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적 시술 재료를 삽입하고, 조영제와 수액을 삽입하는 도중 air bubble 등이 발생하여 작은 혈관을 막아 그 주위 뇌 조직을 손상시켜 경색증, 뇌졸중 등을 일으키게 된다. 뇌혈관 조영술 중 ai...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37795
2011
Korean
512
학술저널
111-116(6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시술 재료를 삽입하고, 조영제와 수액을 삽입하는 도중 air bubble 등이 발생하여 작은 혈관을 막아 그 주위 뇌 조직을 손상시켜 경색증, 뇌졸중 등을 일으키게 된다. 뇌혈관 조영술 중 ai...
목 적
시술 재료를 삽입하고, 조영제와 수액을 삽입하는 도중 air bubble 등이 발생하여 작은 혈관을 막아 그 주위 뇌 조직을 손상시켜 경색증, 뇌졸중 등을 일으키게 된다. 뇌혈관 조영술 중 air bubble발생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는 아직까지 숙제로 남아있다. 이에 본 저자는 실제 시술 중에 air bubble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과정을 재현하고 그와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논문의 초점과 관련된 문헌고찰을 통해 그 동안의 연구를 살펴보고, 실제 시술에 쓰이는 기구를 사용하여 In vitro방식으로 재현해 보았다.
결 과
실제 시술을 재현한 몇 가지 과정에서 bubble이 발생되었다. 처음 실험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적은 수의 bubble이 발생하였고, Guiding, Angio카테터와 코일 삽입, 분리 시에도 서로 다른 수와 크기의 bubble들이 발생되었다. 이들은 모두 실리콘 튜브로 삽입 되기 전 flushing을 통하여 공기가 제거되었다.
결 론
본 저자는 실제 시술에서 행하여 지는 과정의 일부를 in-vitro로 카테터와 코일의 삽입, 분리 등의 실험을 통해 air bubble의 발생 정도와 발생경로를 확인하였고, 시술에 개선책으로 적용, 분석하고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적인 연구와 함께 해결방안을 모색한다면 중재 시술과 관련하여 air bubble로 인한 허혈성 질환은 예방되리라 보며, 더불어 실험의 객관성과 정확성을 위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접근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HCC 치료를 위한 TACE(간동맥색전술) 중재적시술시 Conventional Method와 DC Bead 색전물질 사용에 따른 유용성에 관한 비교 분석
Fenestrate stent-graft를 이용한 치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