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xamining the Impact of an Experiential Learning Special Education Course o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Inclusive Science Education = 경험학습 강좌가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탐구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경험학습 이론을 접목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과학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연구자들은 성찰을 통한 실천에 중점을 둔 경험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15주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 과학교사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장애학생들에 대한 인식 및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에 있어 과학교사의 역할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좌에서 수행된 활동들의 내용과 의도를 자세히 기술하고, 각각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지 규명하였다. 또한 수행된 경험학습 강좌 전반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교과 교수법 중심의 교사교육이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의 달성에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교사교육에 있어 경험학습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한국의 특수교육 및 과학교사교육,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있어서 변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경험학습 이론을 접목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과학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연구자들...

      본 연구에서는 경험학습 이론을 접목하여 예비 과학교사들이 장애학생을 위한 통합교육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고안 된 과학 교사 교육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연구자들은 성찰을 통한 실천에 중점을 둔 경험학습 이론을 기반으로 15주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예비 과학교사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하면서 장애학생들에 대한 인식 및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에 있어 과학교사의 역할을 성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좌에서 수행된 활동들의 내용과 의도를 자세히 기술하고, 각각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지 규명하였다. 또한 수행된 경험학습 강좌 전반에 대해 평가함으로써, 교과 교수법 중심의 교사교육이 통합교육 환경의 과학교육의 달성에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교사교육에 있어 경험학습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한국의 특수교육 및 과학교사교육, 교사들의 전문성 향상에 있어서 변화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2 이지선,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 실태 및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 교육과학연구소 40 (40): 81-116, 2009

      3 김화숙,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53-178, 2002

      4 유장순,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위한 지원체제" 국립특수교육원 13 (13): 53-82, 2006

      5 권효진, "일반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수업에 대한 장애학생과 관련인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471-506, 2012

      6 서유진, "예비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이수와 통합학급 교육실습 경험을 통한 교사효능감과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91-325, 2010

      7 Sonya Nichole Martin, "공동생성적 대화를 활용한 통합 과학교육 실천의 증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33-268, 2013

      8 Carver, R., "Theory for practice :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experiential education" 19 (19): 8-13, 1996

      9 Shimman, P., "The impact of special needs students at a Further Education College : A report on a questionnaire" 14 (14): 83-91, 1990

      10 Beh-Pajooh, A., "The effect of social contact on college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severe mental handicaps and their educational integration" 7 (7): 87-102, 1992

      1 이영선, "특수교육 교직과목을 수강한 예비일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특수아동학회 12 (12): 399-416, 2010

      2 이지선, "장애학생이 통합된 중학교 과학수업 실태 및 과학교사와 특수교사 간 협력요구" 교육과학연구소 40 (40): 81-116, 2009

      3 김화숙, "장애학생을 위한 과학교육 실태 조사 연구" 한국특수교육학회 37 (37): 153-178, 2002

      4 유장순,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성공적인 과학수업을 위한 지원체제" 국립특수교육원 13 (13): 53-82, 2006

      5 권효진, "일반중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의 과학수업에 대한 장애학생과 관련인의 인식 및 실태와 요구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3 (13): 471-506, 2012

      6 서유진, "예비일반교사들의 특수교육학개론 과목이수와 통합학급 교육실습 경험을 통한 교사효능감과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7 (27): 291-325, 2010

      7 Sonya Nichole Martin, "공동생성적 대화를 활용한 통합 과학교육 실천의 증진"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233-268, 2013

      8 Carver, R., "Theory for practice : A framework for thinking about experiential education" 19 (19): 8-13, 1996

      9 Shimman, P., "The impact of special needs students at a Further Education College : A report on a questionnaire" 14 (14): 83-91, 1990

      10 Beh-Pajooh, A., "The effect of social contact on college teachers' attitudes toward students with severe mental handicaps and their educational integration" 7 (7): 87-102, 1992

      11 Kim, M. J., "Teachers' perception on the operation of science subject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inclusive classrooms of elementary school" Chosun University 2014

      12 Villanueva, M. G., "Science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48 (48): 187-215, 2012

      13 Grossman, P. L., "Review of Research in Teacher Educa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425-476, 2005

      14 Grossman, P., "Redefining teaching, reimagining teacher education" 15 (15): 273-289, 2009

      15 Shippen, M. 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28 (28): 92-99, 2005

      16 Kim, Y. R., "Perceptions of Korean pre-service special educators’ teaching competenci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30 (30): 107-118, 2015

      17 Revere, L., "Online technologies for engaged learning : A meaningful synthesis for educators" 12 (12): 113-, 2011

      18 Lincoln, Y. S., "Naturalistic inquiry(Vol. 75)" Sage 1985

      19 Santagata, R., "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and to analyze teaching effectiveness : evidence from a video-and practice-based approach" 17 (17): 491-514, 2014

      20 Lampert, M., "Learning teaching in, from, and for Practice: What do we mean?" 61 : 21-34, 2010

      21 Cochran-Smith, M., "Inquiry as a stance: Practitioner research in the next generation" Teachers College Press 2009

      22 Martin, S., "Improving urban science education: New roles for teachers, students, and researchers" Rowman &Littlefield Publishers, Inc 225-243, 2005

      23 Siry, C., "Facilitating reflexivity in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using video analysis and cogenerative dialogue in field-based methods courses" 10 (10): 481-508, 2014

      24 Kolb, D. A., "Experiential learning theory:Previous research and new directions" 1 (1): 227-247, 2001

      25 Kolb, D. A., "Experiential Learning: Experience as the source of learning and development" Pearson 2015

      26 Forlin, C., "Demographic differences in changing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sentiments and concerns about inclusive education" 13 (13): 195-209, 2009

      27 Park, K. S., "Current status of science education at special class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Chosun University 2010

      28 Campbell, J., "Changing student teachers’attitudes towards disability and inclusion" 28 (28): 369-379, 2003

      29 Glesne, C.,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Pearson 2015

      30 Barton, A., "Autobiography in Science Education : Greater Objectivity through Local Knowledge" 30 (30): 23-42, 2000

      31 Roth, W. M., "Autobiography and Science Education : An Introduction" 30 (30): 1-12, 2000

      32 Elliott, R., "A handbook of research methods for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on Demand 147-159, 2005

      33 Ministry of Education, "2016 special education statistics"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16

      34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08 Annual report on special education"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5-23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8-16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6-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 특수교육저널:이론과 실천 KCI등재
      2006-05-18 학회명변경 한글명 : BK21특수교육교육연구단 -> 대구대학교 대학원 특수교육학과
      영문명 : Bk21 Project Force Of Special Education -> Daegu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3 1.33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8 1.18 1.518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