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마트 교육 활성화를 위한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의 보편적 학습설계 특성 분석: 학습장애 학생의 사용성 검사를 중심으로 = Analysis on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in math applications for facilitating smart learning: based on usability testing with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37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는 총 23개의 초⋅중⋅고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장애 학생들은 각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들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0명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과 18명의 특수교사들은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 평가에 참여하였고, 15명의 초⋅중⋅고 학습장애 학생들은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중⋅고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은 연습문제 제공, 학습과정 점검, 난이도 조절의 특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학습장애 학생들은 연습문제 제공, 난이도 조절의 특성을 제외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대부분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선택,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게 스마트 교육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개발방법들이 논의되었다.
      번역하기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는 총 23개의 초⋅중⋅고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스마트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본 연구는 총 23개의 초⋅중⋅고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을 선정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장애 학생들은 각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들을 어느 정도의 수준으로 선택, 사용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10명의 교육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자들과 18명의 특수교사들은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 평가에 참여하였고, 15명의 초⋅중⋅고 학습장애 학생들은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 사용성 검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초⋅중⋅고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은 연습문제 제공, 학습과정 점검, 난이도 조절의 특성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학습장애 학생들은 연습문제 제공, 난이도 조절의 특성을 제외하고 각 어플리케이션이 포함하고 있는 대부분의 보편적 학습설계의 특성을 보통 이하의 낮은 수준으로 선택, 사용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장애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에게 스마트 교육의 특성을 제대로 반영한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수학교육 어플리케이션의 설계, 개발방법들이 논의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3 math application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based on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for providing smart learning. Also,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in the math applications. Ten application developers and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math applications and 15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usability testing of math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most all of the math applications includ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at a pretty low level except for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related to provision of practice problems, progress monitoring, and adaptation of problem difficulty level.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ing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at a pretty low level except for the features related to provision of practice problems and adaptation of problem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how to design and develop math applications for provision of smart learning for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3 math application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based on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for providing smart learning. Also,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ed the universal de...

      This study analyzed a total of 23 math applications at elementary and secondary level based on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for providing smart learning. Also, this study analyzed how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in the math applications. Ten application developers and 18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math applications and 15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usability testing of math applic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almost all of the math applications includ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for learning at a pretty low level except for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related to provision of practice problems, progress monitoring, and adaptation of problem difficulty level.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ing showed that the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used the universal design features at a pretty low level except for the features related to provision of practice problems and adaptation of problem difficulty level.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how to design and develop math applications for provision of smart learning for all students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승준, "형태초점교수법 기반 초등학교 영어 단어 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223-231, 2012

      2 우홍욱, "학습장애 학생의 m-러닝을 위한 수학교육 애플리케이션 특징분석 및 개발방향 모색" 특수교육연구소 9 (9): 123-164, 2010

      3 서유진, "학습장애 학생과 경도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초등 수학교과 교수적 수정 방안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9-161, 2011

      4 김용욱, "특수교육공학" 학지사 2010

      5 이정은, "중등장애학생의 교수통합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UDL) 지침을 적용한 교과별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칙 개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9, 2011

      6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53-480, 2011

      7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에 대한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분석 연구 - 에듀넷의 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39-63, 2011

      8 서유진, "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 접근성 기능과 접근성 기준 만족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361-392, 2011

      9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2011

      10 김은수,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육용 앱개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6, 2012

      1 김승준, "형태초점교수법 기반 초등학교 영어 단어 학습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한국정보교육학회 16 (16): 223-231, 2012

      2 우홍욱, "학습장애 학생의 m-러닝을 위한 수학교육 애플리케이션 특징분석 및 개발방향 모색" 특수교육연구소 9 (9): 123-164, 2010

      3 서유진, "학습장애 학생과 경도 정신지체 학생을 위한 초등 수학교과 교수적 수정 방안 분석"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9-161, 2011

      4 김용욱, "특수교육공학" 학지사 2010

      5 이정은, "중등장애학생의 교수통합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UDL) 지침을 적용한 교과별 디지털교과서 설계 원칙 개발 연구" 한국학습장애학회 8 (8): 1-29, 2011

      6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스마트러닝 환경 구축의 정책적 방향 탐색"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453-480, 2011

      7 손지영, "장애학생을 위한 보편적 학습 설계의 적용에 대한 온라인 학습 콘텐츠의 분석 연구 - 에듀넷의 사이버가정학습을 중심으로 -"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0 (50): 39-63, 2011

      8 서유진, "장애인을 고려한 스마트폰 접근성 기능과 접근성 기준 만족도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361-392, 2011

      9 교육과학기술부, "인재대국으로 가는 길" 2011

      10 김은수,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육용 앱개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6, 2012

      11 박성열, "스마트 패드 활용수업 사례분석에 기반한 스마트 캠퍼스 구축 발전방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12, 2012

      12 임걸, "스마트 러닝 교수학습 설계모형 탐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33-45, 2011

      13 최정임, "보편적 학습설계(UDL)를 반영한 디지털 교과서 설계 원리" 한국교육공학회 25 (25): 29-59, 2009

      14 임정훈, "모바일 학습(Mobile Learning)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 방향 탐색" 8 (8): 191-124, 2008

      15 이세흠, "u-러닝이 지적장애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스마트기기 활용을 중심으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4 (14): 75-99, 2012

      16 장상현, "UDL 가이드라인에 따른 디지털교과서 접근성 향상 방안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3 (13): 65-75, 2010

      17 서유진, "The identific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of critical user interface design features of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programs in mathematic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ERGAMON-ELSEVIER SCIENCE LTD 55 (55): 363-377, 201008

      18 Bley, N. S, "Teaching mathematics to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Pro-Ed 2001

      19 Swanson, H. L, "Interventions for students with learning disabilities" The Guilford Press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6 1.06 1.0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9 1.09 1.565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