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부위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암세포 억제 효과,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을 위해 참당귀 꽃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82659269
2011
Korean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1079-1085(7쪽)
8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부위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암세포 억제 효과,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을 위해 참당귀 꽃의 ...
본 연구에서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꽃 부위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암세포 억제 효과, 항당뇨 활성, 항비만 활성, 항염 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항산화 활성 검정을 위해 참당귀 꽃의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 대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을 측정한 결과 IC50 값이 각각 3,535, 105.0 ㎍/㎖로 나타났으며, 대조구로 쓰인 ascorbic acid는 12.7 ㎍/㎖을 나타냈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에탄올 추출물 (48.43±0.18 ㎎/g)이 물 추출물(39.03±0.69 ㎎/g)보다 높았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에탄올 추출물(67.02±4.38 ㎎/g)이 물 추출물(50.32±1.24 ㎎/g)보다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항당뇨 활성을 위해 α-glucosidase와 α-amylase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acarbose 대비 약 34.45%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고, α-amylase 활성 저해 효과는 에탄올 추출물이 acarbose 대비 23.62%의 낮은 활성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Pancreatic lip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참당귀 꽃 물 추출물은 16.76%의 낮은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항암 및 항염활성 측정 결과 모두 활성이 없거나 낮은 수준이었다. 이러한 결과 참당귀 꽃 추출물은 항산화 관련 기능성 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flowers of Angelica gigas Nakai. The IC??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3,535 and 105.0 ㎍/㎖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whereas it was 12.7 ㎍/㎖ f...
We investigated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extracts from the flowers of Angelica gigas Nakai. The IC?? of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3,535 and 105.0 ㎍/㎖ in the water and ethanol extracts, respectively, whereas it was 12.7 ㎍/㎖ for ascorbic aci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of the ethanol extracts (48.43±0.18 ㎎/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s (39.03±0.69 ㎎/g). The flavonoid content of the ethanol extracts (67.02±4.38 ㎎/g) was higher than that of the water extracts (50.32±1.24 ㎎/g). The ethanol extract showed a 34.45% lower α-glucosidase inhibition activity than that for acarbose. The ethanol extract showed a 23.62% lower α-amylase inhibition activity compared with that for acarbose. The water extract showed 16.76% lower pancreatic lipase inhibition activity. Anti-cancer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was also low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flower of Angelica gigas Nakai may be useful as an anti-oxidative agen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생약 추출물의 탐색"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221-226, 2006
2 조민구,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352-357, 2003
3 강순아, "참당귀(Angelica gigas)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112-1118, 2004
4 김강민,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의 분리 및 정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653-656, 2009
5 허진선, "참당귀 잎, 줄기혼합물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 및 그 활성작용" 한국생명과학회 20 (20): 750-759, 2010
6 서권일,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655-661, 2007
7 손추영, "신약 개발을 위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 작용" 대한약학회 53 (53): 300-313, 2009
8 오혜숙, "산수유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찜류용 기능성 간장소스 개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550-558, 2006
9 권승혁,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287-291, 2009
10 박유화,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줄기로부터 항염 활성물질 β-Sitosterol의 분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980-985, 2010
1 김영진, "항비만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을 위한 생약 추출물의 탐색" 한국응용생명화학회 49 (49): 221-226, 2006
2 조민구, "참당귀와 일당귀의 부위별 휘발성 정유성분 비교" 한국약용작물학회 11 (11): 352-357, 2003
