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보급확대는 세계적 트랜드로 우리정부 역시 구매보조금의 지급과 함께 충전인프라의 보급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전기차의 증가는 전력판매의 증가로 이어져 전력수요의 증가가 정...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74624
2019
Korean
학술저널
120-12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기차 보급확대는 세계적 트랜드로 우리정부 역시 구매보조금의 지급과 함께 충전인프라의 보급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전기차의 증가는 전력판매의 증가로 이어져 전력수요의 증가가 정...
전기차 보급확대는 세계적 트랜드로 우리정부 역시 구매보조금의 지급과 함께 충전인프라의 보급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전기차의 증가는 전력판매의 증가로 이어져 전력수요의 증가가 정체되어 있는 시기에 전기차의 보급확대는 전력 유틸리티의 수익을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충전인프라의 구축이 전기차의 증가에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전무하여 전력수요 창출이 수익과 직결됨과 동시에 충전인프라 구축을 담당하고 있는 전력 유틸리티 입장에서는 이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은 전기차 보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와 “공용 충전인프라의 보급이 홈 충전인프라의 보급보다 전기차 보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라는 두 가설을 수립하여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한 결과, 두 가설은 모두 타당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회귀분석은 충전인프라 및 전기차 증가외 유가증가, 가구당 차량수, 전체 차량 수를 각각 독립변수로 설정하는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검증하여 복합적인 환경을 고려하였다. 충전인프라 중 공용 충전인프라의 확충은 전기차 보급확대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공용 충전인프라 확충은 전력 유틸리티의 수익을 증가시키는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능동형배전망 구현을 위한 API 기반의 배전계통 모의운영 플랫폼 구축
A study on modeling using big data and deep learning method for failure diagnosis of system
재생에너지의 잉여전력을 활용한 P2G(Power To Gas) 기술 연구
스마트시티 에너지 플랫폼 및 공통정보모델 표준화에 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