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까시잎혹파리,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연간 밀도변동과 아까시나무 수관 내 분포 = Seasonal Fluctuation and Distribution of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Within Crown of Robinia pseudoacacia (Fabace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124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Locust gall midge (LGM),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ptera: Cecidomyiidae), is a cecidomyiid insect forming roll-up galls on leaves of Robinia pseudoacacia Linnaeus (Fabaceae). LGM, known as native to North America, was reported from Korea and Japan in 2002. LGM was observed weekly or biweekly to clarify their voltinism and distribution within the crown of the host tree in two sites of Osan and Siheung in Korea from May to August, 2007. Density of LGM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number of larvae per leaf. Two generations of LGM were observed in Siheung site whereas three generations in Osan site during the present study. The result indicated that LGM had at maximum three generations per year. The density of LGM in Osan was higher in the upper crown of the host trees than middle or lower part. In Siheung, LGMs were distributed more on the exterior of the lower crown than the interior. The average number of larvae per gall was $3.3{\pm}0.1$ and $2.8{\pm}0.1$ individuals per leaf in Osan and Siheung, respectively.
      번역하기

      Locust gall midge (LGM),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ptera: Cecidomyiidae), is a cecidomyiid insect forming roll-up galls on leaves of Robinia pseudoacacia Linnaeus (Fabaceae). LGM, known as native to North America, was reported from Korea an...

      Locust gall midge (LGM),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ptera: Cecidomyiidae), is a cecidomyiid insect forming roll-up galls on leaves of Robinia pseudoacacia Linnaeus (Fabaceae). LGM, known as native to North America, was reported from Korea and Japan in 2002. LGM was observed weekly or biweekly to clarify their voltinism and distribution within the crown of the host tree in two sites of Osan and Siheung in Korea from May to August, 2007. Density of LGM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number of larvae per leaf. Two generations of LGM were observed in Siheung site whereas three generations in Osan site during the present study. The result indicated that LGM had at maximum three generations per year. The density of LGM in Osan was higher in the upper crown of the host trees than middle or lower part. In Siheung, LGMs were distributed more on the exterior of the lower crown than the interior. The average number of larvae per gall was $3.3{\pm}0.1$ and $2.8{\pm}0.1$ individuals per leaf in Osan and Siheung, respective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Haldeman))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innaeus(Fabaceae)) 잎 가장자리에 혹을 형성하는 혹파리과 해충으로 북미대륙 동부가 원산으로 국내와 일본에 2002년 유입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아까시잎혹파리의 계절별 밀도변동과 수관 내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밀도조사는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과 시흥시 대야동의 아까시숲에서 5월부터 8월까지 조사되었으며 아까시잎혹파리 밀도는 잎당 유충수를 기준으로 추정되었다. 아까시잎혹파리 세대 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 오산에서는 3세대, 시흥에서는 2세대가 관찰되어 국내에서는 최대 3세대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산지역 아까시나무내 아까시잎혹파리 유충 밀도분포는 수관 상부가 수관 중간 부분과 하부보다 높았다. 시흥지역 아까시나무의 수관 하부 바깥쪽 밀도가 안쪽보다 높았다. 아까시잎혹파리의 혹 당 유충수는 오산, 시흥에서 각각 $3.3{\pm}0.1$, $2.8{\pm}0.1$ 마리였다.
      번역하기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Haldeman))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innaeus(Fabaceae)) 잎 가장자리에 혹을 형성하는 혹파리과 해충으로 북미대륙 동부가 원산으로 국내와 일본에 2002년 유...

      아까시잎혹파리(Obolodiplosis robiniae(Haldeman))는 아까시나무(Robinia pseudoacacia Linnaeus(Fabaceae)) 잎 가장자리에 혹을 형성하는 혹파리과 해충으로 북미대륙 동부가 원산으로 국내와 일본에 2002년 유입되었음이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아까시잎혹파리의 계절별 밀도변동과 수관 내 분포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밀도조사는 경기도 오산시 수청동과 시흥시 대야동의 아까시숲에서 5월부터 8월까지 조사되었으며 아까시잎혹파리 밀도는 잎당 유충수를 기준으로 추정되었다. 아까시잎혹파리 세대 수는 지역별로 차이가 있어, 오산에서는 3세대, 시흥에서는 2세대가 관찰되어 국내에서는 최대 3세대가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오산지역 아까시나무내 아까시잎혹파리 유충 밀도분포는 수관 상부가 수관 중간 부분과 하부보다 높았다. 시흥지역 아까시나무의 수관 하부 바깥쪽 밀도가 안쪽보다 높았다. 아까시잎혹파리의 혹 당 유충수는 오산, 시흥에서 각각 $3.3{\pm}0.1$, $2.8{\pm}0.1$ 마리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우건석, "외래종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1987) (아까시잎혹파리: 신칭)의 발생에 관한 보고" 한국응용곤충학회 42 (42): 77-79, 2003

