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장애인 노동자의 건강 생애사 연구 = A Biographical Study on the Health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7310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ealth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hich has not been the subject of policy consideration in both the labor and health domain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course epidemiology. To this end, life histories of seven dwo...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health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which has not been the subject of policy consideration in both the labor and health domains, from the perspective of lifecourse epidemiology. To this end, life histories of seven dworkers with disabiliti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applying Mandelbaum’s (1973) life history methodology.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domain’, the participants faced direct barriers in the labor market or healthcare system. This not only worsened their health, but also contributed to disability discrimination and attitudes that they had to deal with their health problems alone. Second, disability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and the establishment of legislation to promote labor market participation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since the 2010s, was a personal and social ‘turning point’ that changed their attitudes towards disability and work. Finally, despite the deterioration of their health, the participants were able to reorganize their life strategies, recover through work, and maintain homeostasis in their lives. Based on the results, it was recommended that the health care system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be effectively reorganized, that the social care system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 expanded, and that specific support be provided for workers with disabilities who suffer both disability and health problem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2017년 장애인건강권법의 시행 이후 장애인의 건강증진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가 구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노동과 건강 영역 모두에서 정책적 고려 대상이 되지 않았던 장...

      2017년 장애인건강권법의 시행 이후 장애인의 건강증진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가 구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본 연구는 그동안 노동과 건강 영역 모두에서 정책적 고려 대상이 되지 않았던 장애인 노동자의 건강을, 생애과정 역학의 관점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양한 장애를 가진 7명의 장애인 노동자의 생애사를 수집하여, Mandelbaum(1973)의 생애사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삶의 영역'에서 참여자들은 노동시장이나 의료체계에서 물리적, 인식적인 직접적인 장벽과 맞닥뜨렸다. 참여자들이 맞닥뜨린 장벽은 직접 건강을 악화시켰을 뿐 아니라, 장애 차별과 건강 문제를 오롯이 혼자 해결해야 한다는 특정한 태도를 만들어냈다. 둘째, 노동시장에서의 장애 차별, 그리고 2010년대 이전 장애인 노동시장 참여를 증진하는 법제의 부재, 2010년대 이후 지원 법제의 수립은 장애인이 장애와 노동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개인적, 사회적 ‘전환점’이 되었다. 마지막으로, 노동 과정에서 참여자들의 건강은 악화되었지만, 삶의 전략을 재구성하고 노동을 통해 회복하며 삶의 항상성을 유지하고 ‘적응’해 나갔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장애인 건강주치의 제도를 실효성 있게 개편할 것, 장애아동을 위한 사회적 돌봄 체계를 확대할 것, 장애와 건강문제를 동시에 경험하는 장애인 노동자를 위한 구체적인 지원책을 마련할 것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