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고학자료로 본 斯盧國 六村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375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에서는 문헌자료와 고고학자료를 활용하여 신라 건국신화에 나오는 六村이라는 정치체가 후대에 부회된 허구적인 존재가 아니라 역사적 실체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육촌 허구설의 주요 근거는 신라에서는 4세기 이후 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성을 칭한 것도 6세기 이후이므로 六姓始祖설화가 완성되는 과정에서 六村의 존재가 새로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六村 전승과 六姓시조 설화는 성립시기와 성립 배경이 서로 다른 별개의 전승이다. 六姓 가문의 시조설화는 통일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며, 六村 전승은 훨씬 이전에 형성된 것이다. 건국신화 완성시 이전부터 전해오던 六村 전승에 六姓의 始祖 설화를 부회하여 두 갈래의 전승이 하나로 합쳐졌고 이 때 후대적 요소가 부가되었다.
      육촌의 형성 배경을 뒷받침하는 고고학자료는 기원전 2세기 말이래 경상도 각지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목관묘, 목곽묘로 구성된 대규모 집단묘역이다. 이의 출현은 위만조선 멸망을 전후하여 서북지방에서 일어난 정치, 문화적 파동의 여파로 유발된 연쇄적인 주민 이동의 결과물이며 새로운 정치체 형성을 반영하는 자료이다.
      村과 部의 차이는 공간적인 확대나 양적인 확대만이 아니라 결속 관계의 질적 변화를 동반하는 것이다. 경주에서 울산으로 통하는 동남 방면의 목관묘, 목곽묘자료 유적 중에서 초기 진지촌과 관련지울 수 있는 세력은 구정동 유적과 입실리유적 두 곳이다. 3세기 후반까지 이들을 중심으로 양적 확대 과정이 있었으며 3세기말~4세기 초반에 이르러 구정동 세력의 우세가 뚜렷해진다. 하지만 집단간의 결속 관계는 아직도 병렬적인 구조를 완전히 극복하지 못하였다. 고고학자료상으로 집단간의 결속 관계에 질적인 변화가 분명해지는 것은 적석목곽분 단계이며 촌에서 부로의 전환도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六村은 사로국을 구성한 6개 읍락에 해당하며 이러한 고고학자료의 검토를 통해 진한 소국을 구성한 읍락이라는 정치체의 등장시기, 배경, 그리고 공간적인 분포 상태 등을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에서는 문헌자료와 고고학자료를 활용하여 신라 건국신화에 나오는 六村이라는 정치체가 후대에 부회된 허구적인 존재가 아니라 역사적 실체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육촌 허구설의 주...

