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올림픽 구술기록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198246
서울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2016
학위논문(석사) -- 명지대학교 기록정보과학전문대학원 , 스포츠기록분석전공 , 2016. 8
2016
한국어
025.1796 판사항(22)
서울
A Plan for Set up of Olympic Oral History Digital Archives
viii, 103 p. : 삽도 ; 30cm
명지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신문선
권말에 부록 수록
참고문헌 : p.89-93
설명적 각주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올림픽 구술기록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
이 연구는 올림픽 구술기록이 가지는 사회·문화적 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체계적인 관리와 효율적인 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올림픽대회는 대표적인 지구촌 축제로써, 많은 국제 스포츠대회 중 규모가 가장 크며 사회·문화적으로 영향력이 큰 대회이다. 올림픽대회가 진행될 때마다 올림픽스토리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자료나 기록들은 부족하다. 기존의 올림픽 관련 자료들은 대부분 공적 기록물 위주로 존재하고 있다.
올림픽 기록은 대회의 홍보물 또는 행정문서와 경기기록 이외에도 사회적 기억으로써의 의미가 있다. 올림픽대회에서 화려한 성적을 낸 스타선수뿐만 아니라 참가경험이 있는 선수 및 함께 준비한 지도자, 선수단임원 등 그들의 기억은 교훈이 되고 하나의 역사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올림픽 구술기록의 특성을 통해 그 가치를 확인하고, 국내의 올림픽기록물 관리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현황분석을 통한 문제점은 국내에서 관리되고 있는 올림픽 기록 중에는 올림픽의 사회적 기억을 담고 있는 자료가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연구자는 국외의 올림픽 구술기록 관리 선진 사례와 유사사례로 국내 구술영상 서비스 현황조사를 통해 올림픽 구술사 디지털 아카이브의 구축 방안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뿐만 아니라 연구의 전문성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해 전문가 의견수렴을 실시하여 연구결과에 반영하였다.
위의 연구방법들을 종합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생산, 분류 및 기술, 디지털화 과정에 대한 방법론과 디지털 아카이브 서비스 구성 및 방향에 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간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카이브 관리와 공개 서비스 관리가 포함된 올림픽 구술사 디지털 아카이브 구성 기본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생산 및 수집 단계에서는 생산구술기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으며, 올림픽 구술자 및 면담자 선정, 질문지 작성, 면담준비 및 실행, 면담 후 정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분류 및 기술 단계에서는 올림픽 구술기록 특성에 맞는 분류와 더블린코어를 바탕으로 한 기술요소를 제시하였다.
넷째, 디지털 포맷 표준화 단계에서는 매체별로 보존용과 서비스용으로 구분하여 포맷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서비스 단계에서는 웹서비스를 바탕으로 하여 올림픽 구술기록의 이용환경과 올림픽 구술기록의 제공, 올림픽 구술사 디지털 아카이브의 상호작용 서비스와 서비스 활성화 부분으로 정리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대중에게 올림픽의 사회적 기억이 가져다주는 의미를 전달하고, 많은 사람들이 올림픽 구술기록을 이용하면서 보다 풍부하고 사실적인 올림픽의 역사를 인식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set up of digital archives for managing Olympic oral records in order and offering efficient service. Olympic Games are the foremost international sporting event, whose scale is the largest among other sporting competitions. The...
This paper examines set up of digital archives for managing Olympic oral records in order and offering efficient service.
Olympic Games are the foremost international sporting event, whose scale is the largest among other sporting competitions. The event exerts a strong influence on social and cultural areas. More and more people are getting interested in the story about Olympic Games. However, materials and records of it are not enough. Most materials of Olympic Games are official records.
The Oral records about Olympic Games also serve as social memories. Many athletes who reached international stardom or not, coaches, managers, and staffs have memories about Olympic Games. Their memories could be a lesson and history.
I found out problems when I conducting a situation analysis of the domestic management of Olympic archives. While there are many domestically-managed Olympic archives, the archives including social memories of Olympic Games are not enough. I have made a strategy to set up digital archives of Olympic oral history by examining other leading countries’ cases. In addition, I have included the opinion of professionals in this field in order to increase the validity of this research.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producing the Olympic oral records, classification and description, and digitalization. I also suggest how to set service configuration and its desirable direction. The details are as follows.
First, my study suggests a basic conception for the digital archives of Olympic oral history, which includes archive managing and public-service managing.
Second, I mainly address oral-recording producing in collecting and producing stage. And then I address about selecting Olympic narrator and interviewer, completing questionnaires, preparation for interview and execution of interview, closing the interview.
Third, this paper suggests descriptive element based on classification fitted to the trait of Olympic oral records and Dublin Core.
Fourth, I propose formats either for preservation or service according to media in standardizing digital format.
Fifth, I address user environment, the offering of Olympic oral records in a web page, interacting service of Olympic-oral-history digital archives, and facilitating the service.
This article has transmitted the meaning of social memories of Olympic oral records to the public and offered more people chance to perceive the copious but factual history of Olympic Games based on Olympic oral record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