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급식은 환자식과 직원식으로 대별되며 또한 환자식은 일반 병인식과 치료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환자란 소정의 입원수속절차에 의해 병원에 입원한 자로 환자식은 환자의 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병원급식은 환자식과 직원식으로 대별되며 또한 환자식은 일반 병인식과 치료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환자란 소정의 입원수속절차에 의해 병원에 입원한 자로 환자식은 환자의 질...
병원급식은 환자식과 직원식으로 대별되며 또한 환자식은 일반 병인식과 치료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에서 환자란 소정의 입원수속절차에 의해 병원에 입원한 자로 환자식은 환자의 질환에 따른 의료의 일환으로서의 치료식이므로 건강을 회복하고 질병치료 기간을 단축시키기 위하여, 급식으로 공급되는 영양소의 섭취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환자는 질병으로 인한 영양소 필요량의 변동과 이에 따른 식사구성 내용의 변화와 신체적 조건의 변화, 또는 통증, 질병에 대한 염려, 기타 식사환경의 변화 등으로 식욕이 감퇴되어 식이섭취율이 낮아질 뿐 아니라 제공된 급식이 자치하면 잔반으로 남기게 되기 쉽다.
그러므로 아무리 전문영양사에 의해 제공된 영양적으로 충분한 식사일지라도 환자가 적정량을 섭취하지 않는다면 환자는 영양불량상태가 되고 만다. 따라서 병원급식에서 환자가 남긴 잔반량을 평가함으로써 환자식의 영양섭취상태를 평가할 수 있으므로 병원급식에서 환자식의 잔반은 중요한 문제가 될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국내 섬유/의류산업계의 신속대응 시스템(Quick Response System)인지도 및 도입 현황
초등학교 급식 조리 종사자의 위생 개념 및 교육 필요성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