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개매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The Effect of Tender-offer on the Value of the Firm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68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nder-offer on the value of the firm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applied an event study methodology to 65 cases(bidding firm : 26, target firm : 39) of tender-offer and 164 cases(bidding firm : 144, target firm : 20) of merger announcements made between January 1st, 1994 and September 30th 2004.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or tender-offer announc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arget firm’s valu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idding firm’s value. In contrast, for merger announc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idding firm’s valu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arget firm’s value. In addition, the synergy effect of tender-offer was higher than that of merger. The results support the Berkovitch and Khanna(1991)’s prediction that bidding firms choose tender-offer rather than merger in the presence of higher synergy profit from M&A.
      번역하기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nder-offer on the value of the firm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applied an event study methodology to 65 cases(bidding firm : 26, target firm : 39) of tender-offer and 164 cases(bidding firm : 144, t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ender-offer on the value of the firm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study applied an event study methodology to 65 cases(bidding firm : 26, target firm : 39) of tender-offer and 164 cases(bidding firm : 144, target firm : 20) of merger announcements made between January 1st, 1994 and September 30th 2004. We found the following results.
      For tender-offer announc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arget firm’s valu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bidding firm’s value. In contrast, for merger announcements,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bidding firm’s valu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arget firm’s value. In addition, the synergy effect of tender-offer was higher than that of merger. The results support the Berkovitch and Khanna(1991)’s prediction that bidding firms choose tender-offer rather than merger in the presence of higher synergy profit from M&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공개매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공개매수 공시일 전후의 기업가치 변화를 합병의 경우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개매수와 합병의 비교검증에서 공개매수의 공시효과는 제의기업에서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고 대상기업에서는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이 발견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합병의 공시효과는 제의기업에서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이, 대상기업에서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개매수가 대상기업과 제의기업을 합한 총 초과수익률에서 합병의 경우보다 높고, 그 대부분은 제의기업보다는 대상기업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개매수와 합병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존재하며, Berkovitch and Khanna(1991)의 모형에서 제시한 것처럼 공개매수는 합병보다 더 높은 시너지이익이 가능한 경우에 발생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증거로 해석된다.
      둘째, 공개매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타율적인 공개매수에 관해 자본시장이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② 적대적 공개매수에 대해 제의기업이 지나친 비용을 지출하는 것으로 자본시장이 해석하며 ③ 지급수단(medium of payment)이 기업의 내재가치를 나타내는 신호 역할을 수행하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또한 ④ 비계열사 간의 공개매수는 제의기업과 대상기업 모두 기업가치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⑤ 공개매수 기간이 끝난 후에는 실패의 경우 제의기업의 주가는 급락하였으나, 대상기업의 주가는 오히려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⑥ 비상장기업이 상장기업을 상대로 공개매수를 제의하는 것이 상장기업간의 공개매수 경우보다 대상기업의 기업가치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공개매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공개매수 공시일 전후의 기업가치 변화를 합병의 경...

      본 연구에서는 한국증권선물거래소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공개매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공개매수 공시일 전후의 기업가치 변화를 합병의 경우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개매수와 합병의 비교검증에서 공개매수의 공시효과는 제의기업에서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고 대상기업에서는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이 발견되었다. 이와 대조적으로 합병의 공시효과는 제의기업에서 유의한 양(+)의 초과수익률이, 대상기업에서는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개매수가 대상기업과 제의기업을 합한 총 초과수익률에서 합병의 경우보다 높고, 그 대부분은 제의기업보다는 대상기업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공개매수와 합병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으로 존재하며, Berkovitch and Khanna(1991)의 모형에서 제시한 것처럼 공개매수는 합병보다 더 높은 시너지이익이 가능한 경우에 발생한다는 주장을 지지하는 증거로 해석된다.
      둘째, 공개매수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타율적인 공개매수에 관해 자본시장이 부정적으로 반응하고 ② 적대적 공개매수에 대해 제의기업이 지나친 비용을 지출하는 것으로 자본시장이 해석하며 ③ 지급수단(medium of payment)이 기업의 내재가치를 나타내는 신호 역할을 수행하는 증거가 발견되었다. 또한 ④ 비계열사 간의 공개매수는 제의기업과 대상기업 모두 기업가치에 유리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⑤ 공개매수 기간이 끝난 후에는 실패의 경우 제의기업의 주가는 급락하였으나, 대상기업의 주가는 오히려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⑥ 비상장기업이 상장기업을 상대로 공개매수를 제의하는 것이 상장기업간의 공개매수 경우보다 대상기업의 기업가치에 유리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합병일 이후 합병기업 주가의 장기성과" 16 : 83-114, 1999a

      2 "합병관련기업 기업가치 변화의 결정요인" 19 (19): 77-109, 2002

      3 "한국에서의 기업합병의 성과에 관한 연구:Cashflow를 중심으로" 20 : 71-103, 1997

      4 "한국기업합병의 동기와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1989.

