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마늘 Oleoresin 제조시 휘발성성분에 관한 추출용매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058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 검출기(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하여 polar(Supelcowax-10™)와 nonpolar capillary column(HP-5)에서 각각 분리, 동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oreoresin 추출을 보면 m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가 가장 peak area가 높았고 그외 acetone, methy acetate, 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비슷하였다. Polar capillary column에서 총 41종이 분류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물질 13종, 황화합물이 11여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6종, alcohol류 2종 분류되었고 그 밖에도 2종의 heterocyclic compound가 각각 확인되었다. Nonpolar capillary column에서는 3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물질이 11종, 황화합물 11여종, acid류 5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3종 그밖에 eugenol 등이 나타났다. Nonpolar보다 polar에서 휘발성성분의 다량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극성이 강한 methanol에서 잘 추출되었지만 마늘의 주요휘발성 성분인 황화합물 즉, 3,3'-thiobis-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는 비극성용매인 methyl acetate와 hexane에서 잘 추출되었다.
      번역하기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

      마늘의 이용성 증진에 관한 기초자료와 제품의 품질 향상에 기여하고자 마늘 oleoresin 제조과정 중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를 알기 위해 휘발성 향기성분을 4가지 용매로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가스크로마토그래피와 질량 분석 검출기(mass selective detector)를 이용하여 polar(Supelcowax-10™)와 nonpolar capillary column(HP-5)에서 각각 분리, 동정하였다. 용매에 따른 oreoresin 추출을 보면 methanol을 사용하여 추출한 경우가 가장 peak area가 높았고 그외 acetone, methy acetate, hexane을 사용한 경우는 비슷하였다. Polar capillary column에서 총 41종이 분류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물질 13종, 황화합물이 11여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6종, alcohol류 2종 분류되었고 그 밖에도 2종의 heterocyclic compound가 각각 확인되었다. Nonpolar capillary column에서는 32종의 향기성분이 동정되었고, pyran 및 그 유도체물질이 11종, 황화합물 11여종, acid류 5종, furan 및 그 유도체들이 3종 그밖에 eugenol 등이 나타났다. Nonpolar보다 polar에서 휘발성성분의 다량 검출되었으며, 대부분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극성이 강한 methanol에서 잘 추출되었지만 마늘의 주요휘발성 성분인 황화합물 즉, 3,3'-thiobis-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는 비극성용매인 methyl acetate와 hexane에서 잘 추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arlic oleoresins were made by extracting with four solvents of methanol, methyl acetate, hexane and acetone from chopped garlic, respectively, and the volatile compounds of each extract were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installed with polar (supelcowax-10™) and nonpolar (HP-5) capillary columns, respectively, and identified by matching mass data of mass selective detector and Kovat's retention index with references. The numbers of the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the garlic oleoresin by polar and nonpolar columns from in garlic oleoresins were 41 and 32, respectively. In polar column, 13 pyrans, 11 sulfur-containing compounds, 6 furans, 2 alcohols and 2 heterocyc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nonpolar column, 11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acids, 3 furans and eugenol were identified. The maj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oleoresins were 3,3'-thiobis-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 The amount of these sulfur-containing compounds isolated from the oleresins were more abundant in polar column than in nonpolar column. The most efficient solvent for extracting volatile compounds of garlic was methanol but the most useful solvent for extracting sulfur-containing compounds was methyl acetate of less polarity.
      번역하기

      Garlic oleoresins were made by extracting with four solvents of methanol, methyl acetate, hexane and acetone from chopped garlic, respectively, and the volatile compounds of each extract were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installed with polar (supel...

      Garlic oleoresins were made by extracting with four solvents of methanol, methyl acetate, hexane and acetone from chopped garlic, respectively, and the volatile compounds of each extract were separated by gas chromatography installed with polar (supelcowax-10™) and nonpolar (HP-5) capillary columns, respectively, and identified by matching mass data of mass selective detector and Kovat's retention index with references. The numbers of the volatile compounds identified the garlic oleoresin by polar and nonpolar columns from in garlic oleoresins were 41 and 32, respectively. In polar column, 13 pyrans, 11 sulfur-containing compounds, 6 furans, 2 alcohols and 2 heterocyc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nonpolar column, 11 sulfur-containing compounds, 5 acids, 3 furans and eugenol were identified. The major sulfur-containing compounds identified from the oleoresins were 3,3'-thiobis-1-propene, methyl 2-propenyl disulfide, dimethyl trisulfide, di-2-propenyl-trisulfide, 2-thiophenecarboxylic acid. The amount of these sulfur-containing compounds isolated from the oleresins were more abundant in polar column than in nonpolar column. The most efficient solvent for extracting volatile compounds of garlic was methanol but the most useful solvent for extracting sulfur-containing compounds was methyl acetate of less polar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Abstract
      • 서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 요약
      • 감사의 글
      • 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