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팽의 음악에서 내러티브를 적용하는 연구는 몇몇 학자들에 의해 이미 나타난 바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선행연구들을 먼저 면밀하게 살펴볼 것이다. 쇼팽의 작품에 대한 내러티브 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7882
2017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쇼팽의 음악에서 내러티브를 적용하는 연구는 몇몇 학자들에 의해 이미 나타난 바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선행연구들을 먼저 면밀하게 살펴볼 것이다. 쇼팽의 작품에 대한 내러티브 분...
쇼팽의 음악에서 내러티브를 적용하는 연구는 몇몇 학자들에 의해 이미 나타난 바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 선행연구들을 먼저 면밀하게 살펴볼 것이다. 쇼팽의 작품에 대한 내러티브 분석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선행연구들을 검토해 보고 이러한 연구들이 어떠한 작품을 대상으로 어떠한 문맥에서 이루어졌는지 살펴보고 정리하는 과정이 먼저 요구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쇼팽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특정 부분의 공간성과 시간성을 먼저 포괄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이것은 특정한 작품 전체의 분석이 아니라 작품의 감상 과정에서 경험하는 음악 속의 음악에 관한 예비 분석 단계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쇼팽의 작품을 전체적으로 살펴보고 먼 조로의 전조가 독특한 방식으로 나타나 이질적인 느낌을 주는 여러 작품들을 부분적으로 다루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예를 들어 쇼팽의 녹턴 Bb단조, Op. 9, No. 1의 중간 부분에서는 원조인 Db장조에서 D장조로의 전조 부분이 여러 번 반복해서 나타난다. 이 D장조 부분은 4마디가 채 안 되는 짧은 부분이지만 분명하게 조성감이 성립될 뿐 아니라 셈여림과 빠르기의 변화도 함께 일어나기 때문에 원조의 부분과 분리되는 인상을 준다. 또다른 예로는 녹턴 G단조 Op. 15, No. 3을 들 수 있다. 이 녹턴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앞부분과는 전혀 다른 F장조 부분이 나타나는데 이 부분은 원조에서 매우 먼 조로 되어있을 뿐 아니라 선법적인 요소와 코랄 텍스처를 사용하여 경건하고 종교적인 느낌을 더하고 있다.
이후 이 연구에서 본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작품은 쇼팽의 프렐류드 C#단조, Op. 45이다. 이 작품을 분석 대상으로 삼은 것은 이 작품이 쇼팽의 프렐류드 중에서 비교적 잘 알려지지 않은 작품이며 이례적인 조성 구조를 보여주기 때문이다. 이 프렐류드는 심지어 접근하기 힘들고 수수께끼 같은 작품(Eigeldinger 1997, 235)으로 여겨지는 곡이로, 장르의 선택에서부터 의문을 남긴다. 스미스가 지적하듯이 이 작품은 즉흥적인 측면을 가지고는 있지만 쇼팽의 다른 프렐류드와는 다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풍부한 공간감으로 인해 92마디보다 더 길게 느껴지도록 만드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Smith 2005, 237). 또한 이 곡에서는 선율의 진행보다 화성과 전조가 더 우세한 역할을 하며 화성 진행 자체가 작품의 주제의 기능을 하고 있다(Eigeldinger 1997, 241). 그렇다면 분석가에는 과연 이 작품에서 어떤 화성적 원리가 곡을 이끌어 나가는지에 대한 질문이 뒤따른다. 즉 이 작품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화성 진행과 전조의 양상은 이 작품에서 어떤 기능을 하고 있으며 이것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지 하는 문제가 작품을 이해하는 주요한 열쇠가 되는 것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방법으로서 이 작품에서 새로운 조성으로 들어가고 나오는 과정이 청자로 하여금 다른 시공간을 유도한다고 주장하면서 작품을 구체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이 작품은 복잡한 전조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원조인 D장조가 하나의 문맥으로 이어지는 방식을 파악하기가 쉽지 않다. 이러한 거시적인 원조의 펼쳐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조성음악의 대표적 분석이론 중 하나인 쉔커식 분석이론을 사용할 것이다. 쉔커식 분석 외에도 작품을 해석하는 또다른 축은 내러티브 분석이다. 즉 이 분석은 영화에서 자주 모티브로 사용되는 꿈이나 책 속의 세계처럼 음악 안에서 원조와 다른 조성들의 서로 다른 세계가 펼쳐지고 그 두 개의 세계가 어떻게 만나고 얽히는지에 관한 이야기를 서술한다. 또한 본 연구자는 작품 전체의 내러티브를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영화와의 유사성을 배경으로 논의할 것이다. 즉, 작품 내에서 시공간이 변화하는 액자 형식의 구조를 가지는 영화를 선택하여 C#단조 프렐류드의 내러티브에 적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