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의 사례관리자 경험 =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the housing vulnerable group living in public low-income housing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71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residents of low - income housing. The importance of the house for the vulnerable residents with homelessness is absolute, and case management that supports them to live as residents in the community is also very important. Nevertheless, th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 the supply of affordable hous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nants, and the health, but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in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by listening 10 case managers’s experiences through FGI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se manager’s experience is divided into four themes: 'Dilemma of support for the independent housing life after the facilities’, ‘Role competition between rent management and case management’,‘Lonely practic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the mainstream community support system’, ‘Doubl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poor working environ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case management of rental hous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residents of low - income housing. The importance of the house for the vulnerable residents with homelessness is absolute, and case management that supports them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for residents of low - income housing. The importance of the house for the vulnerable residents with homelessness is absolute, and case management that supports them to live as residents in the community is also very important. Nevertheless, the research so far has focused on the supply of affordable hous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the quality of life of the tenants, and the health, but there was a lack of interest in case management practic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practice by listening 10 case managers’s experiences through FGI interview.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ase manager’s experience is divided into four themes: 'Dilemma of support for the independent housing life after the facilities’, ‘Role competition between rent management and case management’,‘Lonely practice for linkage and cooperation with the mainstream community support system’, ‘Double employment relationship and poor working environment’ respectively. Based on their experiences, this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s for case management of rental hous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숙경험이 있는 주거취약계층에게 집이 가지는 중요성은 절대적이며,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으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례관리 역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이제까지의 연구는 저렴주거 공급, 주거환경, 입주자의 삶의 질과 건강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사례관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자의 FGI를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의 경험은 ‘시설 이후 독립주택생활 지원의 딜레마’, ‘임대료 관리와 사례관리 사이의 역할 경합’, ‘지역 연계와 협력을 향한 외로운 실천’, ‘이중고용관계와 열악한 작업 환경’의 4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숙경험이 있는 주거취약계층에게 집이 가지는 중요성은 절대적이며, 그들이 지...

      본 연구는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에서 수행되는 사례관리자의 실천 경험을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노숙경험이 있는 주거취약계층에게 집이 가지는 중요성은 절대적이며, 그들이 지역사회 내에서 주민으로 살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례관리 역시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이제까지의 연구는 저렴주거 공급, 주거환경, 입주자의 삶의 질과 건강에 집중되어 있었지만 사례관리에 대한 관심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10명의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자의 FGI를 통하여 어떤 경험을 하였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사례관리자의 경험은 ‘시설 이후 독립주택생활 지원의 딜레마’, ‘임대료 관리와 사례관리 사이의 역할 경합’, ‘지역 연계와 협력을 향한 외로운 실천’, ‘이중고용관계와 열악한 작업 환경’의 4가지 주제로 도출되었다. 이들의 경험을 토대로 매입임대주택 사례관리 운영을 위한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하성규, "헌법과 국제인권규범을 통해서 본 주거권과 “적절한 주거(Adequate housing)” 확보 방안"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321-351, 2010

      2 이영아,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45-56, 2015

      3 남기철, "한국의 노숙인복지와 주거지원"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1) : 121-159, 2011

      4 김성재, "포커스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5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규모 및 특성의 변화(2005-2011)"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215-244, 2014

      6 박정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7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8 김선숙,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가 아동방임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181-195, 2013

      9 하창우, "지역사회 사례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 경기남부권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5

      10 남원석, "주거취약계층의 개념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21 (21): 47-71, 2013

      1 하성규, "헌법과 국제인권규범을 통해서 본 주거권과 “적절한 주거(Adequate housing)” 확보 방안" 한국사회정책학회 17 (17): 321-351, 2010

      2 이영아, "한국의 빈곤층 밀집 지역 분포 및 형성 과정 고찰" 한국도시지리학회 18 (18): 45-56, 2015

      3 남기철, "한국의 노숙인복지와 주거지원"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31) : 121-159, 2011

      4 김성재, "포커스그룹 연구방법" 현문사 2000

      5 임세희, "최저주거기준미달가구 규모 및 특성의 변화(2005-2011)" 한국사회보장학회 30 (30): 215-244, 2014

      6 박정민,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과부담을 기준으로 한 빈곤가구의 주거취약 유형화와 관련요인"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01-123, 2015

      7 신경림, "질적 연구 방법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8 김선숙, "지역아동센터의 사례관리가 아동방임 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181-195, 2013

      9 하창우, "지역사회 사례관리자의 직무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 경기남부권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15

      10 남원석, "주거취약계층의 개념 및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주택학회 21 (21): 47-71, 2013

      11 서종균, "주거취약계층 전국실태조사" 보건복지부 2011

      12 이재웅, "주거취약계층 매입임대주택 입주민의 주거비 부담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사회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153-177, 2015

      13 김다윤, "주거지 상업화 젠트리피케이션이 빈곤밀집지역에 끼치는 영향 - 동자동 쪽방촌 사례를 중심으로 -" 서울연구원 18 (18): 159-175, 2017

      14 이재웅, "주거빈곤이 매입임대주택 입주민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사회서비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3

      15 박정민, "주거빈곤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종단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7 (67): 137-159, 2015

      16 서정화, "정신질환 및 알코올 문제를 가진 여성노숙인들을 위한 지원주택 사범운영 사례" 19-34, 2017

      17 배은미, "정신장애인의 지원주거 경험 연구"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11 (11): 59-87, 2017

      18 민소영, "정신장애노숙인의 재활시설 퇴소 및 재입소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2 (42): 219-242, 2011

