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미군사동맹 변화의 추동요인과 대응전략 = Momentum Factor and Responding Strategy of Change in Military Alliance between Korea-the US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043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 union between Korea-the USA is under expansion towards comprehensive fields but existing military un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the USA still takes important position. However, recent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North and East Asia work as factors to drive change in military un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the USA. The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are New defense strategy idea of the USA,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fer until December 2015, Asymmetrical Military Threat of North Korea, factor of domestic politics of Korean and American governments that would launch early 2013 etc. These factors would work together and repeat crack a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ase. But on the whole, negative factors are dominant. Accordingly, it would be very urgent to arrange responding strategy which is favorable to Korea through analysis on factors for change in military union between Korea-the USA.
      From level of national strateg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balanced strategy where security cooperation centered on the USA and economic cooperation centered on China should be proceeded together. For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wo-track strategy where dialogue is done simultaneously is necessary and mutual-assistance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SA should be maintained.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ore measures for proceeding with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ion between Korea and the USA separately so that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ives minimum influences on union between Korea and the USA. At the same time, there is necessity to intercept occurrence of union dilemma in advance by expanding Korean role at optimal level rather than passively taking advantage.
      In the level of military strategy, all the problems followed by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should be developed towards favo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military using New defense strategy idea of the USA. Especially, even afte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transferred to the Korean military,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llied defence system' and 'unity of command'. As its solu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iscuss about transferring operational control to commander of UN forces according to size of military strength of UN forces in case UN forces are committed in time of emergency while maintaining allied defence system between Korea-the USA by commander for Korean theater operation in wartime and peacetime. And when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transferred to the Korean military, it is predicted that provocation of The North Korea increases. So, system to jointly respond to such provocation should be constructed by Korea and the USA from operation in peacetime against provocation in limited region.
      번역하기

      Today union between Korea-the USA is under expansion towards comprehensive fields but existing military un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the USA still takes important position. However, recent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North and East Asia...

      Today union between Korea-the USA is under expansion towards comprehensive fields but existing military un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the USA still takes important position. However, recent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in the North and East Asia work as factors to drive change in military union relationship between Korea-the USA. The changes in security environment are New defense strategy idea of the USA, wartime operational control transfer until December 2015, Asymmetrical Military Threat of North Korea, factor of domestic politics of Korean and American governments that would launch early 2013 etc. These factors would work together and repeat crack and reinforcement according to case. But on the whole, negative factors are dominant. Accordingly, it would be very urgent to arrange responding strategy which is favorable to Korea through analysis on factors for change in military union between Korea-the USA.
      From level of national strategy, it is necessary to focus on balanced strategy where security cooperation centered on the USA and economic cooperation centered on China should be proceeded together. For relationship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wo-track strategy where dialogue is done simultaneously is necessary and mutual-assistance system between Korea and the USA should be maintained. But it would be necessary to explore measures for proceeding with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ion between Korea and the USA separately so that relationship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gives minimum influences on union between Korea and the USA. At the same time, there is necessity to intercept occurrence of union dilemma in advance by expanding Korean role at optimal level rather than passively taking advantage.
      In the level of military strategy, all the problems followed by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should be developed towards favo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military using New defense strategy idea of the USA. Especially, even afte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transferred to the Korean military, it is very important to maintain 'allied defence system' and 'unity of command'. As its solution, it is necessary to actively discuss about transferring operational control to commander of UN forces according to size of military strength of UN forces in case UN forces are committed in time of emergency while maintaining allied defence system between Korea-the USA by commander for Korean theater operation in wartime and peacetime. And when wartime operational control is transferred to the Korean military, it is predicted that provocation of The North Korea increases. So, system to jointly respond to such provocation should be constructed by Korea and the USA from operation in peacetime against provocation in limited reg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한미동맹은 포괄적 분야로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으나, 여전히 한미 간 군사동맹 관계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는 한미군사동맹 관계를 변화시키는 추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 이는 미국의 신국방전략과 2015년 12월 약속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북한의 비대칭 군사위협 및 2013년 초에 새로 출범할 한미 양국 정부의 국내정치 요인 등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상호 연동되어 사안에 따라 균열과 강화를 반복할 것이나 전반적으로 부정적 요인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한미군사동맹의 변화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이익에 유리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은 매우 긴요하다 하겠다.
      국가전략 차원에서 볼 때, 미국 중심의 안보협력과 중국 중심의 경제협력을 복합적으로 추진하되, 한미동맹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남북관계는 대화를 병행하는 강온전략을 구사하면서 한미공조체제를 유지하되, 남북관계가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리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편승보다는 적정 수준에서 한국의 역할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동맹딜레마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
      군사전략 차원에서는 미국의 신국방전략을 활용하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제반 문제점들이 한국군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되더라도 ‘연합방위체제’와 ‘지휘의 일원화’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방안으로, 전평시 한국전구작전사령관에 의한 한미연합방위체제를 유지하되 유사시 유엔군이 구성되어 투입될 경우 유엔군 전력의 규모에 따라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통제권을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협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될 경우 북한의 도발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평시 국지도발 작전부터 한미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번역하기

      오늘날 한미동맹은 포괄적 분야로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으나, 여전히 한미 간 군사동맹 관계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는 한미군사동맹 관계를...

