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의 위당문고는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1893∼1950) 선생의 구장본으로 구성된 문고이다. 위당문고에는 위당의 국학 연구 활동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롯하여 위당 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22846
2021
-
800
KCI등재
학술저널
209-235(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의 위당문고는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1893∼1950) 선생의 구장본으로 구성된 문고이다. 위당문고에는 위당의 국학 연구 활동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롯하여 위당 주...
연세대학교 국학자료실의 위당문고는 위당(爲堂) 정인보(鄭寅普, 1893∼1950) 선생의 구장본으로 구성된 문고이다. 위당문고에는 위당의 국학 연구 활동과 관련된 문헌들을 비롯하여 위당 주변 인물들의 유일본 문집이 포함되어 있는데, 아직까지 위당문고의 존재와 목록은 학계에 소개되지 못했다. 본고는 위당문고 소장 주요 자료를 다각도로 조명하는 목적에서, 위당의 신조선사 출판 활동과 관계있는 문헌들이 위당문고에 남아있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주요 자료를 소개한 것이다. 대상 문헌은 위당문고의 <여유당집(與猶堂集)>・<마과회통(麻科會通)>・<담헌서(湛軒書)>・<여암유고(旅菴遺稿)>로, 이 책들의 서지와 성격, 신조선사본과의 관계를 살폈고, 특히 『여유당집』과 『담헌서』의 가치를 중점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유당집> 1책(결질)은 ‘고본(稿本)’ 혹은 ‘가장본(家藏本)’이라고 불리는 다산 저작의 특징을 보여주는 책이다. 특히 위당문고본은 가장본 계열이면서 시집에 해당하는 부분이어서, 다산 시의 시구 확정과 교감에 있어서 중요한 기준 자료가 될 수 있다. 위당문고본에 해당하는 시집을 현전 이본과 대비한 결과, 위당문고 <여유당집>은 선행본이자 신조선사에서 간행된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의 직접적인 저본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위당문고 『담헌서』는 완질로 전하는 필사본으로, 담헌 저작을 망라한 신조선사본 『담헌서』의 간행 직전에 만들어진 책이다. 위당문고 <담헌서>에는 연필로 오자를 수정한 흔적과 빨간색 펜으로 쓴 분권 표시가 남아있는데, 이는 모두 신조선사본 <담헌서>와 관계가 있다. 위당문고 <담헌서>는 위당이 참여했던 담헌 저작의 편집 방향을 보여주는 책이자 후대본 계열의 완질 필사본으로, 담헌 연구는 물론 전서본(全書本) <담헌서>의 교감이나 정본 구축에 있어서도 우선적으로 논의되어야 할 자료이다. 위당이 구상한 조선 후기 학술사의 구도는 신조선사 간행본에 나타나 있고, 신조선사 간행본의 성립 과정에는 위당문고 소장 필사본들이 활용되었다. 위당의 학술 활동에 대한 정밀한 탐색, 언급된 문집들의 선본 확정을 위해서는 위당문고의 본 필사본 자료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onsei University’s Widangmungo(爲堂文庫) is the library set up by the donation of Sir Widang(爲堂) Jeong In-bo (鄭寅普, 1893∼1950). It includes literature on Widangs’ research activities for Gukhak(國學) and collections of works writ...
