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역할 유형과 양육방식 그리고 아동의 성이란 세 가지 독립변인이 자녀의 남성성/여성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90492
변명숙 (메종프로그레스 발달상담심리센터)
2010
Korean
부모의 성역할 유형 ; 양육방식 ; 아동의 성 ; 아동의 남성성과 여성성
377.2505
학술저널
43-62(2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역할 유형과 양육방식 그리고 아동의 성이란 세 가지 독립변인이 자녀의 남성성/여성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성역할 유형과 양육방식 그리고 아동의 성이란 세 가지 독립변인이 자녀의 남성성/여성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아동 392명과 그 부모392쌍이었다. 아동에게는 KCSRI(한국판 아동용 성역할검사)와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을 측정하고, 그 부모에게는 KSRI(한국판 성역할검사)를 측정하였다.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은 이숙(1988)이 한국아동을 대상으로 표준화한 검사도구로 측정하였다. 부모의 성역할 유형은 양성적 유형, 여성적 유형, 남성적 유형, 미분화 유형 네 가지로 나누었고, 부모의 양육방식은 온정성 요인과 거부·권위주의 요인으로 분류한 후 각각 상, 중, 하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아동의 성은 남녀 두 수준이었다. 종속변인은 아동의 남성성점수와 여성성점수였다. 자료는 각 부모에 대해 4×3×2 삼원 변량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한 아버지의 온정성 수준이 ‘하’이거나 ‘중’일 때는, 남성성이 높은 아버지(양성적 아버지나 남성적 아버지)의 딸이 남성성이 낮은 아버지(여성적 아버지나 미분화된 아버지)의 딸보다 더 여성성점수가 높았다. 반대로 지각한 아버지의 온정성 수준이 ‘상’일 때는, 미분화된 아버지의 딸이 다른 집단에 속하는 아버지의 딸보다 여성성점수가 훨씬 더 높게 나타났다. 한편 지각한 아버지의 온정성 수준이 ‘하’일 경우, 여성적 아버지집단의 아들이 여성성점수가 가장 높았지만, ‘중’, ‘상’일 때는, 양성적 아버지집단의 아들의 여성성점수가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아버지의 성역할 유형, 양육방식, 아동의 성이 아동의 여성성에 상호작용효과를 미치고 있었다. 이 결과는 ‘자녀의 성역할 유형과 부모의 성역할 특성간의 관계’ 혹은 ‘자녀의 성역할 유형과 부모의 양육방식간의 관계’에서와 같이 ‘일 대 일 변인 관계’로만 보았던 기존의 연구에서는 간과되었던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