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내 학습장애 읽기이해 중재의 효과분석 = Reading Comprehension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in Korea: A Research Synthe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3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lected intervention studies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s implemented in the studies. This study included 13 group design studies and 12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1993 and 2012. This review described features of the studies and investigated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types and delivery methods such as group size and dur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most studies implemented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and their effect sizes were large. Third, small group instruction showed larger effect sizes than whole group instruction, implying the strong effect of small group instruc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Fourth,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duration were inconsistent across studi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번역하기

      This study selected intervention studies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s implemented in the studies. This study included 13 group design studies and 12 single-subject ...

      This study selected intervention studies of reading comprehens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s implemented in the studies. This study included 13 group design studies and 12 single-subject design studies published in Korean journals between 1993 and 2012. This review described features of the studies and investigated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types and delivery methods such as group size and duratio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s in most studies were upp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most studies implemented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and their effect sizes were large. Third, small group instruction showed larger effect sizes than whole group instruction, implying the strong effect of small group instruction on reading comprehension. Fourth, effect sizes by intervention duration were inconsistent across studie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한 읽기이해중재 연구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된 중재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그 결과 12편의 단일대상연구와 13편의 (준)집단설계연구를 포함한 국내 읽기이해중재 연구 총 25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고, 중재유형과 전달방법(집단크기, 중재기간)에 따라 분류하여 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읽기이해중재 연구의 대부분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읽기이해중재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인지전략을 중재로 사용하였고, 대체로 효과크기가 높았다. 중재전달방법과 관련해서는, 소집단교수가 대집단교수에 비해 효과크기가 높았고, 중재기간에 따른 효과크기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학습장애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읽기이해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한 읽기이해중재 연구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된 중재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회지에 발...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시된 학습장애를 대상으로 한 읽기이해중재 연구를 선정하여, 각 연구에서 제시된 중재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1993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회지에 발표된 논문을 검색하였고, 그 결과 12편의 단일대상연구와 13편의 (준)집단설계연구를 포함한 국내 읽기이해중재 연구 총 25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선정된 논문의 일반적인 특성을 기술하고, 중재유형과 전달방법(집단크기, 중재기간)에 따라 분류하여 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읽기이해중재 연구의 대부분은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읽기이해중재 유형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인지전략을 중재로 사용하였고, 대체로 효과크기가 높았다. 중재전달방법과 관련해서는, 소집단교수가 대집단교수에 비해 효과크기가 높았고, 중재기간에 따른 효과크기는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논의에서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토대로 학습장애를 가르치는 교사들에게 읽기이해중재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함의를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효진,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중심내용 파악 및 자기점검 전략 훈련의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17-339, 2004

      2 김경신, "학습 집단의 크기(Grouping)의 차이가 초등학교 읽기학습장애아의 독해전략습득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153-181, 2004

      3 정근영, "학생주도 인지적 도식화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전략 사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6 (6): 406-427, 2001

      4 박찬웅, "컴퓨터 중재 읽기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의 읽기이해, 상위인지 및 작동기억에 미치는 영향" 13 (13): 71-93, 1997

      5 한영미,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37, 2008

      6 임정연, "질문만들기 전략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의 질문만들기 능력 및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5-69, 2006

      7 양정민, "직접교수 원리를 적용한 주인공 의도 파악하기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95-215, 2011

      8 이예다나, "중재반응모형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읽기중재 효과 메타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19-143, 2010

      9 강아름, "자기점검을 통한 시험전략 교수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35-47, 2009

      10 유영옥, "읽기 전략 지도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읽기장애아의 독해력 및 국어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8 (18): 151-173, 2002

      1 송효진,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이해력 향상을 위한 중심내용 파악 및 자기점검 전략 훈련의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17-339, 2004

      2 김경신, "학습 집단의 크기(Grouping)의 차이가 초등학교 읽기학습장애아의 독해전략습득과 독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치료학회 13 (13): 153-181, 2004

      3 정근영, "학생주도 인지적 도식화 전략이 초등학교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이해력과 읽기전략 사용능력에 미치는 효과" 6 (6): 406-427, 2001

      4 박찬웅, "컴퓨터 중재 읽기프로그램이 학습장애아의 읽기이해, 상위인지 및 작동기억에 미치는 영향" 13 (13): 71-93, 1997

      5 한영미, "책 읽어주기 활동이 읽기장애 초등학생의 읽기 이해력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9-37, 2008

      6 임정연, "질문만들기 전략 중재가 읽기장애 아동의 질문만들기 능력 및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7 (7): 45-69, 2006

      7 양정민, "직접교수 원리를 적용한 주인공 의도 파악하기 교수가 읽기장애학생의 읽기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95-215, 2011

      8 이예다나, "중재반응모형에서의 증거기반교수를 위한 읽기중재 효과 메타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19-143, 2010

      9 강아름, "자기점검을 통한 시험전략 교수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 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35-47, 2009

      10 유영옥, "읽기 전략 지도방법의 차이가 중학교 읽기장애아의 독해력 및 국어과 학업성취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8 (18): 151-173, 2002