      19 하경희, "정신보건센터에서의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ACT) 기반 사례관리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 21 (21): 89-98, 2012

      20 유병선, "저소득 임차가구의 주거비부담 결정 요인 분석: 전세가구와 월세가구의 차이를 중심으로" 빈곤문제국제개발연구원 26 (26): 1-38, 2017

      21 정순둘, "재가 노인을 위한 사례관리 서비스의 효과성 연구:팀접근 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회 54 : 273-294, 2003

      22 장미란, "의료급여사례관리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23 : 113-140, 2010

      23 송명경, "의료급여 과다이용자의 중재방법별 접근횟수에 따른 사례관리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5 (15): 259-269, 2017

      24 나은경, "알코올사용장애가 있는 숙고 전 단계 쪽방 노숙인에서 Rapport 형성을 강조한 통합사례관리 접근법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중독정신의학회 21 (21): 22-29, 2017

      25 최성남, "알코올 문제를 지닌 홈리스를 위한 지원주거 운영사례" 35-49, 2017

      26 남경인, "아동, 청소년 주간치료센터 이용과 통합치료 사례관리 효과성에 대한 연구: 동대문아이존 사례를 중심으로" 2015 : 8-21, 2015

      27 남기철, "숨겨진 노숙인으로서 다중이용시설숙박자의 성격"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42) : 140-176, 2014

      28 이상록, "소득계층간 주거지 분리의 거주지역 특성이 저소득빈곤층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 사회과학연구소 28 (28): 277-302, 2012

      29 김미옥, "산재장애인을 위한 임파워먼트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307-332, 2009

      30 최효선, "사례관리자의 직무외상 경험이 사례관리 수행에 미치는 영향 : 외상후 스트레스 및 외상후 성장의 매개효과와 기관 대응조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31 민소영, "사례관리 수행의 영향요인 분석 - 정신보건실천 현장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48) : 223-247, 2014

      32 민소영, "사례관리 수행요소와 지역거주 정신장애인의 소비자 만족도 및 삶의 질 사이의 경로 탐색" 한국사회복지학회 61 (61): 103-127, 2009

      33 서울특별시, "매입임대주택 서비스 제공 매뉴얼" 서울시, 서울노숙인시설협회 2016

      34 박영심, "매입임대 입주 노숙경험자의 독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35 이정숙, "만성정신질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례관리의 효과" 11 : 206-220, 2002

      36 민소영, "만성노숙인을 위한 지원주택의 외국 사례와 시사점: 미국을 중심으로" 55-74, 2017

      37 김준호, "노숙인이라는 사회적 발명품, 그리고 공간의 정치: 서울역 야간노숙금지조치에 대한 비판적 고찰" 20 : 109-121, 2011

      38 서정화, "노숙인의 지역사회 재정착 지원을 위한 매입임대주택 서비스 제공 매뉴얼" 서울특별시, 서울노숙인시설협회 2016

      39 남기철, "노숙인 주거지원 프로그램과 효과" 한국사회정책학회 15 (15): 217-250, 2009

      40 박은철, "노숙 진입서 탈출까지 경로 분석과 정책과제" 서울연구원 2015

      41 김용창, "국제인권법 및 인권규범의 주거권 규정에 대한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514-540, 2013

      42 정재원, "국내최초의 노숙인 지원 주택 행복하우스 32년 운영 결과, 진단과 과제"

      43 홍인옥, "공공임대주택 입주민 사회통합 방안모색" 보건복지부, 한국도시연구소 2003

      44 질 밸런타인, "공간에 비친 사회, 사회를 읽는 공간" 한울 2001

      45 안영진, "고위험군 의료급여 수급권자에 대한 의료급여 사례관리 효과" 한국산학기술학회 16 (16): 5430-5441, 2015

      46 최윤정, "게이트키퍼 (Gatekeeper)를 활용한 우울군 독거노인에 대한 맞춤형 사례관리 효과 -정신건강 사례관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3 (23): 376-385, 2012

      47 Luksyte, A., "Why do oerqualified incumbents deviate Examining multiple mediators" 16 (16): 279-296, 2011

      48 Chinman, M. J., "The case management relationship and outcomes of homeless persons with serious mental illness" 51 (51): 1142-1147, 2000

      49 Pleace, N., "The Finnish Homelessness Strategy: An International Reviews"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5

      50 Kasprow, W., "Outcomes of Critical Time Intervention Case Management of homeless veterans after psychiatric hospitalization" 58 (58): 929-935, 2007

      51 Russell, A., "Housing first and harm reduction: Effective models for substance abuse treatment with individuals who are homeless" 10 : 63-69, 2010

      52 Vet, R., "Effectiveness of case management for homeless persons : A systematic review" 103 (103): 13-26, 2013

      53 Stergiopoulos V, "Effectiveness of Housing First with Intensive Case Management in an Ethnically Diverse Sample of Homeless Adults with Mental Illnes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10 (10): e0130281-, 2015

      54 Sadowski, J. S., "Effect of a housing and case management program on emergency department visits and hospitalizations among chronically ill homeless adults" 301 (301): 1771-1778, 2009

      55 Parkinson, S.D., "Consumer/survivor stories of empowerment and recovery in the context fo supported housing" 7 : 013-118, 2003

      56 Nelson, G.,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he Effectiveness of Housing and Support,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and Intensive Case Management Interventions for Persons With Mental Illness Who Have Been Homeless" 77 (77): 350-361, 2007

      57 정원오, "2013년 서울시 노숙인 실태조사 보고서" 서울특별시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3 1.63 1.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7 1.86 2.07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