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분만환자와 수술 후 환자에서의 배변조영술과 음부신경 근전도술을 이용한 배변 변화의 비교 = The comparison of the defecation physiology between postpartum and postoperative women by defecogram and pudendal nerve terminal motor lat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615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분만환자와 수술 후 환자에서의 배변의 생리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7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인하대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분만 및 수술한 환자 31명(부인과 ...

      목적: 분만환자와 수술 후 환자에서의 배변의 생리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7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인하대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분만 및 수술한 환자 31명(부인과 군 8명, 제왕절개 군 9명, 정상분만 군 14명)을 대상으로, 배변조영술과 근전도술로 외항문괄약근의 수축 잠복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배변조영술에서는 오직 배변을 참을 때의 항문직장각만이 정상분만 군에서 제왕절개 군이나 부인과 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으로 나왔고(96.0도, 72.3도, 74.9도, p value<0.01), 안정 상태와 배변시의 각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외항문괄약근의 수축 잠복기는 3 군간에 좌·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결론: 우리는 음부 신경총이 분만 과정에서 손상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치골직장근에 대한 조절능력이 저하되고, 이로서 항문직장각이 배변을 참을 때 다른 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defecation physiology between postpartum and postoperative women. Methods: Between July 1998 to April 1999, we performed defecogram and pudendal nerve motor latency to 31 women, who were 8 postoperative wome...

      Objectiv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defecation physiology between postpartum and postoperative women. Methods: Between July 1998 to April 1999, we performed defecogram and pudendal nerve motor latency to 31 women, who were 8 postoperative women, 9 post cesarean-section state women, and 14 normal vaginal delivery-state women. Results: According to the defecogram results, only squeezing angles of the anorectal ang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96.0 vs 72.3, 74.9 degree) in normal vaginal delivery-state women compared to post cesarean-section state and postoperative women, but rest and evacuation angles were not. And to pudendal nerve latenc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pudendal plexus was damaged during labor, therefore its ability to control puborectalis muscle was damaged. So, the anorectal angles of squeezing of postpartum wom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post cesarean section women or postoperative wome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