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세종 구어 말뭉치에 기반한 한국어 표현적 장음 연구 = A Study on Expressive Lengthening based on Sejong Korean Spoken Corpu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6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ressive lengthening is the act of increasing the length of speech sounds by speakers to express emotions or state of mind. This study insists that expressive lengthening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lexical meaning emphasis lengthening and topic/focus emphasis lengthen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instances of lengthening to emphasis lexcial meaning in Sejong Korean spoken corpus, and revealed characteristics related to its phonological distributions. As the result, 84 adjectives and 212 adverbs, that can be with lexical meaning emphasis lengthening were extracted and presented. In additi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expressive lengthening mark up of Korean spoken corpus were discussed.
      번역하기

      Expressive lengthening is the act of increasing the length of speech sounds by speakers to express emotions or state of mind. This study insists that expressive lengthening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lexical meaning emphasis lengthening and topic/...

      Expressive lengthening is the act of increasing the length of speech sounds by speakers to express emotions or state of mind. This study insists that expressive lengthening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lexical meaning emphasis lengthening and topic/focus emphasis lengthen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instances of lengthening to emphasis lexcial meaning in Sejong Korean spoken corpus, and revealed characteristics related to its phonological distributions. As the result, 84 adjectives and 212 adverbs, that can be with lexical meaning emphasis lengthening were extracted and presented. In addition,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thods of the expressive lengthening mark up of Korean spoken corpus we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어 실제 발화에 나타난 표현적 장음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1세기 세종계획 구어 형태소분석 말뭉치에 운율 정보의 하나로 부착된 ‘장음/표현적 장음’ 표지가 붙은 어절을 추출하여 언어학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앞선 연구와 용례를 바탕으로, 표현적 장음은 어휘의미 강조 기능의 표현적 장음과 화제/초점 강조 기능의 표현적 장음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전자를 둘러싸고 형용사와 부사에서 그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표현적 장음 정보가 표기된 “연세한국어사전”과 비교해, 어휘의미 강조 표현적 장음이 실현된 형용사 84개와 부사 212개를 새로 추출하여 제시하였으며, 표현적 장음이 실현되는 음절의 위치를 어휘의 음절수 유형별로 기술하였다. 나아가 언어 연구 기반 자료의 관점에서 구어 말뭉치의 장음 표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국어 실제 발화에 나타난 표현적 장음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1세기 세종계획 구어 형태소분석 말뭉치에 운율 정보의 하나로 부착된 ‘장음/표...

      이 연구는 한국어 실제 발화에 나타난 표현적 장음의 실현 양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1세기 세종계획 구어 형태소분석 말뭉치에 운율 정보의 하나로 부착된 ‘장음/표현적 장음’ 표지가 붙은 어절을 추출하여 언어학적으로 분석한다. 우선, 앞선 연구와 용례를 바탕으로, 표현적 장음은 어휘의미 강조 기능의 표현적 장음과 화제/초점 강조 기능의 표현적 장음으로 나눌 수 있다고 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주로 전자를 둘러싸고 형용사와 부사에서 그 실현 양상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표현적 장음 정보가 표기된 “연세한국어사전”과 비교해, 어휘의미 강조 표현적 장음이 실현된 형용사 84개와 부사 212개를 새로 추출하여 제시하였으며, 표현적 장음이 실현되는 음절의 위치를 어휘의 음절수 유형별로 기술하였다. 나아가 언어 연구 기반 자료의 관점에서 구어 말뭉치의 장음 표지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림, "현대 한국어 장음의 실현 양상 및 인식 조사*- 서울‧경기 지역 화자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79-97, 2019

      2 안병섭, "한국어의 운율과 음운론" 월인 2010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정문화사 2003

      4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5 안의정, "한국어 입말뭉치 전사 방법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6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7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1" 한국문화사 2002

      8 서상규,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 한국문화사 2013

      9 김선철, "표준 발음 실태 조사 II" 국립국어원 2003

      10 최혜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02

      1 김혜림, "현대 한국어 장음의 실현 양상 및 인식 조사*- 서울‧경기 지역 화자를 중심으로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5 (15): 79-97, 2019

      2 안병섭, "한국어의 운율과 음운론" 월인 2010

      3 배주채, "한국어의 발음" 삼정문화사 2003

      4 신지영, "한국어의 말소리" 지식과교양 2011

      5 안의정, "한국어 입말뭉치 전사 방법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6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2: 대학생 대화 말뭉치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사 2005

      7 서상규, "한국어 구어 연구 1" 한국문화사 2002

      8 서상규, "한국어 구어 말뭉치 연구" 한국문화사 2013

      9 김선철, "표준 발음 실태 조사 II" 국립국어원 2003

      10 최혜원, "표준 발음 실태 조사" 국립국어원 2002

      11 박미경, "자유발화의 장음화 실현양상과 기능 연구: 토론·발표발화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12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한국어사전" 두산동아 1998

      13 이병근, "발화에 있어서의 음장" 국어학회 15 : 11-39, 1986

      14 김창섭,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민음사 744-762, 1991

      15 김선철, "국어 형용사와 부사의 표현적 장음화 - ≪연세 한국어사전≫을 중심으로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59) : 51-69, 2011

      16 전영옥, "구어 말뭉치에 나타난 ‘그러니까, 그니까, 근까, 그까’ 비교 연구" 한국문학언어학회 (74) : 125-152, 2017

      17 남기탁, "國語 漢字語 長短音의 發音 樣相" 국어학회 (64) : 35-63, 2012

      18 국립국어원, "21세기 세종계획 특수말뭉치 소분과 현대한국어 구어형태 소분석 말뭉치"

      19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5

      20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6

      21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7

      22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3

      23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2

      24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1

      25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0

      26 국립국어원, "21세기 국어 특수자료 구축 연구보고서" 200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