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술통계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재난안전 분야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research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network analys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94700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7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광운대학교 환경대학원 , 재난안전관리전공 , 2017.2

      • 발행연도

        2017

      • 작성언어

        한국어

      • DDC

        363.34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형태사항

        xiv, 378 p.: 삽도, 표;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 양원직
        참고문헌 수록

      • 소장기관
        • 광운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ost of the disaster safety studies have limitations in analyzing trends of disaster safety research as the analysis of research contents is mainly used rather than the relation of research concept. In addition, the systematic analysis of related stud...

      Most of the disaster safety studies have limitations in analyzing trends of disaster safety research as the analysis of research contents is mainly used rather than the relation of research concept. In addition, the systematic analysis of related studies is insuffic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for knowledge structure analysis and research trend based on disaster safety research up to recent studies. To do this, conducte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for the papers published in four journals from 2011 to 2015.
      As a results of disaster safety research within five year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research institutes,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themes are increasing. Second, the disaster safety related researchers had a high proportion of the researchers who published one to ten articles and the researchers who is associated in one academic society. The collaborative research behaviors of the researchers were two co-author type and the joint research rate was 81.6%.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23 researchers, with the largest study group consisting of 1,266 researchers which is 34.32% of the total. The researchers who published most papers were ‘Kyung-Sik Kang’ and ‘Moo-Jeong Park’, and the core researchers were ‘Jong-Seok Kim’ and ‘Sang-Man Jeong’. Third, the disaster safety related research institute had a high proportion of one to ten research paper publication and relate activities on one research academy. The most common type of collaborative research was independent research by organization and the rate of the joint research was only 49.1%.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49 groups. The largest research group consisted of 632 research institutes, which is 92.1% of the total. The research institutes that published the most papers were’ Seoul Science and Technology University’ and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e research focused institutes are nine institution which i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University’, ‘National Disaster Safety Institute’, ‘Pukyong National University’,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City University’, ‘Inheon University’, ‘Inha University’, ‘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s Technology’. Fourth the theme of disaster safety related research was a high proportion of the research topics published in one to ten research papers and related activities on one research academy. Four research themes were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and 97.3% of them were collaborative.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597 research groups, which consisted of 5,824 research themes, accounting for 67.9% of the total. The research topics published in the most papers are ‘AHP’ and ‘FEM’ and the research focused theme were ‘AHP,' ‘FEM,' ‘Fire,' ‘GIS,' ‘numerical analysis,' ‘RC,' ‘Safety.' Last, the trends of research topics by year are as follows: ‘FEM’, ‘FRP’, ‘GIS’, ‘numerical analysis’ in 2011, ‘Climate change’, ‘High rise building’ in 2012,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RC’, in 2013, ‘Fire’,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in 2014, ‘ Debris flow’, ‘Landslide’ in 2015.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knowledge structure of domestic disaster safety by research based on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and network analysis which presenting the standard point of current disaster safety research. In addition, although domestic disaster safety research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ed, there were not many previous studies that propose a comprehensive analysis which makes this research meaningfu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민소득 수준이 3만 불이 넘어서면서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서 CCTV 등과 같은 사고예방을 위한 활동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재난안전과 관련한 연...

