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치유의 글쓰기 = 인문치료사례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26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이민과 결혼으로 인한 갈등,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자기 자신과의 내적인 소통의 한 방법으로 글쓰기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자신의 삶의 문제를 조응하고, 정리하고 해결책을 탐색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그 사례를 정리해 보았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찾아가는 다문화학교’의 이론적 배경은 인문치료이다. 인문치료이론 중 글쓰기치료이론과 의사소통이론, 한국어교육이론이 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중심이론이다.
      ‘찾아가는 다문화학교’ 프로그램의 치료 목적은 자기와의 내적소통을 통한 건강한 소통관계 형성이다. 이를 위하여 ‘찾아가는 다문화 학교’ 프로그램의 치료 목적은 다섯 가지 원리 안에서 운영되었다. 첫째 공감을 전제로 한 안전한 소통 환경의 원리이다. 둘째 지금-여기의 과정 중심 원리이다. 셋째 참여자의 자발성 원리이다. 넷째 글쓰기와 말하기 보완의 원리이다.
      본고의 진행 단계는 1단계 준비단계로, 긴장을 완화시키는 단계이다. 2단계 글쓰기 단계는 글로 표현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서로 자신의 글을 나누는 단계이다. 4단계는 정리하기 단계이다.
      ‘찾아가는 다문화학교’는 한국어, 한국문화,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외국인으로서 한국에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말하기, 글쓰기, 미술 등 여러 매체를 통합시킨 인문치료 프로그램이다. 회기 주제는 세계 여러 나라 인사하기, 자기 고향 소개하기, 나의 명절, 은유로 말하기, 영화치료, 나의 감정 알아차리기, 문화적응 스트레스 날려 보내기, 내가 원하거나 필요한 것 20가지, 글러스터링, 나에게 보내는 편지, 꿈 나누기이다.
      ‘찾아가는 다문화학교’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글쓰기 말하기, 그림그리기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자기 표현은 이민과 결혼 생활에서 오는 부정적 감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정화함으로써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고 치유적인 효과를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글쓰기와 말하기, 그림 등을 통한 자기표현은 내 문제를 객관화시키고, 서로의 삶의 아픔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집단 활동을 통해 비슷한 상황에 있는 구성원들 간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이는 1년 후까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번역하기

      본고에서는 이민과 결혼으로 인한 갈등,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자기 자신과의 내적인 소통의 한 방법으로 글쓰기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자신의 삶의 문제를 조응하고, 정리하...

      본고에서는 이민과 결혼으로 인한 갈등,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자기 자신과의 내적인 소통의 한 방법으로 글쓰기를 활용하여 여성결혼이민자들이 자신의 삶의 문제를 조응하고, 정리하고 해결책을 탐색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그 사례를 정리해 보았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찾아가는 다문화학교’의 이론적 배경은 인문치료이다. 인문치료이론 중 글쓰기치료이론과 의사소통이론, 한국어교육이론이 이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중심이론이다.
      ‘찾아가는 다문화학교’ 프로그램의 치료 목적은 자기와의 내적소통을 통한 건강한 소통관계 형성이다. 이를 위하여 ‘찾아가는 다문화 학교’ 프로그램의 치료 목적은 다섯 가지 원리 안에서 운영되었다. 첫째 공감을 전제로 한 안전한 소통 환경의 원리이다. 둘째 지금-여기의 과정 중심 원리이다. 셋째 참여자의 자발성 원리이다. 넷째 글쓰기와 말하기 보완의 원리이다.
      본고의 진행 단계는 1단계 준비단계로, 긴장을 완화시키는 단계이다. 2단계 글쓰기 단계는 글로 표현하는 단계이다. 3단계는 서로 자신의 글을 나누는 단계이다. 4단계는 정리하기 단계이다.
      ‘찾아가는 다문화학교’는 한국어, 한국문화, 다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외국인으로서 한국에서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말하기, 글쓰기, 미술 등 여러 매체를 통합시킨 인문치료 프로그램이다. 회기 주제는 세계 여러 나라 인사하기, 자기 고향 소개하기, 나의 명절, 은유로 말하기, 영화치료, 나의 감정 알아차리기, 문화적응 스트레스 날려 보내기, 내가 원하거나 필요한 것 20가지, 글러스터링, 나에게 보내는 편지, 꿈 나누기이다.
      ‘찾아가는 다문화학교’ 프로그램에서 진행된 글쓰기 말하기, 그림그리기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자기 표현은 이민과 결혼 생활에서 오는 부정적 감정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정화함으로써 카타르시스를 경험하고 치유적인 효과를 볼 수 있게 하였다. 또한 글쓰기와 말하기, 그림 등을 통한 자기표현은 내 문제를 객관화시키고, 서로의 삶의 아픔을 위로하고 격려하는 소통의 기회를 제공하였다. 집단 활동을 통해 비슷한 상황에 있는 구성원들 간의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었고, 이는 1년 후까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e method of writing is used to overcome the mental conflict, difficulties and stress which come from marriage as women immigrants for marriage. Through the method they researched themselves.
      This writing process helps the women to solve the matters for and by themselves. The example which the women immigrants practiced in their real life are classified in this paper.
      On “The multicultural visiting school” program, writing, speaking, drawing and other methods are used to help the women immigrants to express their inner being. Through the expression about themselves they can purify the negative mind and emotion and country from their own country. After they research and understand their matters. they open their heart and experience to release from the burdens. After knowing their inner problems, they can make the problems objective using writing, speaking, drawing and so on. The women immigrants for marriage also can help their companions who are on the same boat to be healed. It is a kind of healing process. Through a group activity, the members can understand one another and they have kept a great relationship for a year.
      번역하기

