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김정은의 정치리더십에 관한 연구 - 터커(Robert C. Tucker)의 기능적 접근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Kim Jong Un’s Political Leadership: Focusing Tucker’s Functional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587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bert C. Tucker, who explores political leadership in terms of functionalism, includes authoritarian or dictatorial leadership in the research category. His functional approach is how the leaders interpret national challenges, which policies they decide in order to settle the challenges and how well they mobilize the political community's support for their decision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s realization, which adopts his approach for scrutinizing and comprehending Kim Jong Un's leadership.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pursued by the Kim Jong-un regime is described as the ‘Byungjin’ policy. His every situation awareness was based on imperialism invasion and he prescribed 'military-first policy' with fortified military and nuclear affairs as a proper and dignified measure for sustaining a national system. ‘Construction of a strong economic state and people’s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specifies ‘Five-year Strategy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problem of the strategy places in strategic focus on the principal of self-help first through public mobilization catch phrasing ‘Chosun Tempo’ and ‘Manlima Spirit.’ In this way, it is impossible for the strategic objective of North Korea. The objective can be effectuated only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the change of the Bungjin policy. It is limitation of Kim Jong Un’s political leadership.
      번역하기

      Robert C. Tucker, who explores political leadership in terms of functionalism, includes authoritarian or dictatorial leadership in the research category. His functional approach is how the leaders interpret national challenges, which policies they dec...

      Robert C. Tucker, who explores political leadership in terms of functionalism, includes authoritarian or dictatorial leadership in the research category. His functional approach is how the leaders interpret national challenges, which policies they decide in order to settle the challenges and how well they mobilize the political community's support for their decisions.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ts realization, which adopts his approach for scrutinizing and comprehending Kim Jong Un's leadership. The national development strategy pursued by the Kim Jong-un regime is described as the ‘Byungjin’ policy. His every situation awareness was based on imperialism invasion and he prescribed 'military-first policy' with fortified military and nuclear affairs as a proper and dignified measure for sustaining a national system. ‘Construction of a strong economic state and people’s economy development strategy’ specifies ‘Five-year Strategy for Economic Development.’ The problem of the strategy places in strategic focus on the principal of self-help first through public mobilization catch phrasing ‘Chosun Tempo’ and ‘Manlima Spirit.’ In this way, it is impossible for the strategic objective of North Korea. The objective can be effectuated only by international cooperation with the change of the Bungjin policy. It is limitation of Kim Jong Un’s political leaders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정치리더십을 기능론적 관점에서 접근한 터커(Robert C. Tucker)는 독재적인 리더십 현상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터커의 기능적 접근은 지도자들이 국가가 당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 진단과 처방, 지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터커의 기능적 분석을 활용하여 김정은의 정치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타진해 보려는 것이다. 김정은 체제에서 내세우고 있는 국가발전전략은 ‘경제건설과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이다. 김정은의 모든 상황진단은 제국주의 침략을 내세웠고, 체제유지를 위해서는 군사와 핵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위용하고 적합하다고 처방을 하였다. 경제건설 문제로 제시된 것이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이다. 문제는 이를 시행하기 위하여 내세우고 있는 것이 ‘조선속도’, ‘만리마정신’ 등 각종 동원전투를 통한 자장력제일주의 전략노선이다. 김정은이 이러한 전략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인가. 병진노선을 포기하는 과감한 정책변화로 국제협력을 끌어들이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이것이 김정은의 정치리더십의 한계이다.
      번역하기

      정치리더십을 기능론적 관점에서 접근한 터커(Robert C. Tucker)는 독재적인 리더십 현상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터커의 기능적 접근은 지도자들이 국가가 당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 진단과 ...

      정치리더십을 기능론적 관점에서 접근한 터커(Robert C. Tucker)는 독재적인 리더십 현상도 연구대상에 포함시켰다. 터커의 기능적 접근은 지도자들이 국가가 당면한 문제 상황에 대한 진단과 처방, 지지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터커의 기능적 분석을 활용하여 김정은의 정치리더십이 어떻게 발휘되고 있는가를 규명하고 타진해 보려는 것이다. 김정은 체제에서 내세우고 있는 국가발전전략은 ‘경제건설과 핵무력 건설 병진노선’이다. 김정은의 모든 상황진단은 제국주의 침략을 내세웠고, 체제유지를 위해서는 군사와 핵을 강화하는 것이 가장 위용하고 적합하다고 처방을 하였다. 경제건설 문제로 제시된 것이 국가경제발전 5개년 전략이다. 문제는 이를 시행하기 위하여 내세우고 있는 것이 ‘조선속도’, ‘만리마정신’ 등 각종 동원전투를 통한 자장력제일주의 전략노선이다. 김정은이 이러한 전략으로 목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인가. 병진노선을 포기하는 과감한 정책변화로 국제협력을 끌어들이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 이것이 김정은의 정치리더십의 한계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경환, "한반도분단체제의 성격과 통일전략의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99-125, 2014

