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오늘날의 환경문제의 철학적 이해  :  자연주의와 기술주의를 넘어서 Beyond Naturalism and Technomania = A Philosophical Apprehension of Current Environmental Probl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1113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요약문 오늘날의 환경문제를 야기한 근본원인은 단순한 과학·기술적 차원을 넘어선 세계관적
      차원, 즉 자연과 세계일반에 대한 인간의 근본태도에서 찾아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근본시각에서, 본 논문은 먼저, 오늘날의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제시된
      두가지 극단적인 입장, 즉 무조건적으로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자연주의와 그리고
      과학기술에 의해 야기된 문제는 오로지 과학기술자체 (의 발전)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과학기술주의를 살펴본 뒤에, 그것들이 그 자신의 시각의 일면적 편협성으로 말미암아
      온당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나서 제3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제3의 대안을 모색하기에 앞서서, 우리는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세계 내지 자연에
      대한 근본태도의 변천을 추적하여, 고대에서의 자연 (우주)중심주의, 중세에서의 신중심주의,
      그리고 근세에서의 인간중심주의를 각각 부각시키고 나서 과학과 기술에 의한 자연지배의
      태도가 결국은 그 뿌리를 근세의 인간중심주의에 두고 있음을 밝히고, 이것은 자연과
      세계에 순종하는 고대적, 그리고 중세적 근본태도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세계관적 태도임을
      밝혔다. 그러나 우리는 자연에 순응하느냐 또는 자연을 지배하느냐 하는 양자택일을 넘어서 자연을
      인간과 대등한 파트너로 인정하고 그것과 상호 공조하려는 제3의 태도가 다능할 뿐 아니라
      그것은 앞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있어서 유일한 바람직한 태도임을 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태도는 다만 자연에 대한 올바른 태도일 뿐 아니라 온전하고 성숙한 인간의
      표현이기도 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연에 대한 일방적 복종의 태도는 정신분석학적
      시각에서는 매조히즘에 근거한 것이고 반면에 자연에 대한 일방적 지배의 태도는 성숙하고
      건전한 인격성의 표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과의 올바른 관계의 정립은
      사태의 본성상 올바른, 성숙한 인격의 새로운 발전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환경문제가 그 다양성과 복합성으로 말미암아 단지 과학기술적인 문제를
      넘어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나라가서 이러한 것들의
      궁극적 근거와 포괄적 연관을 고려하는 철학적 문제의식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는,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문제이므로, 그것을 다루는 데에도 반드시 학제적 (學際的,
      interdisciplinary) 연구방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AbstractThe inner causes which brought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oday schould net
      only be sought just in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problems, but also in the more
      fundamental dimension of worldveiw, i. e., the attitude of man toward the nature or the
      world as a whole itself.

      In this perspective, we considered critically both the naturalism which persistently
      insists that we should again come back to nature, and the technomania or scienticism
      which says that problems brought about by scientific and technical matters must only
      be resolved by scien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emselves, so that we could
      conclude that the two positions are imperfect because of their one-sided narrowness of
      their view-points, and we therefore tried to search for the 3rd position as a possible
      answer. But before that, we pursued the historical change of human attitudes toward nature or
      world, so that we could identify ´the cosmocentricism´of antiquity, the
      ´theocentricism´of middle ages, and the ´anthropocentiricism´of modern times
      respectively. We thereupon insisted that the ruling attitude of man over mature by
      science and thechnology is in effect rooted in the anthropocentricism of modernity which
      stands in sharp contrast with the antique attitude of following and harmonizing with
      nature. We tried further to show that beyond the alternative of one-sidedly following and no
      less one-sidedly ruling nature, there is a possible third choice of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nature as an equal partner of man and further helping and developing
      each other. Such an attitude is not only the right one toward nature but also the
      expression of a sound and perfect person.

      In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attitude of following can be seen as rooted in the
      masochism, while that of ruling nature can be regarded as founded upon sadism, and in
      contrast with both of them, and beyond both of them, the third attitude of respecting
      and harmoizing with nature requires the sound and fully developed person.

      We further are of the opinion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oday are, because of
      their comprehensiveness and complexity, not just for natural sciences only, but also
      related with economical, and social problems and further with philosophical problems
      investigating their underlying foundation and comprehensive relations, many-sided and
      complex matters, so that there is also needed the so-called ´interdisciplinay
      approach´to deal effectively with them.
      번역하기

      요약문 오늘날의 환경문제를 야기한 근본원인은 단순한 과학·기술적 차원을 넘어선 세계관적 차원, 즉 자연과 세계일반에 대한 인간의 근본태도에서 찾아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

      요약문 오늘날의 환경문제를 야기한 근본원인은 단순한 과학·기술적 차원을 넘어선 세계관적
      차원, 즉 자연과 세계일반에 대한 인간의 근본태도에서 찾아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이와 같은 근본시각에서, 본 논문은 먼저, 오늘날의 환경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제시된
      두가지 극단적인 입장, 즉 무조건적으로 자연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자연주의와 그리고
      과학기술에 의해 야기된 문제는 오로지 과학기술자체 (의 발전)에 의해 해결되어야 한다는
      과학기술주의를 살펴본 뒤에, 그것들이 그 자신의 시각의 일면적 편협성으로 말미암아
      온당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나서 제3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시도하였다.