      이 글에서는 문헌자료와 고고학자료를 활용하여 신라 건국신화에 나오는 六村이라는 정치체가 후대에 부회된 허구적인 존재가 아니라 역사적 실체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육촌 허구설의 주요 근거는 신라에서는 4세기 이후 촌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 시작하였고 성을 칭한 것도 6세기 이후이므로 六姓始祖설화가 완성되는 과정에서 六村의 존재가 새로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그러나 六村 전승과 六姓시조 설화는 성립시기와 성립 배경이 서로 다른 별개의 전승이다. 六姓 가문의 시조설화는 통일기 이후에 만들어진 것이며, 六村 전승은 훨씬 이전에 형성된 것이다. 건국신화 완성시 이전부터 전해오던 六村 전승에 六姓의 始祖 설화를 부회하여 두 갈래의 전승이 하나로 합쳐졌고 이 때 후대적 요소가 부가되었다.
      육촌의 형성 배경을 뒷받침하는 고고학자료는 기원전 2세기 말이래 경상도 각지에서 새로이 등장하는 목관묘, 목곽묘로 구성된 대규모 집단묘역이다. 이의 출현은 위만조선 멸망을 전후하여 서북지방에서 일어난 정치, 문화적 파동의 여파로 유발된 연쇄적인 주민 이동의 결과물이며 새로운 정치체 형성을 반영하는 자료이다.
      村과 部의 차이는 공간적인 확대나 양적인 확대만이 아니라 결속 관계의 질적 변화를 동반하는 것이다. 경주에서 울산으로 통하는 동남 방면의 목관묘, 목곽묘자료 유적 중에서 초기 진지촌과 관련지울 수 있는 세력은 구정동 유적과 입실리유적 두 곳이다. 3세기 후반까지 이들을 중심으로 양적 확대 과정이 있었으며 3세기말~4세기 초반에 이르러 구정동 세력의 우세가 뚜렷해진다. 하지만 집단간의 결속 관계는 아직도 병렬적인 구조를 완전히 극복하지 못하였다. 고고학자료상으로 집단간의 결속 관계에 질적인 변화가 분명해지는 것은 적석목곽분 단계이며 촌에서 부로의 전환도 이와 동일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六村은 사로국을 구성한 6개 읍락에 해당하며 이러한 고고학자료의 검토를 통해 진한 소국을 구성한 읍락이라는 정치체의 등장시기, 배경, 그리고 공간적인 분포 상태 등을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mythologies say that Silla had been established from the unification of ‘six-chon’ (six village groupings), and the chiefs from these groupings, in later period, became the six founders of Silla. Therefore, studying Saro's ‘six-chon’ is essential to understand Silla's early stage of growth including the formation of Saro and its development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pport the existence of ‘six-chon’ that once had constituted Saro. Examining these six village groupings is important because it not only shed light on Silla's early history, but it also explains the formative background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litical entities(Eup-rak) constituting Samhan's small states.
      Examining archeological materials and literary records, the author, i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litical entities called 'six chon,' as appeared in the mythology of Silla's formation, are not fictional (or imaginative) substances of the later generations. The author claims that they existed in real and should be seen as historical substances. Some arguments against disapproving the existence of ‘six-chon’ are mainly based on the logic that the story of ‘six-chon’ had been made during the process of perfecting the legend of six-clan founders of Silla,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usage of the term ‘chon’ (grouping) was initiated after the fourth century in Silla, while the term ‘sung’ (family name) appeared after the sixth century.
      However, the legend of six-family name (6姓) founders was not established until the Silla Unification; whereas the transmission of the mythology of ‘six-chon’ appeared much prior to the Unification of Silla. These suggest that the two legends are distinct to each other. When Silla's founding legend had been completed, the story on ‘six-chon’ from prior period was manipulated, forged into the analogy of the six clan founders of Silla. During this process, the two distinct stories were combined, and substances from post-generational influence were added to the transmitted story of ‘six-chon’. Therefore, it is hard to approve the argument that ‘six-chon’ are fictional entities.
      Next,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s to reveal the formative background of ‘six-chon’ by analyzing archeological data. After the late second century B.C. in Kyeongsang Province, agglomeration of wood coffin tombs have existed in large-scale. Such archeological data suggest that there had been rapid population growth within the Kyeongsang Province, and the formation of new polities occurred in large-scale. The wood coffin tombs located in Kyeongju area have the same historical context. In addition, the period of ‘six-chon’ formation in the literary records are identical to the archeological time period of the wood coffin tombs. Archeological data plays an important part in explaining the formative background of ‘six-chon’ of Saro.
      Lastly, by examining archeological materials of the wood coffin tomb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side of Kyeongju area (from Gyeongjoo to Uoolsan), the author attempts to discover the scope and the growth process of Jinji-chon, one of the six village groupings in Saro. Among the tomb remains excavated in Kyeongju area, Gujeong-dong and Ipsi-li are the main political entities constituting Jinji-chon in its early development. Until the late third century, Jinji-chon expanded quantitatively.
      In later period, from the late third century to the early fourth century, Gujeong-dong group obtained superior power to Ipsil-li group. But, Gujeong-dong group had not yet overcome the competing forces within itself, such as Guo-ri group. These circumstances suggest that Gujeong-dong group had not completely overcome the parallel power structure within itself, in spite of the grow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 polities joining from outside.
      According to the archeological rec
      번역하기

      In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mythologies say that Silla had been established from the unification of ‘six-chon’ (six village groupings), and the chiefs from these groupings, in...

      In Samguk sagi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and Samguk 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mythologies say that Silla had been established from the unification of ‘six-chon’ (six village groupings), and the chiefs from these groupings, in later period, became the six founders of Silla. Therefore, studying Saro's ‘six-chon’ is essential to understand Silla's early stage of growth including the formation of Saro and its development process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upport the existence of ‘six-chon’ that once had constituted Saro. Examining these six village groupings is important because it not only shed light on Silla's early history, but it also explains the formative background and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he political entities(Eup-rak) constituting Samhan's small states.
      Examining archeological materials and literary records, the author, i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political entities called 'six chon,' as appeared in the mythology of Silla's formation, are not fictional (or imaginative) substances of the later generations. The author claims that they existed in real and should be seen as historical substances. Some arguments against disapproving the existence of ‘six-chon’ are mainly based on the logic that the story of ‘six-chon’ had been made during the process of perfecting the legend of six-clan founders of Silla, as well as the fact that the usage of the term ‘chon’ (grouping) was initiated after the fourth century in Silla, while the term ‘sung’ (family name) appeared after the sixth century.
      However, the legend of six-family name (6姓) founders was not established until the Silla Unification; whereas the transmission of the mythology of ‘six-chon’ appeared much prior to the Unification of Silla. These suggest that the two legends are distinct to each other. When Silla's founding legend had been completed, the story on ‘six-chon’ from prior period was manipulated, forged into the analogy of the six clan founders of Silla. During this process, the two distinct stories were combined, and substances from post-generational influence were added to the transmitted story of ‘six-chon’. Therefore, it is hard to approve the argument that ‘six-chon’ are fictional entities.
      Next, in this article, the author attempts to reveal the formative background of ‘six-chon’ by analyzing archeological data. After the late second century B.C. in Kyeongsang Province, agglomeration of wood coffin tombs have existed in large-scale. Such archeological data suggest that there had been rapid population growth within the Kyeongsang Province, and the formation of new polities occurred in large-scale. The wood coffin tombs located in Kyeongju area have the same historical context. In addition, the period of ‘six-chon’ formation in the literary records are identical to the archeological time period of the wood coffin tombs. Archeological data plays an important part in explaining the formative background of ‘six-chon’ of Saro.
      Lastly, by examining archeological materials of the wood coffin tombs located in the south-eastern side of Kyeongju area (from Gyeongjoo to Uoolsan), the author attempts to discover the scope and the growth process of Jinji-chon, one of the six village groupings in Saro. Among the tomb remains excavated in Kyeongju area, Gujeong-dong and Ipsi-li are the main political entities constituting Jinji-chon in its early development. Until the late third century, Jinji-chon expanded quantitatively.
      In later period, from the late third century to the early fourth century, Gujeong-dong group obtained superior power to Ipsil-li group. But, Gujeong-dong group had not yet overcome the competing forces within itself, such as Guo-ri group. These circumstances suggest that Gujeong-dong group had not completely overcome the parallel power structure within itself, in spite of the growing collaborative relationship with the polities joining from outside.
      According to the archeological rec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六村에 대한 이해의 방향
      • Ⅲ. 대규모 집단묘역의 형성
      • Ⅳ. 경주 일원의 목관묘ㆍ목곽묘 유적과 六村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六村에 대한 이해의 방향
      • Ⅲ. 대규모 집단묘역의 형성
      • Ⅳ. 경주 일원의 목관묘ㆍ목곽묘 유적과 六村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현혜, "한반도서남부지방 청동기생산활동의 쇠퇴 배경" 40 : 2005

