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이 바뀜에 따른 각 교육 계층의 이슈와 교육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페어클로가 제시한 비판적 담론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530388
2023
Korean
2022 교육과정 ; 고교학점제 ; 언론 ; 담론 ; 질적연구방법 ; 2022 curriculum ; high school credit system ; media ; discourse ;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KCI등재
학술저널
61-103(4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권이 바뀜에 따른 각 교육 계층의 이슈와 교육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페어클로가 제시한 비판적 담론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언...
권이 바뀜에 따른 각 교육 계층의 이슈와 교육적 흐름을 살펴보기 위해 고교학점제와 관련된 언론 보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페어클로가 제시한 비판적 담론 분석의 틀을 활용하여 언론보도에 나타난 고교학점제의 주요 내용과 의미를 분석하였다. 이에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빅카인즈 사이트를 이용하여 대표진보언론인 <한겨례신문>과 대표보수언론인 <조선일보>, 4개 대표방송사 <MBC, KBS, SBS, YTN>를 대상으로 고교학점제 언론보도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는 2021년 7월~12월과 2022년7월~12월로 조건을 두었다. 그 연구 결과로 첫째, 2021년과 2022년로 변화되며 나타난 교육계 사회적 이슈는 코로나19로부터의 정상 수업, 국가 정권의 변화와 보수 교육감의 높아진 비중으로 인한 고교학점제 운영에 관한 것이었다. 이 중 성취도 평가과 절대평가에 대한 논란이 큰 흐름의 중심에 있었다. 둘째, 정권이 바뀌면서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특히 초등학교에서부터 중학교, 고등학교에 거쳐 진로의 연계성이 강조되었다. 셋째, 2021년과 2022년의 각 교육부와 교육청의 입장에서 고교학점제의 시행은 그대로 실시될 것으로 보였다. 넷째, 언론에서는 대중에게 고교학점제에 대한 내용, 진행과정, 비판적 내용, 긍정적인 내용을 모두 소개하고 있었다. 이 연구로 언론이 국민들에게 국가교육정책 알림 역할을 함과 그 내용으로 정권 변화에 따른 교육과정 변화를 동시에 살펴볼 수 있었다. 하지만 공급자 위주의 보도가 이루어질 뿐 학습자 중심에 선 보도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허예지 ; 소경희, "한국, 영국, 뉴질랜드, 일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81-201, 2014
2 김진숙 ; 임유나 ; 이민형 ; 조보경 ; 이광우,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3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춘 책임교육, 고교학점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4 교사노조연맹,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추진, 적극 환영"
5 김도훈, "학령인구 감소 교원 정원감축 논란"
6 홍정표, "폐교 위기 농어촌학교 ‘공동교육 과정’으로 극복"
7 서추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교학점제의 사회적 인식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11-127, 2022
8 조효제 ; 길혜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쟁점 분석" 교육연구소 43 (43): 299-328, 2022
9 박미영, "충북교육청, 고교학점제 핵심 교원 양성"
10 YTN, "초등학교 입학 1년 빨라진다...2025년부터 만 5세 입학 추진"
1 허예지 ; 소경희, "한국, 영국, 뉴질랜드, 일본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 비교" 한국비교교육학회 24 (24): 181-201, 2014
2 김진숙 ; 임유나 ; 이민형 ; 조보경 ; 이광우,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3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춘 책임교육, 고교학점제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4 교사노조연맹,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고교학점제 추진, 적극 환영"
5 김도훈, "학령인구 감소 교원 정원감축 논란"
6 홍정표, "폐교 위기 농어촌학교 ‘공동교육 과정’으로 극복"
7 서추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고교학점제의 사회적 인식변화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111-127, 2022
8 조효제 ; 길혜지,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고교학점제 쟁점 분석" 교육연구소 43 (43): 299-328, 2022
9 박미영, "충북교육청, 고교학점제 핵심 교원 양성"
10 YTN, "초등학교 입학 1년 빨라진다...2025년부터 만 5세 입학 추진"
11 김혜주, "초등도 선택과목 도입 중3 2학기는 진로연계 학기 교육계는 반대, 왜?"
