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에 관한 국가비교연구 - 한국, 미국, 스웨덴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Rights to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Based o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 has to submit Treaty-Specific Document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year's end. Despite it has the property of social rights, Article 9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classed as civil rights. States party can't report the progressive realization of rights classed as civil rights because the rights must be realized immediately in principle.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articles of domestic laws about the rights to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amework for this study is based on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Keyword : the rights to accessibility,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번역하기

      The Rights to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Based o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

      The Rights to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 Based on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Korea has to submit Treaty-Specific Document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year's end. Despite it has the property of social rights, Article 9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is classed as civil rights. States party can't report the progressive realization of rights classed as civil rights because the rights must be realized immediately in principle. The current research examines articles of domestic laws about the rights to accessibility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amework for this study is based on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Keyword : the rights to accessibility,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에 관한 국가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분석의 준거틀로서 장애인권리협약과 UN은 2009년 장애인권리협약 이행보고서 지침(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을 검토하고 이 중 장애인의 접근권에 한정하여 미국, 스웨덴, 독일의 입법례와 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장애인 접근권과 관련된 11개 법안을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8년에 장애인권리협약에 비준함에 따라 2010년말 이행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시의성을 고려하였다. 장애인권리협약 중 사회권적 속성을 띠나 자유권으로 분류된 권리인 제9조 접근권이다. 자유권으로 분류된 권리는 즉각적 실현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현재 이행완료되었어야 하고, 점진적 실현을 하고 있다고 보고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접근권과 관련한 국내법 조항들을 분석하여 그 실현 여부를 검토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에 관한 국가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분석의 준거틀로서 장애인권리협약과 UN은 2009년 장애인권리협약 이행보고서 지침(Guidelines on Treaty-Specific ...

      본 연구는 장애인 사회보장수급권의 실효성에 관한 국가비교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분석의 준거틀로서 장애인권리협약과 UN은 2009년 장애인권리협약 이행보고서 지침(Guidelines on Treaty-Specific Document to be Submitted by States Parties under Article 35, Paragraph 1,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Persons with Disabilities)을 검토하고 이 중 장애인의 접근권에 한정하여 미국, 스웨덴, 독일의 입법례와 제도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검토를 토대로 우리나라의 장애인 접근권과 관련된 11개 법안을 분석하였다.
      특히 우리나라는 2008년에 장애인권리협약에 비준함에 따라 2010년말 이행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상황이었기 때문에 시의성을 고려하였다. 장애인권리협약 중 사회권적 속성을 띠나 자유권으로 분류된 권리인 제9조 접근권이다. 자유권으로 분류된 권리는 즉각적 실현을 원칙으로 하기 때문에 현재 이행완료되었어야 하고, 점진적 실현을 하고 있다고 보고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장애인의 접근권과 관련한 국내법 조항들을 분석하여 그 실현 여부를 검토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