화를 단군신화에서 재해석하였다. 화랑도는 한국의 고유 사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그 실체를 분명하게 드러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화랑에 대해 정신사적 접근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인의 근원적인 경험과 사유는 단군신화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그래서 단군신화의 상징체계는 화랑도에도 투영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단군신화에서 화랑에 접근해 보았다.
      우선, 화랑의 기원을 단군신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화랑도는 화랑도 제정 이전의 원화제와는 분명히 구별된다. 원화제가 한국의 고유한 신앙에만 기반을 두었다면, 화랑도는 고유한 신앙체제와 삼교 (유교. 불교. 도교)가 융합되어진 제도이자 사상임을 논하였다.
      그 다음, 화랑도의 정신과 단군신화의 관계성을 논하였다. 최치원의 『낙랑비서문』에서는 풍류를 화랑의 정신으로 이해한다. 풍류도의 기원은 단군신화의 한사상과 홍익인간과 연결된다. 이뿐만 아니라 풍류도의 포용성과 ‘접화군생’은 단군신화의 한사유와 지향성이 반영되어 있다. 그래서 풍류도는 외래 사상을 한국적인 상황에서 해석한 문화주체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화랑도의 수련방식에서 풍류도와 삼교가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논의하였다. 화랑도의 수련방식에는 명산대천을 거닐면서 수련하는 방법과 음악과 춤을 수련하는 방법 그리고 도덕을 연마하는 수련 방식이 있다. 앞의 두 수련방식은 풍류적인 수련방식이라면 도덕 연마는 외래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화랑은 이 두 유형을 통합하면서 수련하였음을 논하였다.
      번역하기

      논문에서는 화랑문화를 단군신화에서 재해석하였다. 화랑도는 한국의 고유 사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그 실체를 분명하게 드러내지 못하였다....

      논문에서는 화랑문화를 단군신화에서 재해석하였다. 화랑도는 한국의 고유 사상으로 이해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에서는 사료의 부족으로 인해 그 실체를 분명하게 드러내지 못하였다. 그래서 화랑에 대해 정신사적 접근을 시도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인의 근원적인 경험과 사유는 단군신화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그래서 단군신화의 상징체계는 화랑도에도 투영되어 있을 수 있다. 그래서 단군신화에서 화랑에 접근해 보았다.
      우선, 화랑의 기원을 단군신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화랑도는 화랑도 제정 이전의 원화제와는 분명히 구별된다. 원화제가 한국의 고유한 신앙에만 기반을 두었다면, 화랑도는 고유한 신앙체제와 삼교 (유교. 불교. 도교)가 융합되어진 제도이자 사상임을 논하였다.
      그 다음, 화랑도의 정신과 단군신화의 관계성을 논하였다. 최치원의 『낙랑비서문』에서는 풍류를 화랑의 정신으로 이해한다. 풍류도의 기원은 단군신화의 한사상과 홍익인간과 연결된다. 이뿐만 아니라 풍류도의 포용성과 ‘접화군생’은 단군신화의 한사유와 지향성이 반영되어 있다. 그래서 풍류도는 외래 사상을 한국적인 상황에서 해석한 문화주체임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화랑도의 수련방식에서 풍류도와 삼교가 어떻게 융합되는지를 논의하였다. 화랑도의 수련방식에는 명산대천을 거닐면서 수련하는 방법과 음악과 춤을 수련하는 방법 그리고 도덕을 연마하는 수련 방식이 있다. 앞의 두 수련방식은 풍류적인 수련방식이라면 도덕 연마는 외래사상에 기초하고 있다. 화랑은 이 두 유형을 통합하면서 수련하였음을 논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호상, "환웅과 단군과 화랑" 사림원 180-181, 1985

      2 김범부, "화랑외사" 이문출판사 1981

      3 박승길, "화랑문화의재조명" 신라문화선양회 1989

      4 김충렬, "화랑문화의 신연구" 한국향토사연구 전국협의회 1995

      5 한국철학회, "한국철학사" 동명사 1987

      6 김영두, "한국문화사대계 Ⅱ: 정치경제사상사(상)"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9

      7 이병도, "한국고대사회와 그 문화" 서문당 1973

      8 신운용, "최치원 사상의 종착점과 ‘풍류’의 발현" 국학연구원 14 : 177-217, 2013

      9 이춘희, "최문창후전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5

      10 三品彰英, "신라화랑의 연구" 집문당 1995

      1 안호상, "환웅과 단군과 화랑" 사림원 180-181, 1985

      2 김범부, "화랑외사" 이문출판사 1981

      3 박승길, "화랑문화의재조명" 신라문화선양회 1989

      4 김충렬, "화랑문화의 신연구" 한국향토사연구 전국협의회 1995

      5 한국철학회, "한국철학사" 동명사 1987

      6 김영두, "한국문화사대계 Ⅱ: 정치경제사상사(상)"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79

      7 이병도, "한국고대사회와 그 문화" 서문당 1973

      8 신운용, "최치원 사상의 종착점과 ‘풍류’의 발현" 국학연구원 14 : 177-217, 2013

      9 이춘희, "최문창후전집"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05

      10 三品彰英, "신라화랑의 연구" 집문당 1995

      11 김정배, "소도의 정치사적 의미" 역사학회 79 : 1978

      12 "삼국지"

      13 "삼국유사"

      14 "삼국사기"

      15 단재신채호전집간행위원회, "단재신채호전집(상권)" 형설출판사 1982

      16 권상우, "단군문화로의 회귀-檀君神話, 風流道, 巫俗의 세속화 전개과정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55) : 3-32, 2013

      17 "단군고기"

      18 최영성, "고운 최치원의 철학" 문사철 2009

      19 민영현, "風流道와 孤雲 崔致遠의 東人의식" 국학연구원 10 : 61-99, 2011

      20 金炯孝, "韓國思想散考" 일지사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5 0.5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7 0.97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