      In this study the method of writing is used to overcome the mental conflict, difficulties and stress which come from marriage as women immigrants for marriage. Through the method they researched themselves. This writing process helps the women to s...

      In this study the method of writing is used to overcome the mental conflict, difficulties and stress which come from marriage as women immigrants for marriage. Through the method they researched themselves.
      This writing process helps the women to solve the matters for and by themselves. The example which the women immigrants practiced in their real life are classified in this paper.
      On “The multicultural visiting school” program, writing, speaking, drawing and other methods are used to help the women immigrants to express their inner being. Through the expression about themselves they can purify the negative mind and emotion and country from their own country. After they research and understand their matters. they open their heart and experience to release from the burdens. After knowing their inner problems, they can make the problems objective using writing, speaking, drawing and so on. The women immigrants for marriage also can help their companions who are on the same boat to be healed. It is a kind of healing process. Through a group activity, the members can understand one another and they have kept a great relationship for a yea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1. 서론
      • 2. 기존연구
      • 3. 여성결혼이민자의 치유의 글쓰기 원리와 모형
      • 4. 프로그램 내용
      • 국문요약
      • 1. 서론
      • 2. 기존연구
      • 3. 여성결혼이민자의 치유의 글쓰기 원리와 모형
      • 4. 프로그램 내용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성미, "한국어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글쓰기치료적 접근" 중앙어문학회 (45) : 193-212, 2010

      2 제임스 페니케이커, "털어놓기와 건강" 학지사 2008

      3 이경우,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 보고사 2006

      4 셰퍼드 코미나스, "치유의 글쓰기" 홍익출판사 2008

      5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12월) : 2010

      6 이봉희, "저널치료의 실제" 학지사 2006

      7 정성미, "인문치료에서 바라본 다문화 소통" 강원대학교 인문한국인문치료사업단 2010

      8 "우리는 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알아야 하나 In: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31-44, 2007

      9 임은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12 : 2008

      10 정경운,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 : 89-111, 2009

      1 정성미, "한국어교육에서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글쓰기치료적 접근" 중앙어문학회 (45) : 193-212, 2010

      2 제임스 페니케이커, "털어놓기와 건강" 학지사 2008

      3 이경우, "커뮤니케이션과 대인관계" 보고사 2006

      4 셰퍼드 코미나스, "치유의 글쓰기" 홍익출판사 2008

      5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 (12월) : 2010

      6 이봉희, "저널치료의 실제" 학지사 2006

      7 정성미, "인문치료에서 바라본 다문화 소통" 강원대학교 인문한국인문치료사업단 2010

      8 "우리는 왜 문화간 커뮤니케이션을 알아야 하나 In: 한국인과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31-44, 2007

      9 임은희, "여성결혼이민자의 정신건강 문제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한영신학대학교 12 : 2008

      10 정경운,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과 언어 문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4 : 89-111, 2009

      11 김이선, "여성 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2006

      12 이찬규, "언어 커뮤니케이션" 한국문화사 2003

      13 양옥경, "서울거주 여성결혼이민자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26) : 79-110, 2007

      14 원진숙, "삶을 주제로 한 자기 표현적 쓰기 경험이 이주 여성의 자아 정체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한국어 쓰기 교육 사례 연구" 한국작문학회 (11) : 137-164, 2010

      15 정성미, "비탄의 기록에 나타난 언어의 특징: 인문치료 소통모델 기초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0

      16 박은미, "다문화사회와 지역사회적응" 한국정부학회 21 (21): 407-429, 2009

      17 김희경,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스트레스유형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 : 121-160, 2010

      18 로제마리 마이어 델 올리보, "나를 일깨우는 글쓰기" 시아 2010

      19 채연숙, "글쓰기치료: 이론과 실제"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20 제임스 페니케이커, "글쓰기치료" 학지사 2007

      21 정기철,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표현 글쓰기 - ‘내 슬픔에 대해 글쓰기’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학회 (74) : 529-558, 2010

      22 정기선, "국제결혼이민자의 적응과 정신건강" 한국인구학회 32 (32): 87-114, 2009

      23 Pennebaker, J. W, "Patterns of natural language use: Disclosure, personality, and social integration" 10 : 90-93,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9-05-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문화컨텐츠기술연구원 ->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5 1.463 0.2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