      그 제3의 대안을 모색하기에 앞서서, 우리는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인간의 세계 내지 자연에
      대한 근본태도의 변천을 추적하여, 고대에서의 자연 (우주)중심주의, 중세에서의 신중심주의,
      그리고 근세에서의 인간중심주의를 각각 부각시키고 나서 과학과 기술에 의한 자연지배의
      태도가 결국은 그 뿌리를 근세의 인간중심주의에 두고 있음을 밝히고, 이것은 자연과
      세계에 순종하는 고대적, 그리고 중세적 근본태도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세계관적 태도임을
      밝혔다. 그러나 우리는 자연에 순응하느냐 또는 자연을 지배하느냐 하는 양자택일을 넘어서 자연을
      인간과 대등한 파트너로 인정하고 그것과 상호 공조하려는 제3의 태도가 다능할 뿐 아니라
      그것은 앞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있어서 유일한 바람직한 태도임을 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태도는 다만 자연에 대한 올바른 태도일 뿐 아니라 온전하고 성숙한 인간의
      표현이기도 할 것이다. 왜냐하면 자연에 대한 일방적 복종의 태도는 정신분석학적
      시각에서는 매조히즘에 근거한 것이고 반면에 자연에 대한 일방적 지배의 태도는 성숙하고
      건전한 인격성의 표현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연과의 올바른 관계의 정립은
      사태의 본성상 올바른, 성숙한 인격의 새로운 발전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우리는 환경문제가 그 다양성과 복합성으로 말미암아 단지 과학기술적인 문제를
      넘어서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 문제와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나라가서 이러한 것들의
      궁극적 근거와 포괄적 연관을 고려하는 철학적 문제의식과도 깊이 연관되어 있는,
      다면적이고 다층적인 문제이므로, 그것을 다루는 데에도 반드시 학제적 (學際的,
      interdisciplinary) 연구방법이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AbstractThe inner causes which brought abou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oday schould net
      only be sought just in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problems, but also in the more
      fundamental dimension of worldveiw, i. e., the attitude of man toward the nature or the
      world as a whole itself.

      In this perspective, we considered critically both the naturalism which persistently
      insists that we should again come back to nature, and the technomania or scienticism
      which says that problems brought about by scientific and technical matters must only
      be resolved by scienific and technical developments themselves, so that we could
      conclude that the two positions are imperfect because of their one-sided narrowness of
      their view-points, and we therefore tried to search for the 3rd position as a possible
      answer. But before that, we pursued the historical change of human attitudes toward nature or
      world, so that we could identify ´the cosmocentricism´of antiquity, the
      ´theocentricism´of middle ages, and the ´anthropocentiricism´of modern times
      respectively. We thereupon insisted that the ruling attitude of man over mature by
      science and thechnology is in effect rooted in the anthropocentricism of modernity which
      stands in sharp contrast with the antique attitude of following and harmonizing with
      nature. We tried further to show that beyond the alternative of one-sidedly following and no
      less one-sidedly ruling nature, there is a possible third choice of recognizing and
      respecting the nature as an equal partner of man and further helping and developing
      each other. Such an attitude is not only the right one toward nature but also the
      expression of a sound and perfect person.

      In psycho-analytic perspective, the attitude of following can be seen as rooted in the
      masochism, while that of ruling nature can be regarded as founded upon sadism, and in
      contrast with both of them, and beyond both of them, the third attitude of respecting
      and harmoizing with nature requires the sound and fully developed person.

      We further are of the opinion that the environmental problems of today are, because of
      their comprehensiveness and complexity, not just for natural sciences only, but also
      related with economical, and social problems and further with philosophical problems
      investigating their underlying foundation and comprehensive relations, many-sided and
      complex matters, so that there is also needed the so-called ´interdisciplinay
      approach´to deal effectively with the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자연주의적 접근법
      • Ⅱ기술주의적 접근법
      • Ⅲ. 자연에 대한 인간의 태도 - 그 역사적 변천과정
      • Ⅳ.결론 : 그 올바른 태도 및 전망
      • Ⅰ.서론 : 자연주의적 접근법
      • Ⅱ기술주의적 접근법
      • Ⅲ. 자연에 대한 인간의 태도 - 그 역사적 변천과정
      • Ⅳ.결론 : 그 올바른 태도 및 전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