      5 "한국기업지배권시장에서 합병이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가?" 16 : 119-156, 1999b

      6 "코스닥시장에서 합병공시가 주주부에 미치는 효과" 32 (32): 707-732, 2003

      7 "증권시장개방과 M&A공시효과" 13 (13): 245-275, 2000

      8 "증권거래법 개정과 합병공시효과" 21 (21): 59-86, 2004

      9 "사건연구에서의 주식성과 측정" 301-327, 1997

      10 "기업합병의 시너지효과와 부의 이전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1994.

      1 "합병일 이후 합병기업 주가의 장기성과" 16 : 83-114, 1999a

      2 "합병관련기업 기업가치 변화의 결정요인" 19 (19): 77-109, 2002

      3 "한국에서의 기업합병의 성과에 관한 연구:Cashflow를 중심으로" 20 : 71-103, 1997

      4 "한국기업합병의 동기와 성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1989.

      5 "한국기업지배권시장에서 합병이 새로운 부를 창출하는가?" 16 : 119-156, 1999b

      6 "코스닥시장에서 합병공시가 주주부에 미치는 효과" 32 (32): 707-732, 2003

      7 "증권시장개방과 M&A공시효과" 13 (13): 245-275, 2000

      8 "증권거래법 개정과 합병공시효과" 21 (21): 59-86, 2004

      9 "사건연구에서의 주식성과 측정" 301-327, 1997

      10 "기업합병의 시너지효과와 부의 이전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1994.

      11 "기업합병의 성과 및 성과원인 변수에 관한 실증연구" 1991.

      12 "기업합병과 주식취득이 주주의 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13 "기업합병과 인수의 경제적 동기와 기업가치 증대요인" (2) : 1998

      14 "기업합병 및 인수가 주주부에 미치는 영향" 1990.

      15 "기업집단과 대리인 문제 : 재벌 및 비재벌 인수기업의 합병성과 비교 연구" 14 (14): 49-88, 2001

      16 "기업지배구조가 인수합병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21 (21): 1-25, 2004

      17 "Tobin’s Q and The Gains from Successful Tender offers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137-154, 1989

      18 "The returns to acquiring firms in tender offers Evidence from three decades" 12-19, 1989b

      19 "The rationale behind interfirm tender offers Information or synergy?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1983183-206.

      20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The empirical evidence since 1980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49-68, 1988

      21 "The combined effect of free cash flow and financial slack on bidder and target stock Journal of Business" 281-310, 1994

      22 "The Wealth Effect of Merger Activity and the Objective Functions of Merging Firms" 11 : 155-181, 1983

      23 "The Post-merger Performance of Acquiring Firms A Re-examination of An Anomaly Journal of Finance" 1605-1621, 1992

      24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5-50, 1983

      25 "The Gains to Bidding Firms from Merger" 11 : 121-139, 1983

      26 "The Economics of Parent-subsidiary Mergers:an Empirical Analysis" 49 : 255-279, 1998

      27 "The Case of Event Studies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3-31, 1985

      28 "Tender Offers and Stockholder Returns" 5 : 351-373, 1977

      29 "Synergistic Gains from Corporate Acquisition and Their Division between The Stockholders of Targets and Acquiring Firms" 21 : 3-40, 1988

      30 "Stock trading before the announcement of tender offers Insider trading or market anticipation? Journal of Law" eco (eco): 225-248, 1989a

      31 "Specialized Resources and Competition in the Market for Corporate Control University of Michigan" 1982.

      32 "Methods of Payment Journal of Finance" tras : 943-963,

      33 "Merger Returns and the Form of Financing" Harvard Univ.

      34 "Measuring Security Price Performance" 8 : 205-258, 1980

      35 "Markup Pricing in Mergers and Acquisitions" Cambridge,USA 1-44, 1996

      36 "M&A에 있어서 가격결정과 주가행태" 16 (16): 1-38, 2003

      37 Dodd, "Journal of Financial Economics" 105-137, 1980

      38 "Journal of Finance" 31-48, 1990

      39 "Journal of Finance" merger an (merger an): 855-868, 1981

      40 "Glamour, Value and The Post-acquisition Performance of Acquiring Firms" 49 : 223-253, 1998

      41 "Empirical Estimates of the Amount & Distribution of Gains to Companies in Mergers" 554-575, 1983

      42 "Dose Corporate Performance Improve After Merger?" 31 : 135-175, 1992

      43 "Do Long-Term Shareholders Benefit from Corporate Acquisitions?" 52 (52): 1765-1790, 1997

      44 "A Theory of Choice of Exchange Medium in Mergers and Acquisitions" 60 : 75-95, 1987

      45 "A Theory of Acquisition Market The Review of Financial Studies" 149-174, 1991

      46 "3rd. ed. Addison-Wesley" 1988.

      47 ""Merger Bids,Uncertainty,and Stockholder Returns" 11 : 51-83, 1983

      48 ""Horizontal Mergers,Collusion and Stockholder Wealth" 11 : 241-273, 19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2 1.145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