12 김진숙,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연계성에 대한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13 최소희 ; 강진숙, "청소년 사이버불링(Cyberbullying) 보도에 대한 비판적 담론분석(CDA): 보수 및 진보 성향의 언론매체 기사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4 (34): 453-491, 2020
14 신현준, "진로에 맞춰 골라 들어요...미리보는 고교학점제"
15 김지은, "진로 살린 고교학점제? “내신 쉬운 과목 몰리고 뭘할지 몰라 친구 따라”"
16 김계애, "직업계고 학점제 대비 148억 원 들여 시설 개선"
17 이유진, "중학교 자유학년제→자유학기제로 한국사 수업 축소 없던 일로"
18 김민제, "주요 10개 자사고 경쟁률 ‘5년 만에’ 최고치 “새 정부 메시지 영향”"
19 김지은, "조희연 “대선후보들 대입 개혁안 내놔야” 3선 도전은 말아껴"
20 홍지아, "젠더적 시각에서 바라본 한국 언론의 다문화 담론 : 경향, 동아, 조선, 한겨레 기사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0 (10): 644-678, 2010
21 민소영, "제주 모든 고교 내년 ‘학점제 연구 선도학교’ 운영"
22 김광상, "전남 고교학점제 공동교육과정 37과목 시작"
23 신현준, "전교조 "고교 교사 94%, 고교학점제로 업무 늘어""
24 최혜미, "입학사정관의 관점에서 본 공동교육과정의 대입전형 평가 반영 방안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2 (22): 303-320, 2022
25 방성현 ; 이건호, "일간지 기사와 보도자료 프레임 비교를 통한 비구성적 현실 탐색 : 4대강 사업 사례분석" 한국언론학회 57 (57): 163-186, 2013
26 KBS, "인천 고교학점제 가천의대·경인교대 추가…10여 개 대학으로 확산"
27 김은경, "이주호 “고교학점제 난색 표하는 교육감 많지만 예정대로 시행”"
28 이유진, "이주호 “고교 내신, 1학년도 절대평가로 바꾸는 안 검토” 지시"
29 김민제, "윤석열 정부 존치한다는데 인기 식는 자사고 정원 88%만 입학"
30 이유진, "윤 정부 ‘자사고 외고 존치’ 이후 첫 입학전형 발표 경쟁률 오를까"
31 박영하, "울산교육청, 2024년까지 학점제형 학교 조성 완료"
32 김광수, "우리가 짠 ‘핫플’에서 공부하다 누워서 쉬고 버스킹도 하고"
33 신윤정, "여가부, 학교-청소년 시설 연계해 위기 청소년 지원 나서"
34 강주현, "언론 보도에 나타난 가짜뉴스 담론의 속성과 사회적 실천 방향" 한국언론학회 63 (63): 7-64, 2019
35 김창금, "양도 질도 형편없는 학교체육, 고교학점제 땐 더 밀려난다"
36 신현준, "서울시교육청, 대한미용사회중앙회와 취업지원 업무협약"
37 신진욱, "비판적 담론 분석과 비판적·해방적 학문" 비판사회학회 (89) : 10-45, 2011
38 박미영, "만 5세 입학 교원 감축 외고 폐지 충북 교육계 반발"
39 MBC뉴스, "막 내린 진보교육감 전성시대‥교육정책 대변화?"
40 윤태석, "막 내린 진보 교육감 전성시대... 교육 정책도 바뀐다"
41 김민철, "디지털 교육 2배 늘리고 고교는 선택교육과정으로"
42 김대근 ; 조혜선, "대중매체에 재현된 2010년대 한국의 유아교육담론: KBS 드라마 <그녀들의 완벽한 하루>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소 61 (61): 329-340, 2022
43 Fairclough, N, "담화와 사회변화" 경진 출판 2015
44 Gee, J. P, "담론분석입문: 이론과 방법[An Introduction To Discourse Analysis: Theory and Method]" 아카데미 프레스 2017
45 임연기 ; 김혜경 ; 김균희, "농어촌 소규모학교의 화상교실 활용 공동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학습효과 인식 분석" 한국교육공학회 38 (38): 273-296, 2022
46 김은경, "내년공립중고교사, 올해보다488명더뽑는다"
47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 교육과정 논의 본격 착수-「2022 개정 교육과정 추진계획」발표"
48 신현준, "교총, 학생 생활지도법 마련 등 7대 교육현안 해결 촉구"
49 곽수근, "교총 “고교학점제 등 임기말 대못박기 중단을”"
50 신현준, "교총 "고교학점제 국가교육위 중단해야"...대선 후보에 공약 반영 촉구"
51 박영하, "교육청, 학점제형 순회교사제 내년 대폭 확대"
52 신현준, "교육부, 연말까지 고교학점제 개선안 마련...TF팀 내일 첫회의"
53 신현준, "교육부, 고교학점제 정책포럼 개최"
54 장아영, "교육부, 고교 전 학년 절대평가 검토..."특목 자사고에 유리""
55 강현석, "교육과정 쟁점에 기반한 고교 학점제 가능성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25-633, 2018
56 신현준, "교원단체 "고교학점제, 준비 부족한데 몰아붙여""
57 박미영, "교사 대대적 감축 논의 “공교육 정상화 역행”"
58 김지은, "교사 1만2천명 “고교학점제 졸속시행 일단 중단을”"
59 이은지, "과학 수사, 드론, 로봇... 골라듣는 재미가 있다, 인기 만점 고교학점제"
60 이정현, "고교학점제의 함정"
61 김성천, "고교학점제의 쟁점과 과제 분석" 교육비평 (48) : 32-63, 2021
62 이유진, "고교학점제와 정시확대는 ‘따뜻한 아이스커피’처럼 모순"
63 이유진, "고교학점제와 안맞는 정시 위주 대입제도 먼저 개선해야"
64 김삼향, "고교학점제, 어떻게 실천할것인가" 맘에드림 2020
65 "고교학점제 홈페이지"
66 김지은, "고교학점제 취지는 공감하지만 학부모, 교사 입장 갈리는 이유"
67 이경주,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눈 앞’ “교원 시설 등 과제”"
68 조성범 ; 신하영, "고교학점제 연구 경향 분석 -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4 (44): 149-168, 2022
69 박미영, "고교학점제 안착 논의 “지원안 마련해야”"
70 교육부, "고교학점제 법령 개정 방안 연구: 초·중등 교육법 시행령을 중심으로.(CIP 2022-02)" 한국교육개발원 2022
71 이현,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41 : 77-144, 2018
72 박영하, "고교학점제 도입 ‘논란’ 쟁점은 무엇?"