      2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3 서영대, "한국고대 신관념의 사회적 의미" 서울대 1991

      4 이희준, "초기 진ㆍㆍ변한에 대한 고고학적 논의.진ㆍ변한사연구" 2002

      5 장용석, "임당유적 공간 배치에 관한 일고찰.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2000

      6 전덕재, "신라六部 명칭의 어의와 그 위치"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창간) : 1998

      7 신창수, "신라의 왕경" 7 : 2002

      8 전덕재,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1996

      9 이순근, "신라시대 성씨 취득과 그 의미" 서울대 국사학과 6 : 1980

      10 전덕재, "상고기 신라 六部의 성격에 대한 고찰" 12 : 1995

      1 이현혜, "한반도서남부지방 청동기생산활동의 쇠퇴 배경" 40 : 2005

      2 전덕재, "한국고대사회의 왕경인과 지방민"

      3 서영대, "한국고대 신관념의 사회적 의미" 서울대 1991

      4 이희준, "초기 진ㆍㆍ변한에 대한 고고학적 논의.진ㆍ변한사연구" 2002

      5 장용석, "임당유적 공간 배치에 관한 일고찰.임당의 고분과 생활유적" 2000

      6 전덕재, "신라六部 명칭의 어의와 그 위치" 경주대학교 경주문화연구소 (창간) : 1998

      7 신창수, "신라의 왕경" 7 : 2002

      8 전덕재,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1996

      9 이순근, "신라시대 성씨 취득과 그 의미" 서울대 국사학과 6 : 1980

      10 전덕재, "상고기 신라 六部의 성격에 대한 고찰" 12 : 1995

      11 김영민, "삼한후기 진한세력의 성장과정연구" 23 : 2004

      12 이현혜, "삼한사회형성과정연구"

      13 최종규, "삼한고고학연구"

      14 주보돈, "삼국시대의 귀족과 신분제.한국사회발전사론"

      15 권오영, "사로六村의 위치 문제와 수장의 성격" 14 : 1997

      16 이청규, "사로국 형성 전후의 경주" 55 : 2000

      17 이재현, "변ㆍ진한사회의 고고학적연구" 부산대학교 2003

      18 이성주, "목관묘에서 목곽묘로" 14 : 1997

      19 이현혜, "마한의 형성과 전개.백제의 건국과 기원" 2007

      20 전덕재, "니사금시기 신라의 성장과 6부" 21 : 2003

      21 이종서, "나말여초 성씨 사용의 확대와 그 배경" 서울대 국사학과 37 : 1997

      22 이성주, "기원전 1세기대의 진ㆍ변한지역.전환기의 고고학 III"

      23 국립경주박물관, "경주조양동유적I"

      24 국립경주박물관, "경주조양동유적 II"

      25 전덕재, "경주사라리집단의 정치적성격.사로국시기의 경주무덤과 지역집단"

      26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사라리유적 II"

      27 이석범, "경주덕천리유적.계층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28 국립경주박물관, "경주구정동고분"

      29 영남문화재연구원, "경주구어리고분군 I"

      30 전덕재, "경주 사라리고분군 축조집단의 정치적 성격과 그 변천" 56 :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7-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ncient Historical Association -> The Society for Ancient Korean History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9 1.69 1.8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4 1.57 3.463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