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자궁 근종의 동맥색전 치료술 후 임상적 반응에 대한 평가 = Clinical Response of Uterine Embolization for the management of Leiomyom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618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증상이 있는 자궁 근종의 일차적 치료 방법으로써 자궁 동맥 색전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자궁 근종으로 인해 월경 과다, 근종으로 인한 압박 증상이 있...

      목적 : 증상이 있는 자궁 근종의 일차적 치료 방법으로써 자궁 동맥 색전술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및 방법 : 자궁 근종으로 인해 월경 과다, 근종으로 인한 압박 증상이 있는 23명의 환자(나이 분포:27-50세)에게 자궁 동맥 색전술이 시행되었다. 이 치료에 대한 효과와 환자의 만족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동맥 색전술 시행 3개월후에 외래에서 추적하였다.
      결과 : 비정상 출혈이 있었던 18명의 환자중 16명(89%)이 정상적인 월경 주기를 되찾았으며, 근종으로 인한 압박 증상을 호소하던 11명의 환자 가운데, 10명(90%)이 증상의 호전을 보였다. 초음파 검사를 통한 추적 관찰에서 자궁의 크기가 21%, 자궁 근종의 크기가 39% 감소했음을 보여주었다.
      결론 : 자궁 동맥 색전술은 증상이 있는 자궁 근종의 치료에 효과적이며, 근종 절제술이나, 자궁 절제술등의 수술적 치료를 대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o determine of the effectiveness of uterine arterial embolization as a primary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ymptomatic leiomyomas. Materials and Methods : Uterine arterial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23 patients (age range, 27-50 yea...

      Objective : To determine of the effectiveness of uterine arterial embolization as a primary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ymptomatic leiomyomas.
      Materials and Methods : Uterine arterial embolization was performed in 23 patients (age range, 27-50 years) who complaint menorrhagia, bulk-related symptoms(frequency of urination, sensation of pressure, sensation of mass), or both, with leiomyomas. The effectiveness of the therapy was evaluated in the view of symptomatic relief and the patients' acceptance with ultrasonography, 3 months later.
      Results : Sixteen (89%) of 18 patients reported marked improvement in their abnormal bleeding. Ten (90%) of 11 patients with bulk-related symptoms reported marked improvement in these symptoms. Follow-up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showed a mean 21% reduction in uterine size and mean 39% reduction in leiomyoma size.
      Conclusion : Utrine arterial embolization is an effective therapy in the management of symptomatic leiomyomas and may prove to be a valuable alternative to myomectomy, hysterectomy, or other surgical procedures.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3-01-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1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산부인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CI등재
      2010-06-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 대한산부인과학회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Soceity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CI등재후보
      2005-03-22 학술지등록 한글명 : 대한산부인과학회잡지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4 0.04 0.0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06 0.06 0.25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