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혜림, "현대 한국어 장음의 실현 양상 및 인식 조사*- 서울‧경기 지역 화자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79-97, 2019
2 안병섭, "한국어의 운율과 음운론" 월인 2010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정문화사 2003
4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5 안의정, "한국어 입말뭉치 전사 방법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6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7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1" 한국문화사 2002
8 서상규,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 한국문화사 2013
9 김선철, "표준 발음 실태 조사 II" 국립국어원 2003
10 최혜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02
1 김혜림, "현대 한국어 장음의 실현 양상 및 인식 조사*- 서울‧경기 지역 화자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79-97, 2019
2 안병섭, "한국어의 운율과 음운론" 월인 2010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정문화사 2003
4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5 안의정, "한국어 입말뭉치 전사 방법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6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7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1" 한국문화사 2002
8 서상규,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 한국문화사 2013
9 김선철, "표준 발음 실태 조사 II" 국립국어원 2003
10 최혜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02
11 박미경, "자유발화의 장음화 실현양상과 기능 연구: 토론·발표발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12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3 이병근, "발화에 있어서의 음장" 국어학회 15 : 11-39, 1986
14 김창섭,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민음사 744-762, 1991
15 김선철, "국어 형용사와 부사의 표현적 장음화 - ≪연세 한국어사전≫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9) : 51-69, 2011
16 전영옥,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 그니까, 근까, 그까’ 비교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74) : 125-152, 2017
17 남기탁, "國語 漢字語 長短音의 發音 樣相" 국어학회 (64) : 35-63, 2012
18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 특수말뭉치 소분과 현대한국어 구어형태 소분석 말뭉치"
19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5
20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6
21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7
22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3
23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2
24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1
25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0
26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