      오늘날 한미동맹은 포괄적 분야로 그 범위를 확대해 가고 있으나, 여전히 한미 간 군사동맹 관계는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동북아 안보환경 변화는 한미군사동맹 관계를 변화시키는 추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바, 이는 미국의 신국방전략과 2015년 12월 약속된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북한의 비대칭 군사위협 및 2013년 초에 새로 출범할 한미 양국 정부의 국내정치 요인 등이다. 이러한 요인들은 상호 연동되어 사안에 따라 균열과 강화를 반복할 것이나 전반적으로 부정적 요인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한미군사동맹의 변화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한국의 이익에 유리한 대응전략을 마련하는 작업은 매우 긴요하다 하겠다.
      국가전략 차원에서 볼 때, 미국 중심의 안보협력과 중국 중심의 경제협력을 복합적으로 추진하되, 한미동맹에 비중을 두어야 한다. 남북관계는 대화를 병행하는 강온전략을 구사하면서 한미공조체제를 유지하되, 남북관계가 한미동맹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분리 추진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편승보다는 적정 수준에서 한국의 역할을 확대해 나감으로써 동맹딜레마의 발생을 사전에 차단할 필요가 있다.
      군사전략 차원에서는 미국의 신국방전략을 활용하여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에 따른 제반 문제점들이 한국군에 유리한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특히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되더라도 ‘연합방위체제’와 ‘지휘의 일원화’를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 방안으로, 전평시 한국전구작전사령관에 의한 한미연합방위체제를 유지하되 유사시 유엔군이 구성되어 투입될 경우 유엔군 전력의 규모에 따라 유엔군사령관에게 작전통제권을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협의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전시작전통제권이 한국군으로 전환될 경우 북한의 도발이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평시 국지도발 작전부터 한미가 공동으로 대응하는 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합참 홈페이지"

      2 황재호, "한중 군사협력 발전과 전망, In 한국의 안보와 국방" 한국국방연구원 2010

      3 노훈, "한반도 전장환경 : 지속과 변화" 한국군사학회 2012

      4 문영한, "한미연합방위체제로부터 한국주도의 방위체제로 변환" 한국군사학회 (50) : 2007

      5 송재익, "한미동맹과 한국군의 작전통제권 변동요인 연구" 한국군사학회 (60) : 2009

      6 조성훈, "한미군사관계의 형성과 발전" 군사편찬연구소 2008

      7 김재철, "한·미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준비의 진단과 대비" 한국아시아학회 13 (13): 119-146, 2010

      8 최우선,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대응" 외교안보연구원 2011

      9 김만수, "전쟁론" 갈무리 2009

      10 김재철, "전시작전권 전환에 따른 한국의 대비방향" 한국동북아학회 12 (12): 5-30, 2007

      1 "합참 홈페이지"

      2 황재호, "한중 군사협력 발전과 전망, In 한국의 안보와 국방" 한국국방연구원 2010

      3 노훈, "한반도 전장환경 : 지속과 변화" 한국군사학회 2012

      4 문영한, "한미연합방위체제로부터 한국주도의 방위체제로 변환" 한국군사학회 (50) : 2007

      5 송재익, "한미동맹과 한국군의 작전통제권 변동요인 연구" 한국군사학회 (60) : 2009

      6 조성훈, "한미군사관계의 형성과 발전" 군사편찬연구소 2008

      7 김재철, "한·미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준비의 진단과 대비" 한국아시아학회 13 (13): 119-146, 2010

      8 최우선,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대응" 외교안보연구원 2011

      9 김만수, "전쟁론" 갈무리 2009

      10 김재철, "전시작전권 전환에 따른 한국의 대비방향" 한국동북아학회 12 (12): 5-30, 2007

      11 박원곤, "오바마 행정부와 한미동맹 : 전작권 전환을 중심으로, In 한국의 안보와 국방" 한국국방연구원 2010

      12 "연합뉴스(2012년 6월 29일자)"

      13 김우상, "신한국책략 Ⅱ" 나남 2007

      14 윤정원, "북한의 대량살상무기 개발현황 및 의도와 전망, In 북한의 군사" 경인문화사 2006

      15 한국전략문제연구소, "미국의 신국방전략 지침과 우리의 대응" 2012

      16 정철호, "미국 2012 신국방전략과 한국의 군사전략 발전방향" 세종연구소 (특집) : 2012

      17 "동아일보(2012년 6월 16일자)"

      18 이기완, "동맹정치의 변화와 동맹관계-한미·미일동맹을 중심으로-"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53 (53): 23-46, 2010

      19 김국헌, "군대가 중심잡고 바로 서야" 한국군사학회 65 : 2012

      20 김열수, "국가안보 : 위협과 취약성의 딜레마" 법문사 2011

      21 김관옥, "갈등과 협력의 동아시아와 양면게임이론" 리북 2010

      22 김재철, "‘21세기 한미 전략동맹’의 안보적 과제와 대비방향" 대한정치학회 17 (17): 373-394, 2009

      23 David Vital, "The Survival of Small State: Studies in Small Power-Great Power Conflict"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24 Stephen M. Walt, "The Origins of Alli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1987

      25 Alan Sabrosky, "Interstate Alliances: Their Reliability and the Expansion of War, In The Correlates of War Ⅱ: Testing some Realpolitik Models" Free Press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11-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Association of Northeast Asia Studies KCI등재
      2013-12-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동북아논총
      외국어명 : 미등록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9 0.4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6 0.43 0.70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