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기영 영화미학 형성기 연구 - 연극 활동과 <양산도>(1955)를 중심으로 - = A Study on the Formative Period of Kim Ki-Young’s Film Aesthetic - Focusing on Theatrical experience and <Yangsando>(195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896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d Kim Ki-young's theatrical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vie, <Yangsando>(1955). Researches on Kim Ki-young have found his problematical elements after <The Housemaid>(1960), so his early activities were barely not recognized. As a result, Kim has gained an unexplainable 'exceptional existence' in Korean film history. This seems to have happened because Kim Ki-young'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have not been specifically reviewed. Kim Ki-young'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are positioned respectively in prehistory and beginning of his fim career. Hence, reviewing Kim’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will provide us that his view toward the world has come from the beginning of artistic activity Kim Ki-young performed at various theater groups during his college years. What's noteworthy is that Kim Ki-young directed Chekhov‘s 「On the highroad」 and Ibsen’s 「Ghost」-both known for its naturalistic tendencies-as expressionism play. 「On the highroad」 and 「Ghost」 depict a human’s general subordination to sexual desire. This common feature is also primary motive of expressionism that has continued in Kim Ki-Young’s film world afterwards.
      Kim Ki-young then expresses the techniques he developed in his theatrical activities in <Yangsando>. It’s not well-known to public but <Yangsando> is adaptation of <Butterfly lovers(Yang-Chuk story)>. Kim, the adaptor of this film, deals with ‘love’ in terms of ‘sexual desire’ by relegating the narrative and teaching themes of the original text. In addition, this film is not presented in the manner of ordinary realism, which is at the point of being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istic form of strict anti-realism.
      Based on hi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the article looked back at Kim's unnoticed spots trying to reconsider Kim’s “exceptional existence” in Korean film history and to find Kim’s true face.
      번역하기

      This article analyzed Kim Ki-young's theatrical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vie, <Yangsando>(1955). Researches on Kim Ki-young have found his problematical elements after <The Housemaid>(1960), so his early activities were bar...

      This article analyzed Kim Ki-young's theatrical activitie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vie, <Yangsando>(1955). Researches on Kim Ki-young have found his problematical elements after <The Housemaid>(1960), so his early activities were barely not recognized. As a result, Kim has gained an unexplainable 'exceptional existence' in Korean film history. This seems to have happened because Kim Ki-young'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have not been specifically reviewed. Kim Ki-young'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are positioned respectively in prehistory and beginning of his fim career. Hence, reviewing Kim’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will provide us that his view toward the world has come from the beginning of artistic activity Kim Ki-young performed at various theater groups during his college years. What's noteworthy is that Kim Ki-young directed Chekhov‘s 「On the highroad」 and Ibsen’s 「Ghost」-both known for its naturalistic tendencies-as expressionism play. 「On the highroad」 and 「Ghost」 depict a human’s general subordination to sexual desire. This common feature is also primary motive of expressionism that has continued in Kim Ki-Young’s film world afterwards.
      Kim Ki-young then expresses the techniques he developed in his theatrical activities in <Yangsando>. It’s not well-known to public but <Yangsando> is adaptation of <Butterfly lovers(Yang-Chuk story)>. Kim, the adaptor of this film, deals with ‘love’ in terms of ‘sexual desire’ by relegating the narrative and teaching themes of the original text. In addition, this film is not presented in the manner of ordinary realism, which is at the point of being correlated with the expressionistic form of strict anti-realism.
      Based on his theatrical activities and <Yangsando>, the article looked back at Kim's unnoticed spots trying to reconsider Kim’s “exceptional existence” in Korean film history and to find Kim’s true fac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김기영의 연극 활동과 영화 <양산도>(1955)를 주목하고 그 의의를 분석하였다. 기왕의 김기영 연구는 <하녀>(1960)에서부터 연출가 김기영의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초기 김기영의 작품은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 결과 김기영은 한국영화사에서 해명되지 않는 ‘신화적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이는 김기영 연극 활동과 <양산도>가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 없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김기영의 연극 활동과 영화 <양산도>는 김기영 영화의 전사(前史)이자, 영화 활동의 시작 지점으로 이 시기에 이미 김기영의 작가의식 및 세계관이 상당부분 구축되어 있었다.
      김기영은 대학시절 여러 극단에서 활동하며 연극을 연출했다. 김기영의 연극 활동에서 주목할 점은 자연주의 경향으로 알려진 작품인 체홉의 <악로>와 입센의 <유령>을 “표현파”적으로 연출했다는 점이다. <악로>와 <유령>을 연출하면서 그는 ‘성욕’에 종속되는 인간을 그리려 했고 이러한 시각은 김기영의 영화로도 이어진다. 영화 <양산도>를 일관하는 연출가의 시각은 욕망, 구체적으로 성욕에 종속되는 인간이다. 「양축설화」를 각색한 <양산도>는 출전의 설화적·교훈적 주제를 욕망의 층위로 강등함으로서, ‘사랑’을 ‘성욕’의 차원에서 다루고 있다. 인간 내면의 욕망, 특히 성욕이라는 문제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영화의 기법도 통상적인 사실주의의 방식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법은 이후 <하녀>와 같은 김기영 특유의 영화 문법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김기영의 초기 영화에 나타난 작가의식과 영화적 표현의 측면을 다시 읽는 과정은 한국영화사에서 김기영이 점하고 있는 ‘예외적 위치’를 재고하고 작가의 본질적 문제의식과 그의 영화적 지향을 읽어내기 위한 첫 과정으로도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김기영의 연극 활동과 영화 <양산도>(1955)를 주목하고 그 의의를 분석하였다. 기왕의 김기영 연구는 <하녀>(1960)에서부터 연출가 김기영의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판단...