      11 허승준, "이야기 재연 전략 훈련이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 이해력과 유창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369-387, 2004

      12 황리리, "이야기 도식화 전략 교수가 초등 고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읽기 및 듣기 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9 (9): 156-170, 2004

      13 김의정, "연구기반 읽기교수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유창성 및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 국립특수교육원 13 (13): 247-274, 2006

      14 조정숙, "수정된 SQ3R 독해전략 훈련이 읽기장애 아동의 독해력 및 읽기인식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아동학회 10 (10): 101-118, 2008

      15 권주석, "생활관련 읽기 소재에 대한 사전결험이 읽기장애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0 (40): 313-331, 2005

      16 서전성, "상보적 교수가 읽기 이해력과 읽기 전략 사용 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 저학년 읽기장애 학생을 중심으로" 5 (5): 55-76, 2000

      17 최영미, "본문회고전략 중재가 읽기장애아동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0 (10): 283-303, 2009

      18 이태수, "반복읽기(RCR)와 SQ3R 독해전략이 읽기장애아동의 읽기유창성과 읽기이해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41 (41): 133-147, 2007

      19 박경산, "독해학습전략 훈련이 읽기장애아의독해력 향상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19 (19): 241-262, 2003

      20 서화자,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한 학습장애 아동의 읽기 중재 연구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53-80, 2011

      21 김주경, "다중지능을 활용한 교수가 학습장애아동의 읽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45 (45): 301-324, 2006

      22 김의정, "다 전략 읽기교수를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 읽기학습장애아동의 설명문 이해력 향상" 국립특수교육원 15 (15): 239-263, 2008

      23 김현지, "그림책 읽어주기가 초등 고학년 읽기장애 학생의 독해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7 (7): 175-194, 2010

      24 전병운, "국내 읽기장애아 중재방법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교육연구소 11 (11): 265-296, 2010

      25 Scruggs, T. E, "Tutoring and students with special needs, In Peer-assisted learning" Erlbaum 165-182, 1998

      26 Mercer, C. D, "Teaching students with learning problems" Merrill Prentice Hall 2005

      27 Gersten, R, "Teaching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view of research" 71 (71): 279-320, 2001

      28 Mercer, C. D,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Merrill 1991

      2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Erlbaum 1988

      30 Vaughn, S, "Secondary interventions in reading: providing additional instruction for students at risk" 39 (39): 40-46, 2007

      31 Fuchs, 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Definitions, evidence, and implications for the learning disabilities construct" 18 (18): 157-171, 2003

      32 Wanzek, J, "Research-based implications from extensive early reading interventions" 36 (36): 541-561, 2007

      33 Vaughn, S, "Reading instruction grouping for students with reading difficulties" 24 (24): 301-315, 2003

      34 Mastropieri, M. A,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for secondary students: Challenges for struggling students and teachers" 26 (26): 103-116, 2003

      35 Berkeley, S,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1995–2006: A Meta-Analysis" 31 (31): 423-436, 2010

      36 조태곤, "PREP의 동시적․연속적 처리훈련이 읽기학습장애 아동의 읽기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습장애학회 6 (6): 195-215, 2009

      37 이점조, "PREP에 의한 훈련이 읽기장애아동의 동시적·연속적 처리기능과 단어읽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395-418, 2002

      38 최정미, "PREP에 의한 인지과정 훈련이 학습장애아의 읽기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습장애학회 5 (5): 135-164, 2008

      39 Lerner, J. W, "Learning disabilities; Theories, diagnosis, and teaching strategies" Houghton Mifflin Co 2002

      40 Fletcher, J. M, "Learning disabilities: From identification to intervention" Guilford Press 2007

      41 Catts, H. W, "Language basis of reading disabilities and implications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remediation" 24 (24): 223-246, 2003

      42 van den Broek, P, "Integrating memory-based and constructionist processes in accounts of reading comprehension" 39 (39): 299-316, 2005

      43 Gajria, M, "Improving comprehension of expository text in students with LD: A research synthesis" 40 (40): 210-225, 2007

      44 Elbaum, B, "Grouping practices and reading outcom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65 (65): 399-415, 1999

      45 Kim, A, "Graphic organizers and their effects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D: A synthesis of research" 37 (37): 105-118, 2004

      46 Nation, K, "General cognitive ability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72 (72): 549-560, 2002

      47 Kim, W, "Critical factors in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A research Synthesis" 27 (27): 66-78, 2012

      48 Jitendra, A, "Cognitive Strategy Instruction for Improving Expository Text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77 (77): 135-159, 2011

      49 Oakhill, J, "Children’s difficulties in reading comprehension" 5 (5): 1-15, 1993

      50 Schlosser, R. W, "Application of the percentage of nonoverlapping data (PND) in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A systematic review of reporting characteristics" 2 (2): 163-187, 2008

      51 Elbaum. B,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effect of instructional grouping format on the reading outcome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ssues and research in special education" Erlbaum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