3 강순아, "참당귀(Angelica gigas)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과 항산화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3 (33): 1112-1118, 2004
4 김강민,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중 Decursin 및 Decursinol Angelate의 분리 및 정제"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653-656, 2009
5 허진선, "참당귀 잎, 줄기혼합물과 뿌리 추출물의 생리활성물질 및 그 활성작용" 한국생명과학회 20 (20): 750-759, 2010
6 서권일, "참당귀 Methanol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 14 (14): 655-661, 2007
7 손추영, "신약 개발을 위한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 추출 Decursin과 Decursinol Angelate의 약리 작용" 대한약학회 53 (53): 300-313, 2009
8 오혜숙, "산수유 열수추출물을 첨가한 찜류용 기능성 간장소스 개발"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1 (21): 550-558, 2006
9 권승혁, "산수유 에탄올 추출물의 생리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8 (38): 287-291, 2009
10 박유화,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 줄기로부터 항염 활성물질 β-Sitosterol의 분리"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980-985, 2010
11 최혜정, "번행초 추출물의 당뇨관련 효소에 관한 저해 활성" 한국생물공학회 23 (23): 419-424, 2008
12 이정민, "마전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Alpha-Glucosidase 저해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9 (39): 1243-1248, 2010
13 오원경, "등나무 꽃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37 (37): 677-683, 2008
14 윤경원, "당귀속 2종 식물의 항균활성" 한국자원식물학회 17 (17): 278-282, 2004
15 장상근, "곰취 분말 및 당귀 열수추출물의 생리활성을 활용한 기능성 냉면의 제조"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3 (23): 479-488, 2008
16 이선구, "강원도 재배 참당귀 및 일당귀의 활성에 대한 비교연구" 대한동의병리학회 22 (22): 1158-1162, 2008
17 김명조, "가시오갈피 유식물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물질" 한국약용작물학회 13 (13): 194-198, 2005
18 Houghton PJ, "α-Amylase inhibitory activity of some Malaysian plants used to treat diabetes with particular reference to Phyllanthus amarus" 107 : 449-455, 2006
19 Kawg JJ,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the domestic angelica root (Angelica gigas Nakai) extracts" 20 : 210-217, 1998
20 Jia Z,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64 : 555-559, 1999
21 박만중, "Streptozotocin 유도 흰쥐에서 참당귀(Angelica gigas Naki) 추출물의 당뇨 개선 효과" 한국식품영양학회 22 (22): 246-251, 2009
22 Bai G, "Screening α-glucosidase inhibitors in traditional Chinese medicines" 37 : 98-102, 2004
23 Gutfinger T, "Polyphenols in olive oils" 58 : 996-968, 1981
24 Shahidi F, "Phenolic antioxidant" 32 : 67-103, 1992
25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8-35, 1990
26 Fenton MJ, "LPS-binding proteins and receptors" 64 : 25-32, 1998
27 Watanabe J,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α-glucosidase inhibitors from Tochu-cha" 61 : 177-178, 1997
28 Ahn KS, "Immunostimulating components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ai" 27 : 254-261, 1996
29 Wang Z, "High expression of PRL-3 can promote growth of gastric cancer and exhibits a poor prognostic impact on patients" 16 : 208-219, 2009
30 Oh SH,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diet on lipid metabolism, alcohol metabolism and liver function of rat administered with chronic ethanol" 42 : 29-33, 1999
31 Ahn KS, "Decursina cytotoxic agent and protein kinase c activator from the root of Angelica gigas" 62 : 7-9, 1995
32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181 : 1198-1201, 1958
33 Yongfen Ma, "Anti-inflammatory Activities of Coumarins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Nakai on LPS-stimulated RAW 264.7 Cells" 한국식품영양과학회 14 (14): 179-187, 2009
34 Yim D, "A novel anticancer agent, decursin, induces G(1) arrest and apoptosis in human prostate carcinoma cells" AMER ASSOC CANCER RESEARCH 65 : 1035-1044, 2005
β-Carotene의 섭취가 당뇨 유도 흰쥐의 간조직 항산화효소 활성과 Glutathione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학교급식 영양(교)사의 메뉴평가에 대한 인식과 시행 현황
하수오와 백하수오의 에탄올 추출물에 의한 B16/F10 Melanoma 세포주의 멜라닌 생성 억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4-06-2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영문명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4-04-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식품영양과학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영문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2-07-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3 | 1.03 | 1.1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8 | 1.2 | 1.993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