Yonsei University’s Widangmungo(爲堂文庫) is the library set up by the donation of Sir Widang(爲堂) Jeong In-bo (鄭寅普, 1893∼1950). It includes literature on Widangs’ research activities for Gukhak(國學) and collections of works written by people around Widang. In particular, the works issued by Widang in Sinjoseonsa(新朝鮮社) are all kept in Widangmungo.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ntroduce four kinds of books here, <Yeoyudangjip(與猶堂集)>, <Magwahoetong(麻科會通)>, <Damheonseo(湛軒書)>, and 『Yeoamyugo(旅菴遺稿)』,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value of these books compared to the ones issued by Sinjoseonsa. The composition of academic history in the late Chosun period, conceived by Widang, is shown in the books of Sinjoseonsa. However, in establishing the Sinjoseonsa books, they used the books kept in Widangmungo. This allows us to assume the direction of the compilation of the Sinjoseonsa books. In the future, if we intend to conduct a meticulous exploration of Widangs’ academic activities or determine the seonbon(善本) of <Yeoyudangjip>, <Magwahoetong>, <Damheonseo>, or <Yeoamyugo>, we may have to focus on the manuscripts kept in Widangmungo.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申景濬, "旅菴遺稿"
2 申景濬, "旅菴全書"
3 장경남, "필사본 담헌서의 자료적 가치" 한국국학진흥원 (43) : 451-483, 2020
4 허경진, "정원용 관련 저술 해제집" 보고사 2009
5 임미정, "이담속찬의 이본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8) : 239-272, 2011
6 허경진, "연세대학교 소장 고서의 문헌적 가치" 국학연구원 (146) : 89-121, 2009
7 심경호, "연세대 소장 유서 및 한자어휘집의 가치" 국학연구원 (146) : 1-88, 2009
8 장문석, "식민지 출판과 양반 ― 1930년대 신조선사의 고문헌 출판 활동과 전통 지식의 식민지 공공성" 민족문학사연구소 (55) : 351-407, 2014
9 丁若鏞, "麻科會通"
10 申景濬, "道路考"
1 申景濬, "旅菴遺稿"
2 申景濬, "旅菴全書"
3 장경남, "필사본 담헌서의 자료적 가치" 한국국학진흥원 (43) : 451-483, 2020
4 허경진, "정원용 관련 저술 해제집" 보고사 2009
5 임미정, "이담속찬의 이본 연구"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8) : 239-272, 2011
6 허경진, "연세대학교 소장 고서의 문헌적 가치" 국학연구원 (146) : 89-121, 2009
7 심경호, "연세대 소장 유서 및 한자어휘집의 가치" 국학연구원 (146) : 1-88, 2009
8 장문석, "식민지 출판과 양반 ― 1930년대 신조선사의 고문헌 출판 활동과 전통 지식의 식민지 공공성" 민족문학사연구소 (55) : 351-407, 2014
9 丁若鏞, "麻科會通"
10 申景濬, "道路考"
11 丁若鏞, "與猶堂集"
12 丁若鏞, "與猶堂集"
13 丁若鏞, "與猶堂全書"
14 洪大容, "湛軒集"
15 洪大容, "湛軒書"
16 洪大容, "湛軒書"
17 洪大容, "湛軒書"
18 洪大容, "湛軒書"
19 김대원, "校勘·標點 定本 與猶堂全書 34" 麻科會通 2012
20 심경호, "校勘·標點 定本 與猶堂全書 1 詩集" 2012
21 백낙준, "庸齋文庫韓國本古書目錄 小引"
2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庸齋文庫韓國本古書目錄"
23 채송화, "「의산문답(毉山問答)」 이본 연구" 민족문학사연구소 (69) : 107-138, 2019
2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고서해제 1-12" 평민사 2008
25 정인보, "(연세국학총서 67) 薝園文錄 上·中·下" 태학사 2006
26 실학박물관, "(실학박물관 2010년 특별전) 다산과 가장본 여유당집"
27 정원용, "(국역) 경산일록 : 세계에서 가장 오래 쓴 개인 일기 1-6" 보고사 2009
28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古書目錄 第2輯"
29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古書目錄"
제국 각축관계 하의 타이완인: 인도수용소 경험을 중심으로
1940~60년대 동아시아 수용소와 난민: 환경과 인종주의(2) - 특집 취지문 -
교차하는 한국학의 장소들 - <해외 한국학 동향> 기획 취지문 -
타이완의 ‘백색 테러’ 시기와 이행기 정의 : 뤼다오 신생훈도처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01-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DONG BANG HAK CHI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3 | 1.2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0.97 | 2.154 | 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