      2 Sheppard,A.W., "Top 20 environmental weeds for classical biological control in Europe: a review of opportunities, regulations and other barriers to adoption" 46 : 93-117, 2006

      3 Skuhravá, M., "The invasive spread of the gall midge Obolodiplosis robiniae in Europe" 22 : 84-89, 2007

      4 Tóth, P., "The distribution of Obolodiplosis robiniae on black locust in Slovakia" 82 : 61-66, 2009

      5 Kodoi, F., "Occurrence of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in Japan and Korea" 43 : 35-41, 2003

      6 Mihajlović, L.,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ptera, Cecidomyidae) - A new invasive insect pest on locust in Serbia" 97 : 197-208, 2008

      7 Barnes,H.F, "Gall midges of economic importance, Gall midges of trees"

      8 Wermelinger, B, "First recode of the gall midge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ptera, Cecidomyidae) and its associated parasitoid Platygaster robiniae Buhl and Duso (Hymenoptera: Platygastridae) in Switzerland" 80 : 217-221, 2007

      9 Duso, C., "Diffusione in Italia e in Europa di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ttero cecidomiide neartico dannoso a Robinia pseudoacacia" 55 : 30-33, 2005

      10 Pernek, M, "Black locust gall midge (Obolodiplosis robiniae), New pest on black locust tree and first record of parasitoid Platygaster robinae in Croatia" CXXXIII : 157-163, 2009

      1 우건석, "외래종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1987) (아까시잎혹파리: 신칭)의 발생에 관한 보고" 한국응용곤충학회 42 (42): 77-79, 2003

      2 Sheppard,A.W., "Top 20 environmental weeds for classical biological control in Europe: a review of opportunities, regulations and other barriers to adoption" 46 : 93-117, 2006

      3 Skuhravá, M., "The invasive spread of the gall midge Obolodiplosis robiniae in Europe" 22 : 84-89, 2007

      4 Tóth, P., "The distribution of Obolodiplosis robiniae on black locust in Slovakia" 82 : 61-66, 2009

      5 Kodoi, F., "Occurrence of Obolodiplosis robiniae (Diptera: Cecidomyiidae) in Japan and Korea" 43 : 35-41, 2003

      6 Mihajlović, L.,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ptera, Cecidomyidae) - A new invasive insect pest on locust in Serbia" 97 : 197-208, 2008

      7 Barnes,H.F, "Gall midges of economic importance, Gall midges of trees"

      8 Wermelinger, B, "First recode of the gall midge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ptera, Cecidomyidae) and its associated parasitoid Platygaster robiniae Buhl and Duso (Hymenoptera: Platygastridae) in Switzerland" 80 : 217-221, 2007

      9 Duso, C., "Diffusione in Italia e in Europa di Obolodiplosis robiniae (Haldeman), dittero cecidomiide neartico dannoso a Robinia pseudoacacia" 55 : 30-33, 2005

      10 Pernek, M, "Black locust gall midge (Obolodiplosis robiniae), New pest on black locust tree and first record of parasitoid Platygaster robinae in Croatia" CXXXIII : 157-163, 2009

      11 Zar,J.H, "Biostatistical analysis. 4th ed"

      12 Choi, K.S, "An illustrated new forest pest book"

      13 Glavendekić, M, "An ALARM Case study: The Rapid Colonization of an Introduced Tree, Black Locust by an Invasive North-American Midge and Its Parasitoid In: Atlas of Biodiversity Risk" Pensoft 24-25, 2009

      14 Pellizzari, G., "Alien insect and mite pests introduced to Italy in sixty years (1945–2004)" Humbolt University 9-11, 2005

      15 SAS institute, "2004. SAS user’s guide"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3 0.23 0.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2 0.31 0.41 0.0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