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기관에서 자유선택활동 후 정리정돈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연구 =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garding Classroom Conditions of Clean-up after Free-Choice Activ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3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lean-up after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ir classroom conditions,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supporting desirable clean-up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76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Jeonnam Province using a 41-item inventory composed of classroom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clean-up after free choice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had strong sensitivity toward clean-up after free-choice activities, but considered strategies and operating for clean-up were rare.
      It would take a longer time for actual clean-up than planned. Teachers percept that it would be better helping themselves than intervening in the clean-up; on the other hand, in actual experience of clean-up, teachers urged children to clean and scolded them. The insights from this study may inspire guidelines for using clean-up time more valuably and devising strategies for making clean-up a positive developmental experience. Now is the time to change the way that teachers understand clean-u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lean-up after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ir classroom conditions,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supporting desirable clean-up activities for early 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clean-up after free-choice activities and their classroom conditions, and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supporting desirable clean-up activities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Data were collected from 76 teachers of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Jeonnam Province using a 41-item inventory composed of classroom conditions and perceptions of teachers about clean-up after free choice activities.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had strong sensitivity toward clean-up after free-choice activities, but considered strategies and operating for clean-up were rare.
      It would take a longer time for actual clean-up than planned. Teachers percept that it would be better helping themselves than intervening in the clean-up; on the other hand, in actual experience of clean-up, teachers urged children to clean and scolded them. The insights from this study may inspire guidelines for using clean-up time more valuably and devising strategies for making clean-up a positive developmental experience. Now is the time to change the way that teachers understand clean-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매일 포함되어 있는 활동인 자유선택활동 후의 정리정돈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통해 정리정돈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 정리정돈 자체를 놀이로서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및 전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7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정리정돈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4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정리정돈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정리정돈의 운영방안 및 전략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계획된 시간 보다 실제 정리정돈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리정돈은 유아들이 스스로 정리하는 시간이므로 교사들이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던 반면, 실제로는 정리를 하지 않는 유아들에게 언급하거나 지적한다는 응답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매일의 일과에 포함되어 있는 정리정돈 시간을 효과적이며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는 정리정돈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정리정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매일 포함되어 있는 활동인 자유선택활동 후의 정리정돈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통해 정리정돈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매일 포함되어 있는 활동인 자유선택활동 후의 정리정돈에 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를 통해 정리정돈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확립하고, 정리정돈 자체를 놀이로서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목적이었다. 연구대상은 광주 및 전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 및 어린이집 교사 76명이었다. 연구도구는 정리정돈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제를 알아보기 위해 선행연구를 기초로 4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였다. 연구결과, 교사들은 정리정돈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고 있지만 정리정돈의 운영방안 및 전략이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계획된 시간 보다 실제 정리정돈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리정돈은 유아들이 스스로 정리하는 시간이므로 교사들이 개입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던 반면, 실제로는 정리를 하지 않는 유아들에게 언급하거나 지적한다는 응답이 유의미하게 더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근거로 매일의 일과에 포함되어 있는 정리정돈 시간을 효과적이며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는 정리정돈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정리정돈에 대한 교사의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을 강조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지선, "하늘 어린이집 만 5세 유아들의 규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 박혜경, "통합중심의 유아교과교육론" 교육아카데미 2005

      3 서현,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 후 나타나는 정리정돈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71-196, 2009

      4 문송이,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5 고미경, "유치원 교사의 유아행동 통제에 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6 현정환, "유아의 자발적인 정리정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7 (17): 105-121, 1997

      7 이희경, "유아교수-학습방법" 동문사 2006

      8 이정환, "영유아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파란마음 2007

      9 이정란, "어린이집에서의 교사의 힘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99-221, 2004

      10 박경숙, "동화 들려주기를 통한 규칙 정하기와 규칙 지키기 활동이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의 자율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 김지선, "하늘 어린이집 만 5세 유아들의 규칙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 박혜경, "통합중심의 유아교과교육론" 교육아카데미 2005

      3 서현, "유치원에서 자유선택활동 후 나타나는 정리정돈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71-196, 2009

      4 문송이,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5 고미경, "유치원 교사의 유아행동 통제에 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6 현정환, "유아의 자발적인 정리정돈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7 (17): 105-121, 1997

      7 이희경, "유아교수-학습방법" 동문사 2006

      8 이정환, "영유아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파란마음 2007

      9 이정란, "어린이집에서의 교사의 힘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4 (24): 199-221, 2004

      10 박경숙, "동화 들려주기를 통한 규칙 정하기와 규칙 지키기 활동이 유치원 일과활동에서의 유아의 자율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1 이승은, "다문화 관련 유아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89-116, 2009

      12 김나영, "놀이지도" 양서원 2008

      13 김현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관한 질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4

      14 Hohmann, M., "Yong children in action: A manual for preschool educators" The High/Scope Press 1979

      15 DeVries, R., "Moral classrooms, moral children: Creating a constructivist atmosphere in early education" Teacher College Press 1994

      16 Hohmann, M., "Education young children: Active learning practices for preschool and child care programs" The High/Scope Press 1995

      17 Goffin, S. G., "Curriculum model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ppraising the relationship(2nd Ed)" Merrill Prentice Hall 2001

      18 Hayes, K., "Classroom routines that really work for pre-k and kindergarten: A bank street teacher resource" Scholastic Inc 2001

      19 교육과학기술부, "2007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