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 우리 사회는 고령화율이 14% 이상의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2018년), 이와 더불어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및 장애도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인지기능저하와 심뇌혈관질환은 ...
연구배경 : 우리 사회는 고령화율이 14% 이상의 고령사회로 진입하였고(2018년), 이와 더불어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및 장애도 급속히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인지기능저하와 심뇌혈관질환은 노화와 연관성이 높은 질환으로서, 심혈관계 질환의 위험인자가 인지기능 저하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왔으나, 관련 개입에 필요한 구체적인 과학적 근거는 부족하므로 노화에 대한 구체적인 위험요인 및 지표 등을 생산할 필요가 있으며, 전향적 추적관찰 연구가 필요하다.
목적 : 기 구축된 농촌 기반 코호트 인프라(6개 지역: 양평, 남원, 고령, 원주, 평창, 강화)를 활용하여 노화 및 노인성 질환에 대한 심층연구를 도입하기 위해 구축 준비 단계부터 최종 추적시기까지 단계별 전략 및 추진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연구내용 및 방법 : 농촌 기반 코호트는 심혈관질환의 발생과 위험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목적을 가진 코호트이자 평균 연령이 70.7세(2019년 현재)의 고령 집단으로써, 노인성 질환 연구를 확대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기 구축 역학 및 검진자료도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농촌 기반 노화 심층연구 구축을 위한 전략 수립을 목적으로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고, 연구진 회의 및 자문회의 등을 충분히 이용하여 국내외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수행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선행 연구 결과 및 체계화된 의사결정 과정을 통하여 조사 대상자를 구체적으로 제안하고, 추가 조사 필요한 항목을 결정하여, 연구기간 및 디자인을 제안하는 바이다. (노화 관련된 주요 질환 결정, 노인 관련 선행 국내외 코호트 연구들로부터 문헌 리뷰, 주요 질환에 대한 주요 위험 요인들을 확인하는 코호트연구의 디자인 제안)
연구결과 : 연구 대상자의 연령 (55-79세)로 하고, 기존 농촌코호트의 2015~2017년에 반복조사로 검진조사를 받았던 연구 대상자 6681명 중 60% 이상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게 될 때 4,000명의 연구대상자를 확보하게 된다. 이를 6개의 농촌 지역에서 기반 조사 후 추적관찰을 2년 간격으로 하여 총 5회의 조사를 계획하였다. 이 때 조사 항목은 인지를 중심으로 추가 조사가 필요한 항목을 중심으로 프로토콜을 구축하였다.
기대효과 : 본 연구 수행을 통하여 실제 기 구축된 농촌코호트 연구대상자 및 조사 결과를 활용할 뿐만 아니라 노화 및 인지기능 관련 조사 항목을 추가하여 고령인구의 만성질환 발생 및 인지기능과의 연관성, 인과관계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농촌 코호트를 심층연구로 확대하기 위해 구축 준비 단계부터 최종 추적시기까지의 단계별 전략 및 추진계획을 마련하여 장기적인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시행착오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