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서사학과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고 내러티브를 활용한 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분석학은 2가지 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105483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3-130(28쪽)
1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과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고 내러티브를 활용한 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분석학은 2가지 측...
본 논문에서는 서사학과 내러티브의 관점에서 정신분석학을 연구하고 내러티브를 활용한 치료의 가능성을 살펴보려고 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분석학은 2가지 측면에서 내러티브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정신분석 활동은 형식적으로 정신분석가와 환자 사이에서 내러티브를 통해 이루어진다. 둘째, 치료적 내용에서 보아 정신분석은 내러티브를 통해 진단하고 치료한다. 프로이트도 자신의 치료행위가 내러티브의 성격을 지닌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런데 내러티브에 관한 학문은 서사학이다. 그래서 서사학의 관점에서 내러티브를 잘 분석할 수 있고, 이른 통해 정신분석학에도 잘 접근할 수 있다. 서사학이 성립하기 이전에 서사학을 의식하지 않고 이루어졌던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활동을 서사학의 입장에서 살펴보면 생산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프로이트의 『히스테리 연구』에서 우리는 거기에 이미 내러티브가 치유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찾을 수 있고, 내러티브 치료의 2가지 방향인 감성적 내러티브 치료와 인지적 내러티브가 들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프로이트의 엠마 치료 사례를 통해서는 정신분석이 내러티브 치료일 수 있는 이유를 잘 확인할 수 있었다. 환자가 진술한 내러티브에서 스토리의 틈새를 찾아 이를 메울 새로운 내러티브를 자유연상을 통해 발굴하고 이로써 내러티브의 틈새를 연결하여 완전한 내러티브를 재구성하는 내러티브 활동임을 확인하였다. 이때 스토리의 단절과 스토리의 잘못된 디스코스(discourse), 그리고 스토리의 오접속과 착종이 심리적 문제의 원인임을 확인하였고, 이 심리적 문제의 해결에서는 스토리의 요소와 디스코스의 요소들을 치유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psycho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and narratology, and to discuss about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sycho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psycho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and narratology, and to discuss about the possibilities of narrative therapy. The resul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The psychoanalysis is closely related to the narrative in two aspects. Firstly, psychoanalyst and patient in psychoanalysis give and take their narratives each other. Secondly, in view of treatment, psychoanalyst can assess and treat his patient by means of therapeutic narratives. Sigmund Freud recognized that his psychoanalysis has the character of narrative. We can explore narratives, and make an approach the psychoanalysis efficiently in view of the narratology, because the narratology is the study of narratives. The paper points out two aspects of narrative therapy, the emotional aspects and the cognitive aspects in Freud`s Studies on Histeria. In cognitive narrative therapy, psychoanalyst should find out the disconnections of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and, try to draw the stories for establishing a connection among them. Narrative therapy can be accomplished by the complete association of the stories in patient`s narratives. In this regard, the most valuable points are to make use of the components of story and discourse in narrative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서영, "프로이트의 환자들" 웅진씽크빅 2010
2 막스 밀네르, "프로이트와 문학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7
3 정운채, "프랭스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17 : 191-206, 2010
4 박찬부, "정신분석학과 서사(narrative)의 문제" 한국비평학회 1 : 1996
5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탄생" 열린책들 2005
6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7 김춘경, "이야기로 치유하기" 학지사 2011
8 이민용, "이야기 해석학과 이야기 치료" 한국헤세학회 (23) : 249-273, 2010
9 양유성, "이야기 치료" 학지사 2004
10 도리스 브렛, "은유적 이야기치료" 여문각 2009
1 김서영, "프로이트의 환자들" 웅진씽크빅 2010
2 막스 밀네르, "프로이트와 문학의 이해" 문학과지성사 1997
3 정운채, "프랭스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17 : 191-206, 2010
4 박찬부, "정신분석학과 서사(narrative)의 문제" 한국비평학회 1 : 1996
5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탄생" 열린책들 2005
6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론" 푸른사상 2003
7 김춘경, "이야기로 치유하기" 학지사 2011
8 이민용, "이야기 해석학과 이야기 치료" 한국헤세학회 (23) : 249-273, 2010
9 양유성, "이야기 치료" 학지사 2004
10 도리스 브렛, "은유적 이야기치료" 여문각 2009
11 미산, "어떻게 움직이는가" 운주사 2009
12 우찬제, "서사학 강의" 문학과지성사 2010
13 한일섭, "서사의 이론 : 이야기와 서술" 한국문화사 2009
14 이민용, "서사 스토리의 핵심 요소와 스토리텔링 치료 - 강박증 치료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한국독일언어문학회 (52) : 115-134, 2011
15 이민용, "서사 담화와 스토리텔링 치료 - 강박증 치료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국뷔히너학회 36 : 281-302, 2011
16 이민용, "불안공포 신경증과 이야기치료의 정신분석학적 근거" 한국뷔히너학회 38 : 153-175, 2012
17 이창재, "병리적 정신현상의 원인론과 극복론: 사후작용" 한국현상학회 15 : 2000
18 정운채, "리몬케넌의 서사이론과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한국문학치료학회 18 : 273-289, 2011
19 패트릭 오닐 저, "담화의 허구" 예림기획 2004
20 박찬부, "내러티브의 위기와 전이의 문제" 한국영어영문학회 40 : 1994
21 Breuer, Josef,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Volume II"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Analysis 1957
22 Chatman, Seymour, "Story and Discourse, Narrative Structure in Fiction and Film" Cornell University Press 1978
23 Martin, Wallace, "Recent Theories of Narrativ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6
24 Brooks, Peter, "Reading for the Plot. Design and Intention in Narrative"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25 Brooks, Peter, "Psychoanalysis and Storytelling" Blackwell 1994
26 Freud, Sigmund, "Project for a scientific psychologie, Volume I" The Hogarth Press and The Institute of Psycho-Analysis 1966
27 Petzold, Hilarion G, "Poesie und Therapie. Über die Heilkraft der Sprache" Aisthesis Verlag 2005
28 White, Michael, "Narrative means to Therapeutic Ends" Dulwich Centre Publications 2004
29 Spence, Donald P, "Narrative Truth and Historical Truth" W. W. Norton 1982
30 Payne, Martin, "Narrative Therapy" SAGE Publication Ltd 2006
31 White, Michael, "Maps of Narrative Practice" W.W. Norton Publication 2007
32 Barthes, Roland, "An Introduction to Structual Analysis of Narrative" 6 (6): 1975
영화 <토르>와 <쿵푸팬더2>에 나타난 서사발생지점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8 | 0.48 | 0.5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 | 0.61 | 1.231 | 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