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호영, "홍상수의 초기 영화에 나타난 표현의 미학 in: 해석의 기호학에서 생산의 기호학으로" 한국기호학회 433-462, 2007
						
						
				
				  
				
			
			
		
	
		
			
			
				
				
						
							2 한국기호학회, "해석의 기호학에서 생산의 기호학으로" 한국기호학회 2007
						
						
				
				  
				
			
			
		
	
		
			
			
				
				
						
							3 백선기, "한국영화 속의 서사구조와 사화상과의 맥락적 연계 in: 해석의 기호학에서 생산의 기호학으로" 한국기호학회 65-98, 2007
						
						
				
				  
				
			
			
		
	
		
			
			
				
				
						
							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2004
						
						
				
				  
				
			
			
		
	
		
			
			
				
				
						
							5 브링커,클라우스(Klaus Brinker),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역락 2004
						
						
				
				  
				
			
			
		
	
		
			
			
				
				
						
							6 안정오, "텍스트언어학과 인접학문" 23 : 73-94, 2005
						
						
				
				  
				
			
			
		
	
		
			
			
				
				
						
							7 띠냐노프, "영화의 형식과 기호" 열린 책들 1995
						
						
				
				  
				
			
			
		
	
		
			
			
				
				
						
							8 파울스티히,베르너(Werner Faulstich), "영화의 분석 (Einfuehrung in die Filmanalyse)" 미진사 2003
						
						
				
				  
				
			
			
		
	
		
			
			
				
				
						
							9 서인숙, "영화분석과 기호학" 집문당 1998
						
						
				
				  
				
			
			
		
	
		
			
			
				
				
						
							10 로트만, 유리(Juri Lotman), "영화기호학" 민음사 1994
						
						
				
				  
				
			
			
		
	
		
	
		
	
		
	
		
	
		
	
		
	
		
	
		
	
		
	
		
	
		
	
		
	
		
	
		
	
		
	
	 
	
		
		
			
				
				
						
							1 김호영, "홍상수의 초기 영화에 나타난 표현의 미학 in: 해석의 기호학에서 생산의 기호학으로" 한국기호학회 433-462, 2007
						
						
				
				
				
			
		
	
		
			
				
				
						
							2 한국기호학회, "해석의 기호학에서 생산의 기호학으로" 한국기호학회 2007
						
						
				
				
				
			
		
	
		
			
				
				
						
							3 백선기, "한국영화 속의 서사구조와 사화상과의 맥락적 연계 in: 해석의 기호학에서 생산의 기호학으로" 한국기호학회 65-98, 2007
						
						
				
				
				
			
		
	
		
			
				
				
						
							4 한국텍스트언어학회,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박이정 2004
						
						
				
				
				
			
		
	
		
			
				
				
						
							5 브링커,클라우스(Klaus Brinker), "텍스트언어학의 이해" 역락 2004
						
						
				
				
				
			
		
	
		
			
				
				
						
							6 안정오, "텍스트언어학과 인접학문" 23 : 73-94, 2005
						
						
				
				
				
			
		
	
		
			
				
				
						
							7 띠냐노프, "영화의 형식과 기호" 열린 책들 1995
						
						
				
				
				
			
		
	
		
			
				
				
						
							8 파울스티히,베르너(Werner Faulstich), "영화의 분석 (Einfuehrung in die Filmanalyse)" 미진사 2003
						
						
				
				
				
			
		
	
		
			
				
				
						
							9 서인숙, "영화분석과 기호학" 집문당 1998
						
						
				
				
				
			
		
	
		
			
				
				
						
							10 로트만, 유리(Juri Lotman), "영화기호학" 민음사 1994
						
						
				
				
				
			
		
	
		
			
				
				
						
							11 안정오, "상호텍스트성의 관점에서 본 표절텍스트"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2 : 121-142, 2007
						
						
				
				
				
			
		
	
		
			
				
				
						
							12 트라반트,유르겐(Juergen Trabant), "기호학의전통과 경향 (Elemente der Semiotik)" 인간사랑 2001
						
						
				
				
				
			
		
	
		
			
				
				
						
							13 반 데이크(Teun A. van Dijk), "Textwissenschaft" 아르케 2000
						
						
				
				
				
			
		
	
		
			
				
				
						
							14 Coseriu, E., "Textlinguistik" 1980
						
						
				
				
				
			
		
	
		
			
				
				
						
							15 Heinemann, W., "Textlinguistik" 1991
						
						
				
				
				
			
		
	
		
			
				
				
						
							16 Dijk, van. T., "Some aspects of Text Grammar" 1972a
						
						
				
				
				
			
		
	
		
			
				
				
						
							17 Harweg, R., "Pronomina und Textkonstitution" 1968
						
						
				
				
				
			
		
	
		
			
				
				
						
							18 Vater, H., "Pro-Formen des Deutschen ; Textgrammatik. Beitraege zum Problem der Textualitaet" 20-42, 1975
						
						
				
				
				
			
		
	
		
			
				
				
						
							19 바느와, 프랑시스, "Precis d'analyse filmique" 한나래 1997
						
						
				
				
				
			
		
	
		
			
				
				
						
							20 Dijk, van. T., "Philosophy of action and theory of Narrative" 5 : 287-338, 1976a
						
						
				
				
				
			
		
	
		
			
				
				
						
							21 Dijk, van. T., "Narrative Macro-Structures" 1 : 547-568, 1976b
						
						
				
				
				
			
		
	
		
			
				
				
						
							22 Propp, V., "Morphology of the Folktale" 1968
						
						
				
				
				
			
		
	
		
			
				
				
						
							23 보그란데, "Introduction to Textlinguistics" 한신문화사 1995
						
						
				
				
				
			
		
	
		
			
				
				
						
							24 Dressler, W., "Einfuehrung in die Textlinguistik" 1973
						
						
				
				
				
			
		
	
		
			
				
				
						
							25 Dijk, van. T., "Beitraege zur generativen Poetik" 1972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