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원조 공여국으로서 다양한 교육 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 에 한국의 발전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정부의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42165
2018
-
711
학술저널
230-232(3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한국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원조 공여국으로서 다양한 교육 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 에 한국의 발전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정부의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
한국 정부는 국제사회에서 원조 공여국으로서 다양한 교육 사업을 통해 개발도상국 에 한국의 발전 경험을 전수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정부의 공적개발원조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 사업에서 한국어 교육은 기술 및 직업 교육의 기초 단계 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정부의 공적개발원조 유관 기관에서는 ODA 사업 수원국으로 한국어 원어민 교사들을 파견하고 있다. 그러나 수원국에 한국어 원어민 교 사를 파견하는 것만으로는 수원국 내 한국어 교육 수요를 충족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 극복을 위해 수원국 현지에서 한국어 교육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들을 (재)교육하여 그들의 역량을 제고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해 볼 만한 가 치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국외 한국어 교사 교육과 관련된 논의는 한국어 원어민 교사 교육에 치중되어 있다. 또한 ODA 사업 수원국 내에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은 재외동 포나 학문 목적 학습자, 한류 기반 학습자 등을 대상으로 하는 기타 지역의 한국어 교육 과는 다른 목적의 학습자들을 대상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담당하는 수원국 내 한국어 교사 교육, 특히 비원어민 교사 교육에 대한 논의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ODA 사업 수원국 내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 사례 검토를 통해 수원국 내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역량과 전문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경기도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일환으로 2014 년부터 2018 년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한국어 스마트 교실 구축 사업> 시행 지역인 몽골의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들의 요구를 조사· 분석하고, 둘째 <몽골 한국 어 스마트 교실 구축 사업> 중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내용과 사업 성과를 검토한 후,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ODA 사업 수원국의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의 역량을 제고하고 전 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향후 ODA 사업의 한국어 교육 관련 정책 수립과 비원어민 한국어 교사 (재)교 육 프로그램 계획 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더 나아가 지구촌 커뮤니티의 공동 번영을 위해 정부가 시행하는 ODA 사업의 효과성 향상을 도모 하고 ODA 사업 수원국의 교육 수준을 질적으로 향상시키며 그들의 자생력을 강화하는 데에 미흡하나마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제2언어 음성 발화의 이해도 분석에 관한 연구: 초급 및 중급 영어 말하기 수준의 한국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초급중국어 학습을 위한 상호작용식 교수법에 관한 연구: 단어학습을 중심으로
ACTFL—Preparing Linguistically and Culturally Proficient Learners for World Citizenshi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