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에 따른 대학 학생선수 만족도와의 관계 = Relationship between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thlet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514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thletes.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sports organizational culture in 4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growth, goal, relation and innovation with the 2 aspects of students athletes’ school satisfaction including academic and lifestyle satisfactions. A total of 194 college students athlete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4 type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 athlet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growth, innovation, and goal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athletes’ life satisfaction, and in academic satisfac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growth and relationships. Finally, in terms of overall college life satisfaction level, a significant effect was derived from the growth and relationship-oriented sports team organization typ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thletes.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sports organizational cul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thletes. Specifically,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ology of sports organizational culture in 4 different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such as growth, goal, relation and innovation with the 2 aspects of students athletes’ school satisfaction including academic and lifestyle satisfactions. A total of 194 college students athlete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4 types of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satisfaction of student athlet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ports team organizational culture types, growth, innovation, and goals were found to have an impact on athletes’ life satisfaction, and in academic satisfaction, significant results were derived in the order of growth and relationships. Finally, in terms of overall college life satisfaction level, a significant effect was derived from the growth and relationship-oriented sports team organization ty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기존의 학원스포츠와 관련한 연구들이 도출한 문제점을 기초로 교육정책에서 지향하고 있는 ‘행복교육’을 지지할 수 있는 학생선수의 만족수준을 스포츠 팀조직문화와 연결하여 그 관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스포츠문화의 발전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성장, 목표, 관계, 혁신)을 파악하고 이를 학생선수들의 대학생활 만족도(학업생활, 선수생활)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적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194명의 대학학생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 중 성장, 혁신, 목표 순으로 선수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생활 만족도에서는 성장과 관계 순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끝으로, 전반적인 대학생활 만족도 수준에서는 성장과 관계 지향적인 스포츠 팀 조직 유형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기존의 학원스포츠와 관련한 연구들이 도출한 문제점을 기초로 교육정책에서 지향하고 있는 ‘행복교육’을 지지할 수 있는 학생선수의 만족수준을 스포츠 팀조직문화와 연결하...

      이 연구는 기존의 학원스포츠와 관련한 연구들이 도출한 문제점을 기초로 교육정책에서 지향하고 있는 ‘행복교육’을 지지할 수 있는 학생선수의 만족수준을 스포츠 팀조직문화와 연결하여 그 관계 검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학스포츠문화의 발전 방향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성장, 목표, 관계, 혁신)을 파악하고 이를 학생선수들의 대학생활 만족도(학업생활, 선수생활)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목적표본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선정된 194명의 대학학생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변수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스포츠 팀 조직문화 유형 중 성장, 혁신, 목표 순으로 선수생활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업생활 만족도에서는 성장과 관계 순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끝으로, 전반적인 대학생활 만족도 수준에서는 성장과 관계 지향적인 스포츠 팀 조직 유형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도출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혁기 ; 임수원,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운동부 문화와 사회적 함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85-105, 2010

      2 정영린, "학생 운동선수 학습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89-204, 2011

      3 황관식 ; 이종형, "체육고등학교 운동부 운영의 계획과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9 (9): 116-145, 2011

      4 함규환,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스포츠몰입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희준, "여성을 위협하는 체육계의 구조적 폭력과 그익숙한 관행 그리고 대한" 2007

      6 최영환, "실업팀 유도코치의 지도유형이 선수만족도 및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김윤희, "스포츠지도자의 전문지식 중요도와 교육 정도" 한국체육학회 57 (57): 135-149, 2018

      8 오응수, "스포츠조직의 갈등과 리더십" 학현사 2014

      9 오지현, "스포츠 참여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즐거움과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0 전용배 ; 김애랑 ; 이병진, "대학체육부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4 (14): 103-115, 2009

      1 이혁기 ; 임수원, "학업과 운동을 병행하는 운동부 문화와 사회적 함의" 한국스포츠사회학회 23 (23): 85-105, 2010

      2 정영린, "학생 운동선수 학습지원을 위한 정책방안" 한국체육정책학회 9 (9): 189-204, 2011

      3 황관식 ; 이종형, "체육고등학교 운동부 운영의 계획과 실제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 연구" 교육종합연구원 9 (9): 116-145, 2011

      4 함규환, "운동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스포츠몰입 결정요인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욕구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1

      5 정희준, "여성을 위협하는 체육계의 구조적 폭력과 그익숙한 관행 그리고 대한" 2007

      6 최영환, "실업팀 유도코치의 지도유형이 선수만족도 및 경기성과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김윤희, "스포츠지도자의 전문지식 중요도와 교육 정도" 한국체육학회 57 (57): 135-149, 2018

      8 오응수, "스포츠조직의 갈등과 리더십" 학현사 2014

      9 오지현, "스포츠 참여자의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이즐거움과 지속적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10 전용배 ; 김애랑 ; 이병진, "대학체육부의 마케팅 활동에 대한 조사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4 (14): 103-115, 2009

      11 권기남 ; 이정래, "대학스포츠리그제 운영의 내실화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학회 53 (53): 139-151, 2014

      12 최윤석, "대학스포츠 팀 조직문화의 이해와 적용"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5 (25): 79-93, 2020

      13 김무진 ; 정희준, "그들만의 학습: 학생선수의 학습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체육학회 51 (51): 51-62, 2012

      14 송춘현, "고등학교 운동선수의 선수생활 만족도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5 (5): 193-200, 2000

      15 Carless, S. A., "The measurement of cohesion in work teams" 31 : 71-88, 2000

      16 Carron, A. V., "The group environment questionnaire test manual" Fitness Information Technology 2002

      17 Zammuto, R. 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of organizational culture" 5 : 83-114, 1991

      18 Kim, M. S., "Performance norms and performance by teams in basketball competition" 80 : 770-, 1995

      19 Champoux, J. E., "Organizational behavior:Integrating individuals, groups, and processes" West 1996

      20 Scott, D. K., "Managing organizational culture in intercollegiate athletic organizations" 49 : 403-415, 1997

      21 Langfred, C. W., "Is group cohesiveness a double-edged sword? An investigation of the effects of cohesiveness on performance" 29 (29): 124-143, 1998

      22 Cameron, K. S., "Diagnosing and changing organizational culture: Based on the competing values framework" Addison-Wesley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