      국민소득 수준이 3만 불이 넘어서면서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일상생활에서 CCTV 등과 같은 사고예방을 위한 활동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재난안전과 관련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고 있지만 타 분야와 달리 연구동향을 파악하여 현재 상황을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는 거의 전무한 상황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재난안전 관련 연구의 대부분은 연구 개념의 관계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여 재난안전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는데 한계점을 갖고 있어 관련된 체계적인 분석이 미흡한 것이 현실이다.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재난안전 연구를 토대로 지식구조분석 및 연구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5년까지 4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대상으로 기술통계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실시하였다.
      재난안전 관련 지난 5년간 연구의 분석결과는 첫째, 재난안전 관련 논문은 논문 수, 연구자 수, 연구기관 수, 연구주제 수 모두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둘째, 재난안전 관련 연구자는 1∼10편을 발표한 연구자와 1개 학회에서 활동한 연구자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자들의 공동연구 행태는 2인 공저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연구 비율은 81.6%였다. 연구그룹은 523개로 가장 큰 연구그룹은 1,266명의 연구자로 구성되며, 전체의 34.32%를 차지하였다.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연구자는 ‘강경식’, ‘박무종’이고, 중심연구자는 ‘김응석’, ‘정상만’으로 나타났다. 셋째, 재난안전 관련 연구기관은 1∼10편을 발표한 연구기관과 1개 학회에서 활동한 연구기관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기관들의 공동연구 행태는 단독기관 연구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연구 비율은 49.1%였다. 연구그룹은 49개로 가장 큰 연구그룹은 632곳의 연구기관으로 구성되며, 전체의 92.1%를 차지하였다.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연구기관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고, 중심연구기관은 ‘강원대학교’, ‘고려대학교’,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부경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인천대학교’, ‘인하대학교’,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9곳으로 나타났다. 넷째, 재난안전 관련 연구주제는 1∼10편을 발표한 연구주제와 1개 학회에서 연구된 연구주제의 비중이 높았고, 연구주제들의 공동연구 행태는 4개 연구주제 형태가 가장 많았으며, 공동연구 비율은 97.3%였다. 연구그룹은 597개로 가장 큰 연구그룹은 5,824개의 연구주제로 구성되며, 전체의 67.9%를 차지하였다. 가장 많은 논문에 발표된 연구주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와 ‘FEM’이고, 중심연구주제는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FEM(Finite Elements Method)’, ‘Fire’,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umerical analysis’, ‘RC(Reinforced Concrete)’, ‘Safety’ 7개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도별 연구주제의 변화 추이를 살펴보면, 2011년에는 ‘FEM(Finite Elements Method)’, ‘FRP’,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numerical analysis’, 2012년에는 ‘Climate change’, ‘High rise building’, 2013년에는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RC(Reinforced Concrete)’, 2014년에는 ‘Fire’, ‘Forest fire’, ‘numerical analysis’, 2015년에는 ‘Debris flow’, ‘Landslide’로 연구주제 변화를 확인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 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2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제 1장 서론 1
      •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1.1.1. 연구의 배경 1
      • 1.1.2. 연구의 목적 2
      • 1.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3
      • 1.2.1. 연구의 내용 3
      • 1.2.2. 연구의 방법 3
      • 1.3. 연구의 구성 및 흐름 4
      • 1.3.1. 연구의 구성 4
      • 1.3.2. 연구의 흐름 5
      • 제 2장 기존 연구 현황 7
      • 2.1. 일반사항 7
      • 2.2. 지식구조 분석 사례 7
      • 2.2.1. 국외 지식구조 분석 사례 7
      • 2.2.2. 국내 지식구조 분석 사례 9
      • 2.3. 지식구조 분석법에 대한 고찰 11
      • 2.3.1. 기술통계 분석 11
      • 2.3.2. 네트워크 분석 12
      • 2.3.3. 지식구조 분석 14
      • 2.4. 본 연구의 차별성 16
      • 제 3장 분석 방법 17
      • 3.1. 일반사항 17
      • 3.2. 데이터 분석기법 18
      • 3.2.1. 기술통계 분석 18
      • 3.2.2. 네트워크 분석 20
      • 3.3. 분석 절차 23
      • 3.4. 분석 대상 선정 25
      • 3.5. 데이터 정제 28
      • 제 4장 분석결과 30
      • 4.1. 일반사항 30
      • 4.2. 연구자 지식구조 분석 30
      • 4.2.1. 일반 현황 분석 30
      • 4.2.2. 연구자 Top 10 분석 32
      • 4.2.3. 연구자 공동연구 행태 분석 34
      • 4.2.4. 연구자 연구그룹 분석 36
      • 4.2.5. 중심연구자 분석 39
      • 4.2.6. 분석결과에 대한 고찰 80
      • 4.3. 연구기관 지식구조 분석 80
      • 4.3.1. 일반 현황 분석 80
      • 4.3.2. 연구기관 Top 10 분석 83
      • 4.3.3. 연구기관 공동연구 행태 분석 85
      • 4.3.4. 연구기관 연구그룹 분석 86
      • 4.3.5. 중심연구기관 분석 89
      • 4.3.6. 분석결과에 대한 고찰 130
      • 4.4. 연구주제 지식구조 분석 130
      • 4.4.1. 일반 현황 분석 130
      • 4.4.2. 연구주제 Top 10 분석 133
      • 4.4.3. 공동연구주제 분석 136
      • 4.4.4. 연구주제 연구그룹 분석 138
      • 4.4.5. 중심연구주제 분석 140
      • 4.4.6. 분석결과에 대한 고찰 181
      • 제 5장 요약 및 결론 182
      • 5.1. 요약 182
      • 5.2. 결론 18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