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동질성 은닉 마코프 모형을 적용한 가뭄특성의 확률론적 평가 = Probabilistic Assessment of Drought Characteristics based on Homogeneous Hidden Markov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628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과 더불어 가뭄평가를 위한 다양한 기준이 개발되고 있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시작, 강도 및 종료 시점을 정의할 경우, 일반적으로 특정 기준값(threshold)에 근거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실제 가뭄을 평가하는데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뭄지수 기반의 가뭄판단 시 적용되어져 왔던 특정한 기준값에 근거한 해석이 아닌, 기상학적 가뭄발생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월강수량 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은닉 마코프 모형(Hidden Markov Model, HMM) 기반의 확률론적 가뭄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HMM 기반의 확률론적 가뭄해석기법은 기존의 다양한 가뭄지수를 적용한 가뭄해석과 비교하여 기상학적 측면에서의 가뭄판단의 명확한 기준 제시 및 가뭄발생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어 체계적으로 불확실성을 감안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번역하기

      현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과 더불어 가뭄평가를 위한 다양한 기준이 개발되고 있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시작, 강도 및 종료 시점을 정의할 경우, 일반적으로 특...

      현재 국내외적으로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과 더불어 가뭄평가를 위한 다양한 기준이 개발되고 있다. 가뭄지수를 이용하여 가뭄의 시작, 강도 및 종료 시점을 정의할 경우, 일반적으로 특정 기준값(threshold)에 근거한 해석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는 실제 가뭄을 평가하는데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가뭄지수 기반의 가뭄판단 시 적용되어져 왔던 특정한 기준값에 근거한 해석이 아닌, 기상학적 가뭄발생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월강수량 자료에 내재되어 있는 특징을 최대한 활용하고자 은닉 마코프 모형(Hidden Markov Model, HMM) 기반의 확률론적 가뭄해석기법을 제안하였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HMM 기반의 확률론적 가뭄해석기법은 기존의 다양한 가뭄지수를 적용한 가뭄해석과 비교하여 기상학적 측면에서의 가뭄판단의 명확한 기준 제시 및 가뭄발생의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어 체계적으로 불확실성을 감안한 해석이 가능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현한, "동질성 Hidden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일강수량 모의기법 개발" 대한토목학회 33 (33): 1861-1870, 2013

      2 권진주, "가뭄심도 분류기준의 개선방안 제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95-204, 2013

      3 Loaiciga, H., "Stochastic renewal model of low-flow streamflow sequences" 10 (10): 65-85, 1996

      4 Sen, Z,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logic critical droughts" 106 (106): 99-115, 1980

      5 Mallya, G., "Probabilistic assessment of drought characteristics using hidden markov model" 18 (18): 2013

      6 Dracup, J. A., "On the definition of droughts" 16 (16): 297-302, 1980

      7 Yevjevich, V., "O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Colorado State University 4-18, 1967

      8 Matsuyama, Y, "Hidden markov model estimation based on alpha-EM algorithm: Discrete and continuous alpha-HMMs" 7 (7): 808-816, 2011

      9 Steinemann, A., "Drought triggers: A stochastic approach to evaluation" 39 (39): 1217-1234, 2003

      10 Mishra, A. K., "Drought forecasting using stochastic models" 19 (19): 326-339, 2005

      1 권현한, "동질성 Hidden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한 일강수량 모의기법 개발" 대한토목학회 33 (33): 1861-1870, 2013

      2 권진주, "가뭄심도 분류기준의 개선방안 제시" 한국수자원학회 46 (46): 195-204, 2013

      3 Loaiciga, H., "Stochastic renewal model of low-flow streamflow sequences" 10 (10): 65-85, 1996

      4 Sen, Z,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logic critical droughts" 106 (106): 99-115, 1980

      5 Mallya, G., "Probabilistic assessment of drought characteristics using hidden markov model" 18 (18): 2013

      6 Dracup, J. A., "On the definition of droughts" 16 (16): 297-302, 1980

      7 Yevjevich, V., "On objective approach to definitions and investigations of continental hydrologic droughts" Colorado State University 4-18, 1967

      8 Matsuyama, Y, "Hidden markov model estimation based on alpha-EM algorithm: Discrete and continuous alpha-HMMs" 7 (7): 808-816, 2011

      9 Steinemann, A., "Drought triggers: A stochastic approach to evaluation" 39 (39): 1217-1234, 2003

      10 Mishra, A. K., "Drought forecasting using stochastic models" 19 (19): 326-339, 2005

      11 Mishra, A. K., "A review of drought concepts" 391 (391): 2010

      12 Hughes, J. P., "A class of stochastic models for relating synoptic atmospheric patterns to regional hydrologic phenomena" 30 (30): 1535-1546, 199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8 0.35 0.707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