      이 글은 김기영의 연극 활동과 영화 <양산도>(1955)를 주목하고 그 의의를 분석하였다. 기왕의 김기영 연구는 <하녀>(1960)에서부터 연출가 김기영의 특성이 나타나기 시작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초기 김기영의 작품은 주목받지 못하였다. 그 결과 김기영은 한국영화사에서 해명되지 않는 ‘신화적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이는 김기영 연극 활동과 <양산도>가 구체적으로 검토된 바 없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김기영의 연극 활동과 영화 <양산도>는 김기영 영화의 전사(前史)이자, 영화 활동의 시작 지점으로 이 시기에 이미 김기영의 작가의식 및 세계관이 상당부분 구축되어 있었다.
      김기영은 대학시절 여러 극단에서 활동하며 연극을 연출했다. 김기영의 연극 활동에서 주목할 점은 자연주의 경향으로 알려진 작품인 체홉의 <악로>와 입센의 <유령>을 “표현파”적으로 연출했다는 점이다. <악로>와 <유령>을 연출하면서 그는 ‘성욕’에 종속되는 인간을 그리려 했고 이러한 시각은 김기영의 영화로도 이어진다. 영화 <양산도>를 일관하는 연출가의 시각은 욕망, 구체적으로 성욕에 종속되는 인간이다. 「양축설화」를 각색한 <양산도>는 출전의 설화적·교훈적 주제를 욕망의 층위로 강등함으로서, ‘사랑’을 ‘성욕’의 차원에서 다루고 있다. 인간 내면의 욕망, 특히 성욕이라는 문제를 드러내는 데 초점을 두었기 때문에 영화의 기법도 통상적인 사실주의의 방식에서 벗어나고 있다. 이러한 기법은 이후 <하녀>와 같은 김기영 특유의 영화 문법으로 이어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김기영의 초기 영화에 나타난 작가의식과 영화적 표현의 측면을 다시 읽는 과정은 한국영화사에서 김기영이 점하고 있는 ‘예외적 위치’를 재고하고 작가의 본질적 문제의식과 그의 영화적 지향을 읽어내기 위한 첫 과정으로도 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효인, "한국의 영화감독 13인" 열린책들 1994

