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연공생 호소실험사업(5차년도)  :  (An Exprimental Project on Natural Symbiosis in Lakes(5rd yea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395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argeting that develop control method of water quality and techniques of natural symbiosis Development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al lake 1) Unio douglasiae. sp culture test - Study on water purification and habitate condition 2) Application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al lake on fields - Tiered Filter Bed of the Water Land was operated during warm seasons where this system was located chundang pond in Changgyeong place, Seoul and motor boat racing reservoir Development of functional lake for hydro-bio habitats - A reference survey to hydro bio-habitats: fishes, Macroinvertebrates - Matrix was made what composed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hydro bio habitats environmental conditions Suggestion of Application methods to fields 1) The survey on water quality and physical conditions for terrace land restoration on the Hongjei stream 2) Design suggest to testing lakes for water purification and hydro-bio habitats functional lake test 3) Suggestion of application method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to pollute river of canal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targeting that develop control method of water quality and techniques of natural symbiosis Development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al lake 1) Unio douglasiae. sp culture test - Study on water purification and habitate condition 2) A...

      This research is targeting that develop control method of water quality and techniques of natural symbiosis Development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al lake 1) Unio douglasiae. sp culture test - Study on water purification and habitate condition 2) Application of water purification functional lake on fields - Tiered Filter Bed of the Water Land was operated during warm seasons where this system was located chundang pond in Changgyeong place, Seoul and motor boat racing reservoir Development of functional lake for hydro-bio habitats - A reference survey to hydro bio-habitats: fishes, Macroinvertebrates - Matrix was made what composed chemical, physical and biological hydro bio habitats environmental conditions Suggestion of Application methods to fields 1) The survey on water quality and physical conditions for terrace land restoration on the Hongjei stream 2) Design suggest to testing lakes for water purification and hydro-bio habitats functional lake test 3) Suggestion of application method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to pollute river of can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 개발 및 적용을 수행함 수질정화 기능호소 개발 1) 말조개 배양실험 - 말조개를 이용한 수질정화 능력 평가 결과하여 수질정화 능력 및 서식조건 평가 2) 수질정화 장치 현장 운전 - 서울 종로구 소재 창경궁 춘당지 및 경기 하남시 미사리 조정호 워밍업장에 계단형 습지여상장치를 이용하여 4월~10월까지 운전한 결과 탁도 및 SS가 약 50%가 처리 가능하였음 생물서식기능 호소개발 - 생물종별 서식환경 조사: 어류, 저서대형무척추동물 - 이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조건에 따른 생물종별 서식환경 평가표를 작성 현장조사 및 적용방안 검토 1) 홍제천 고수부지 복원을 위한 수질 및 물리적 조건 등 현장 조사를 통한 기능성 호소 적용방안 제시 2) 경북 안동 낙동강 유역에 수질정화기능 호소 및 생물서식기능 호소 설계 제안 3) 목표수질 확보를 위한 오염된 하천 및 canal 운영용수의 기능성 호소를 이용한 정화방안 제시
      번역하기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 개발 및 적용을 수행함 수질정화 기능호소 개발 1) 말조개 배양실험 - 말조개를 이용한 수질정화 능력 평가 결과하여 수질정화 능력 및 서식조건 평가 2) 수...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 개발 및 적용을 수행함 수질정화 기능호소 개발 1) 말조개 배양실험 - 말조개를 이용한 수질정화 능력 평가 결과하여 수질정화 능력 및 서식조건 평가 2) 수질정화 장치 현장 운전 - 서울 종로구 소재 창경궁 춘당지 및 경기 하남시 미사리 조정호 워밍업장에 계단형 습지여상장치를 이용하여 4월~10월까지 운전한 결과 탁도 및 SS가 약 50%가 처리 가능하였음 생물서식기능 호소개발 - 생물종별 서식환경 조사: 어류, 저서대형무척추동물 - 이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조건에 따른 생물종별 서식환경 평가표를 작성 현장조사 및 적용방안 검토 1) 홍제천 고수부지 복원을 위한 수질 및 물리적 조건 등 현장 조사를 통한 기능성 호소 적용방안 제시 2) 경북 안동 낙동강 유역에 수질정화기능 호소 및 생물서식기능 호소 설계 제안 3) 목표수질 확보를 위한 오염된 하천 및 canal 운영용수의 기능성 호소를 이용한 정화방안 제시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연구 개요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1.1 연구 배경
      • 1.1.2 연구 필요성
      • 1.2 연구 목표
      • 제1장 연구 개요
      • 1.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 1.1.1 연구 배경
      • 1.1.2 연구 필요성
      • 1.2 연구 목표
      • 1.2.1 총괄 연구 목표
      • 1.2.2 수질정화 기능호소 개발
      • 1.2.3 생물복원 기능호소 개발
      • 1.2.4 연차별 연구 목표
      • 1.3 연구 내용
      • 1.3.1 총괄 연구 내용
      • 1.3.2 당해년도 연구 내용
      • 제2장 기능성 호소개발
      • 2.1. 기능성 호소의 개념
      • 2.1.1 정의
      • 2.1.2 수변 공간 용어 검토
      • 2.2 관련 법제검토
      • 2.2.1 하천설계기준 및 해설
      • 2.2.2 기타 법규
      • 제3장 수질정화 기능호소 개발
      • 3.1 연구 목적 및 목표
      • 3.1.1 연구목적
      • 3.1.2 당해 연도 연구목표
      • 3.1.3 기술 현황
      • 3.2 연구내용 및 방법
      • 3.2.1 말조개를 이용한 조류 제거실험
      • 3.2.2 창경궁 춘당지 수질정화 장치 운전
      • 3.2.3 호소 수질 원격측정 장치 개발
      • 3.2.4 춘당지의 퇴적토 조사
      • 3.2.5 조정호 워밍업장 운전
      • 제4장 생물복원 기능성 호소개발
      • 4.1 연구목적 및 목표
      • 4.1.1 연구목적
      • 4.1.2 당해연도 연구목표
      • 4.2 생물종별 서식환경 조사
      • 4.2.1 수질평가 방법 검토
      • 4.3.2 접근방향
      • 4.3.3 복원대상종 선정
      • 4.3.4 저서무척추동물 서식환경
      • 4.3.5 어·패류 서식환경
      • 제5장 현장설계 방향 제언
      • 5.1 홍제천 복원 설계반영 제언
      • 5.1.1 조사목적
      • 5.1.2 조사지 현황
      • 5.1.3 구간별 현황
      • 5.1.4 조사 결과
      • 5.2 실험호소 설계
      • 5.2.1 실험내용
      • 5.2.2 실험호소
      • 5.3 하천 및 수로의 오염물질 처리방안
      • 5.3.1 용어 정리
      • 5.3.2 하천과 수로에서 수질정화 방안
      • 제6장 결론
      • 6.1 수질정화기능 호소개발
      • 6.2 생물서식기능 호소개발
      • 6.3 현장조사 및 적용방안 검토
      • 6.4 결과의 활용가능성
      • 6.5 기대성과 및 예상파급효과
      • 제7장 차년도 연구계획
      • 7.1 당해연도 연구 목표 및 내용
      • 7.2 당해년도 세부 내용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