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극소 미숙아(재태 연령 25주 이하)에서 발생한 조기 패혈증의 임상적 특징 =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Onset Sepsis in Micropreemie Born at 25 or Less than 25 Weeks of Gestational 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499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재태 연령 25주 이하의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패혈증의 발생률 및 원인균,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

      목적: 재태 연령 25주 이하의 초극소 미숙아에서 조기 패혈증의 발생률 및 원인균, 임상적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13년 1월부터 2015년 8월까지 삼성서울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환자들 중 재태 연령 25주 이하의 미숙아 107명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조기 패혈증 군과 대조군 간의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주요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을 비교 하였으며, 주산기 인자와 생후 1주일 이내의 혈액학적 검사 결과를 비교 하였다. 결과: 총 107명의 환자들 중 11명이 조기 패혈증으로 진단되었으며 주 원인균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 (45.5%)이었다. 조기 패혈증 군과 대조군 간의 재태 연령, 출생 체중, 아프가 점수, 질식 분만 빈도, 조직학적 융모 양막염 빈도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조기 패혈증 군의 11명 중 9명에서 태아 빈맥을 보였으며(P=0.001), 조기 패혈증 군에서 생후 3일째와 생후 7일째에 낮은 혈소판 수치를 보였다(P=0.033, P=0.045). 주요 질환의 이환율과 사망률은 두 군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조기 패혈증 군의 사망 환아 4명중 3명의 직접 사인이 조기 패혈증 이었다. 결론: 조기 패혈증의 초기 적절한 치료는 초극소 미숙아의 생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태아 빈맥과 낮은 혈소판 수치는 조기 패혈증과 연관성을 보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onset sepsis (EOS) in micropreemi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07 extremely preterm infants born at 25 or less than 25 weeks of gestation and adm...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arly onset sepsis (EOS) in micropreemi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07 extremely preterm infants born at 25 or less than 25 weeks of gestation and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Samsung Medical Center from January 2013 to August 2015. Inf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presence of culture-proven EOS in the first 7 days of life. Retrospective analysis of perinatal factors and laboratory findings within the first week of life was done between two groups. We compared the neonatal outcomes among two groups. Results: Culture-proven EOS was diagnosed in 11 of 107 infants (10.3%). Main pathogen of EOS was Staphylococcus epidermidis (45.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control group and EOS group i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Apgar score, delivery type and pathologic chorioamnionitis. Among 11 infants with EOS, 9 showed fetal tachycardia (P=0.001). And EOS group presented lower platelet count at 3rd day and 7th day of life than that of control group (P=0.033, P=0.045). Neonatal outcomes in EOS group were compatible with control group. Main cause of death was sepsis in EOS group. Conclusion: In micropreemie, EOS is important factor of mortality. Our data suggest that fetal tachycardia and low platelet count during the first 7 days of life were associated with EO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