      2 "중앙일보"

      3 리진규, "주체의 정치론" 구월서방 1988

      4 "조선말대사전 2" 사회과학출판사 2007

      5 강명흡,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의 기본정신" 사회과학출판사 (2) : 2016

      6 류길재, "조선노동당 7차 당 대회를 계기로 본 김정은 정권의 통치전략" 통일연구원 2 (2): 2016

      7 리성환, "조국번영의 위대한 기치 김정일애국주의" 사회과학출판사 2013

      8 남광규, "제2장 평화통일을 위한 북한의 규범적 변화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45-75, 2014

      9 심영길, "자발적 복종" 생각정원 2015

      10 류영철, "자강력제일주의는 경제강국건설의 성과를 담보하는 근본방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2016

      1 정경환, "한반도분단체제의 성격과 통일전략의 방향"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99-125, 2014

      2 "중앙일보"

      3 리진규, "주체의 정치론" 구월서방 1988

      4 "조선말대사전 2" 사회과학출판사 2007

      5 강명흡,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의 기본정신" 사회과학출판사 (2) : 2016

      6 류길재, "조선노동당 7차 당 대회를 계기로 본 김정은 정권의 통치전략" 통일연구원 2 (2): 2016

      7 리성환, "조국번영의 위대한 기치 김정일애국주의" 사회과학출판사 2013

      8 남광규, "제2장 평화통일을 위한 북한의 규범적 변화 과제" 한국통일전략학회 14 (14): 45-75, 2014

      9 심영길, "자발적 복종" 생각정원 2015

      10 류영철, "자강력제일주의는 경제강국건설의 성과를 담보하는 근본방도" 과학백과사전출판사 (3) : 2016

      11 "위인 김정일" 외국문출판사 2012

      12 "선군-김정일정치" 외국문출판사 2012

      13 "북한지식사전"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6

      14 전재성, "북한의 핵능력 고도화와 대북 경제제재 심화에 따른 동북아 국제관계 변화" 통일연구원 25 (25): 1-24, 2016

      15 김창희, "북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분석" 사회과학연구원 한국정치연구소 22 (22): 187-212, 2013

      16 김계동, "북한의 대외정책과 외교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명인문화사 2015

      17 김군태, "북한의 강제된 건설동원과 범죄의 일상 -개인의 욕망과 공포의 발현-" 북한학연구소 8 (8): 383-404, 2012

      18 김창희, "북한 로동당 제7차 대회 경제정책의 분석과 평가" 한국동북아학회 21 (21): 113-133, 2016

      19 서유석, "북한 돌격대조직의 구조와 역할전망" 북한연구소 41 (41): 145-176, 2016

      20 "로동신문"

      21 장대성, "독재자와 시장경제: 북한 현대화를 위한 리더십" 한울아카데미 2015

      22 정성장, "김정은의 정치 리더십, In 김정은 리더십 연구" 세종연구소 2017

      23 임을출, "김정은의 경제 리더십, In 김정은 리더십 연구" 세종연구소 2017

      24 이무철, "김정은의 ‘공포정치’와 통치리더십" 통일부 통일교육원 2016

      25 이지수, "김정은은 과연「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상장할까?"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191-223, 2013

      26 김갑식, "김정은시대의 정치와 외교" 한울아카데미 2014

      27 조동호, "김정은시대의 경제와 사회: 국가와 시장의 새로운 관계" 한울아카데미 2014

      28 김창희, "김정은 정치의 프레임: 체제‧이념‧승계‧시장‧핵" 법문사 2016

      29 전성훈, "김정은 정권의 경제·핵무력 병진노선과 ‘4.1핵보유 법령’"

      30 김창희, "김정은 유일영도체계의 확립과정과 함의" 한국동북아학회 19 (19): 179-196, 2014

      31 백학순, "김정은 리더십 연구" 세종연구소 2017

      32 정경환, "국제인권레짐과 북한인권문제 간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통일전략학회 13 (13): 9-36, 2013

      33 양운철, "경제정책의 변화와 전망, In 북한 노동당 제7차 대회 평가와 북한 정세 전망" 세종연구소 2016

      34 리혁, "경제강국건설의 주타격방향인 농업과 경공업을 추켜세우는데서 나타나는 몇가지 문제"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62 (62): 2013

      35 Burns James MacGregor, "Transforming Leadership : A New Pursuit of Happiness" Grove/Atlantic, Inc 2003

      36 Victer Cha, "The Impossible State: North Korea, Past and Future" HarperCollins Publishers 2012

      37 Tucker Robert C., "Politics as Leadership"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1981

      38 Dawson R. E. K. Prewitt, "Political Socialization" Little Brown & Co 1977

      39 Suh Dae-Sook, "Political Leadership in Korea"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76

      40 Kellerman Barbara, "Political Leadership : A Source Book" University of Pittsbrugh Press 1986

      41 Burns James MacGregor, "Leadership" Harper & Row 197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5 1.75 1.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05 1.054 0.5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