      2 장조청, "한·중 양축설화 비교 연구" 어문연구학회 81 : 97-127, 2014

      3 이효인, "하녀들 봉기하다 – 영화감독 김기영" 하늘아래 2002

      4 피터 게이, "프로이드 Ⅰ" 교양인 2011

      5 J.L.스타이안, "표현주의 연극과 서사극" 현암사 1988

      6 김곡, "투명기계" 갈무리 2018

      7 정한석, "탐닉자의 별자리-1990년대 시네필과 시네필리아의 일면에 관하여" 문학동네 24 (24): 612-639, 2017

      8 안톤 체호프, "체호프 희곡전집" 시공사 2017

      9 "조선일보"

      10 이연호, "전설의 낙인" 한국영상자료원 2007

      1 이효인, "한국의 영화감독 13인" 열린책들 1994

      2 장조청, "한·중 양축설화 비교 연구" 어문연구학회 81 : 97-127, 2014

      3 이효인, "하녀들 봉기하다 – 영화감독 김기영" 하늘아래 2002

      4 피터 게이, "프로이드 Ⅰ" 교양인 2011

      5 J.L.스타이안, "표현주의 연극과 서사극" 현암사 1988

      6 김곡, "투명기계" 갈무리 2018

      7 정한석, "탐닉자의 별자리-1990년대 시네필과 시네필리아의 일면에 관하여" 문학동네 24 (24): 612-639, 2017

      8 안톤 체호프, "체호프 희곡전집" 시공사 2017

      9 "조선일보"

      10 이연호, "전설의 낙인" 한국영상자료원 2007

      11 강창구, "입센의 사회극 유령의 현대성" 한국헤세학회 (14집) : 276-296, 2005

      12 김재석, "일본의 「축지소극장」이 한국 연국에 미친 영향 연구" 한국어문학회 (73) : 287-316, 2001

      13 "일간예술통신"

      14 앙리 베르그송, "웃음" 세계사 1992

      15 "영화천국"

      16 김수남, "영화작가 김기영의 표현주의 작품세계 연구" 한국영화학회 11 : 30-52, 1995

      17 "영화세계"

      18 이영일, "영화개론" 상구문화사 1965

      19 김병욱, "영화감독 김기영"

      20 한상준, "영화 음악의 이해" 한나래 2000

      21 "연합신문"

      22 연세극예술연구회, "연세연극사" 연세극예술연구회 1981

      23 김기영, "양산도"

      24 이소마에 준이치, "상실과 노스탤지어" 문학과지성사 2014

      25 김정일, "사이코 드라마" 살림 2004

      26 "뿌리깊은 나무"

      27 "민중일보"

      28 뱅상 아미엘, "몽타주의 미학" 동문선 2009

      29 허지웅, "망령의 기억 – 1960~80년대 한국공포영화" 한국영상자료원 2010

      30 스테판 코올, "리얼리즘의 역사와 이론" 미래사 1986

      31 "대동신문"

      32 조규찬, "김기영의 시대인식과 영화세계" 충남대학교 2019

      33 김금동, "김기영의 <하녀>에 나타난 장르 연구" 문학과영상학회 7 (7): 37-68, 2006

      34 김재희, "김기영 영화에 나타난 ‘무덤과 제사’ 모티프" 영상예술학회 (19) : 165-188, 2011

      35 김기영, "김기영 시나리오 선집 Ⅰ" 집문당 1997

      36 "국제영화"

      37 유석진, "교육연구 분야의 발달 과정-한국근대정신의 학의 역사적 조명" 서울대학교 출판부 14 (14): 1-35, 1988

      38 "경향신문"

      39 줄리 샌더스, "각색과 전유" 동인 2019

      40 Kim Ki-Young, "Woman Chasing the Butterfly of Death" Mondo macabro 2019

      41 "KINO"

      42 박우성, "<하녀>에서 쥐라는 장치가 수행하는 역할과 위상 -김기영 신화의 비판적 재고를 위한 일고찰-" 한국영화학회 (49) : 61-92, 2011

      43 김수연, "<양축>설화의 국내유입과 <양산백전>에 나타난 소설화 양상" 한국고소설학회 (29) : 405-442, 2010

      44 유지형, "24년간의 대화-김기영 인터뷰 集" 선 200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