73 곽수근, "고교학점제 느닷없이 2년 앞당겨 2023년부터"
74 김인엽 ; 홍섭근 ; 최문경 ; 권하늬,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교사의 인식 차이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03-1024, 2019
75 박세미, "고교학점제 2년 앞당겨 시행 올해 중2부터 적용한다"
76 박세미, "고교생에 원하는 과목 들으라더니 막상 수강 몰리자 성적순으로 잘라"
77 교육부, "고교교육 혁신 방향을 통한 학점제 추진 단계 제시"
78 김지은, "고교 한국사 수업 102→80시간 축소 방안에 “현대사 못 배운다”"
79 홍후조,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9-724, 2018
80 김경희, "고교 교육 대변화 예고 이주호에게 묻는 입시제도"
81 김종균, "고교 교원 72%,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반대"
82 곽수근, "고교 3년간 국영수 수업 105시간 줄어든다"
83 이지현, "고교 '공동 교육과정' 학생들이 원하는 수업 골라듣게"
84 김현아, "고1 내신 절대평가 여부 2월 발표..."준비 상황 고려""
85 김민제, "개정 한국사에 ‘자유민주주의’ 명기 연구진, 철회 요구"
86 하초희, "강원도교육청, ‘강원교육 비전2030’ 초안 발표"
87 교육플러스, "“한국형 고교학점제는 사이비” 천보선 진보교육 연구소장“추진 중단해야”"
88 박나실, "‘학생맞춤형’ 고교교육과정 실현 가능성 탐색: 교육과정 클러스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4 (34): 49-69, 2016
89 신아일보, "‘진보교육감 시대’ 막 내렸다… 교육정책 변화 예고"
90 전현우, "‘기초학력 향상’ 한 목소리 ‘고교학점제 자사고’ 대립각"
91 김란주 ; 서경혜,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13-138, 2018
92 김도훈, "‘고교학점제 시행 눈앞’ 대학과 협력 강화"
93 이유진, "‘고교학점제 도입’ 시기 저울질하던 이주호 “계획대로”"
94 최진석, "‘경남 고교학점제 박람회’ 내일까지 창원서 열려"
95 김태주, "‘文정부 교육공약’ 고교학점제 2025년 도입... 연말까지 개선안 마련"
96 좋은교사운동, "[토론회결과보도자료] 현장교사. 고교학점제 추진 보완방안을 제안한다"
97 박미영, "[충북] 윤건영 교육감 취임 “새로운 충북 교육 이룰 것”"
98 White, M. D., "Content analysis : A flexible methodology" 55 (55): 22-45, 2006
99 Weber, R. P., "Basic content analysis" Sage 1985
100 박세미, "2025년부터 고교 국 영 수 수업 105시간 줄어든다"
101 교육부,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적용을 위한 고교학점제 단계적 이행 계획(안)"
102 교육부, "2021년을 돌아보며, 올해의 교육 키워드 총정리 특강!"
103 안정현 ; 현경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등학교 음악과 교과서의 학교급간 연계성 연구 -가창영역을 중심으로-" 한국음악교육학회 44 (44): 99-117, 2015
104 신현준, ""새 교육과정 한국사 수업량 축소 불공평"...역사교사들 성명"
『노인과 바다』의 ‘노인-소년’ 관계를 통한 바람직한 교육적 관계 탐색 -마틴 부버의 ‘관계’철학을 중심으로-
경기도 고등학생의 코로나19 전후 국어·영어·수학 학업성취도 변화와 영향요인 분석
IB(International Baccalaureate) 교육과정의 학습맥락이 마을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