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태구, "피겨 스케이팅 심판 판정에 대한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756-769, 2016
2 조은형, "태권도 품새 경기의 주관적 평가결과의 오차원 분석: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395-407, 2016
3 조한무, "체육교육에서 대안평가의 탐색" 1 (1): 61-74, 1999
4 조정환, "주관적 운동기술 평가의 외재변인과 채점전략" 12 : 574-584, 1996
5 신진이, "전문가들의 주관적 평가에 대한 객관적 지수: 동의계수들의 비교" 한국체육학회 54 (54): 601-616, 2015
6 김성숙, "일반화가능도 이론" 교육과학사 2001
7 조은형, "여자 기계체조 이단평행봉 종목 심판 판정에 대한 오차원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9 (19): 57-69, 2017
8 석진수, "스키 레벨Ⅱ 심사자의 객관도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8 (18): 63-76, 2016
9 대한스키지도자연맹, "스노보드 교본" 대한스키지도자연맹 2019
10 조은형, "리듬체조경기의 난도(D) 및 실시(E)에 대한 평가결과의 오차원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7 (17): 13-22, 2015
1 이태구, "피겨 스케이팅 심판 판정에 대한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7 (27): 756-769, 2016
2 조은형, "태권도 품새 경기의 주관적 평가결과의 오차원 분석: 일반화가능도 이론 적용"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395-407, 2016
3 조한무, "체육교육에서 대안평가의 탐색" 1 (1): 61-74, 1999
4 조정환, "주관적 운동기술 평가의 외재변인과 채점전략" 12 : 574-584, 1996
5 신진이, "전문가들의 주관적 평가에 대한 객관적 지수: 동의계수들의 비교" 한국체육학회 54 (54): 601-616, 2015
6 김성숙, "일반화가능도 이론" 교육과학사 2001
7 조은형, "여자 기계체조 이단평행봉 종목 심판 판정에 대한 오차원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9 (19): 57-69, 2017
8 석진수, "스키 레벨Ⅱ 심사자의 객관도 평가"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8 (18): 63-76, 2016
9 대한스키지도자연맹, "스노보드 교본" 대한스키지도자연맹 2019
10 조은형, "리듬체조경기의 난도(D) 및 실시(E)에 대한 평가결과의 오차원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7 (17): 13-22, 2015
11 이태구, "리듬체조 심판판정의 신뢰도 및 오차요인 분석" 국민체육진흥공단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8 (28): 337-350, 2017
12 "대한스키협회"
13 "대한스키지도자연맹"
14 최윤선, "다국면 Rasch 모형을 적용한 동아무용콩쿠르 현대무용수 심사자의 평정(評定) 분석"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 13 (13): 53-62, 2011
15 Siedentop, D., "Student learning in physical education. Applying research to enhance instruction" Human Kinetics 1996
16 Baumgartner, T. A., "Measurement for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exercise science" WCB McGraw-Hill 2006
17 Gao, X., "Generalizability of Large-Scale Performance Assessments in Science : Promises and Problems" 7 (7): 323-342, 1994
18 Brennan, R. L., "Generalizability Theory" Springer 2001
19 Stiggins, R., "Design and development of performance assessment" 6 (6): 33-42, 1987
20 Hensely, L. D., "Alternative assessment for physical education" 68 (68): 19-24,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