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설정식의 생애와 문학 연구 = A Study of Sul Chungsik's Life and Litera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98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constructs some aspects of Sul Chungsik by correcting wrongly reputed facts over his life with verifiable references and analyzes his poetry with some clues which show his own vision. As a son of Enlightmented Confusian and a brother of u...

      This paper reconstructs some aspects of Sul Chungsik by correcting wrongly reputed facts over his life with verifiable references and analyzes his poetry with some clues which show his own vision. As a son of Enlightmented Confusian and a brother of upright journalist, he naturally became familiar with ideas of critical intellects and had diverse experience in china, japan, USA. Even though he participated with “the Korean Writers Federation"(Joseon-Munhakga-Dongmaeng) and chose to defect to North Korea, His literature shows somewhat different aspects from that of KAPF. It can be assumed that his participation is expression of his anger against his times or aspiration for salvation of Korean people. He served both a official of US military government and a journalist. This peculiar position makes his remarks or behaviors as a kind of spokesman of the organization noticeable. But we should consider that those were done after defection of key members of the Korean Writers Federation and Joseon Communist party.
      He exposed unparalleled critical attitude and poetic appearance in three books which were publicized during 3 years of Liberation periods. It is known that at the bottom of the unusual character of his poem lies refined knowledge of English Literature. This paper confirms this and suggests that his peculiar ‘Prophetic voice’ is related with Afro-American Literature which it is assumed to be translated by him. After he could not continue left-wing literature movement for establishments of separated governments, he has to consume literature desire by writing books under a false name or absorbing himself with translating. This failure of the intellect writer with critical power and literary ability by turbulence of the War and Separation also shows the misfortune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is paper the focus was put on historical facts of his life. Discussion over the character of his text will be taken in next pap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성장 배경과 수학 과정
      • 3. 해방 이후의 활동과 창작
      • 4. 민족적 양심의 절대화
      • 〈국문초록〉
      • 1. 서론
      • 2. 성장 배경과 수학 과정
      • 3. 해방 이후의 활동과 창작
      • 4. 민족적 양심의 절대화
      • 5. 예언자적 목소리의 매개-가명과 번역의 가능성
      • 6. 결론
      • 〈참고문헌〉
      • 영문초록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기림, "흑인시의 대두"

      2 김종욱, "흑인문학개관"

      3 "홍명희 설정식 대담기"

      4 김용직, "해방기 한국시문학사" 민음사 1989

      5 최명표, "해방기 배인철의 흑인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1) : 467-489, 2009

      6 김윤식, "해방공간의 시적 현실, In 한국현대문학사론" 한샘 1988

      7 권영민, "한국근대문인대사전" 아세아 문화사 1990

      8 설정식, "한 화가의 최후"

      9 티보 머레이, "한 시인의 추의-설정식의 비극" 1962

      10 윌리엄 셰익스피어, "하므렡" 백양당 1949

      1 김기림, "흑인시의 대두"

      2 김종욱, "흑인문학개관"

      3 "홍명희 설정식 대담기"

      4 김용직, "해방기 한국시문학사" 민음사 1989

      5 최명표, "해방기 배인철의 흑인시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1) : 467-489, 2009

      6 김윤식, "해방공간의 시적 현실, In 한국현대문학사론" 한샘 1988

      7 권영민, "한국근대문인대사전" 아세아 문화사 1990

      8 설정식, "한 화가의 최후"

      9 티보 머레이, "한 시인의 추의-설정식의 비극" 1962

      10 윌리엄 셰익스피어, "하므렡" 백양당 1949

      11 설정식, "프란씨스 두셋"

      12 설정식, "포도" 정음사 1948

      13 설정식, "청춘"

      14 설정식, "중국은 어디로"

      15 설정식, "종" 백양당 1947

      16 설정식, "제신의 분노" 신학사 1948

      17 김은철, "정치적 현실과 시의 대응양식 -설정식의 시세계" 우리문학회 (31) : 265-305, 2010

      18 송기섭, "이념과 체제 선택의 갈등-설정식론" 22 : 1991

      19 설정식, "여름이 가나보다"

      20 정지용, "시집《종》에 대한 것"

      21 박용구, "시낭독으로 본 강한 사람들"

      22 주요한, "소오 설의식" (57) : 1975

      23 김윤식, "소설의 기능과 시의 기능-설정식론, 한국현대소설비판" 일지사 1981

      24 김영철, "설정식의 진보적 세계관, 한국 현대시의 좌표" 건국대학교출판부 2000

      25 김영철, "설정식의 시세계" 1989

      26 티보 머레이, "설정식에 대한 추억, In 카프와 북한문학" 역락 2008

      27 김광균, "설정식씨 시집《포도》를 읽고"

      28 오세영, "설정식론-신이 숨어버린 시대의 시" 423 : 2003

      29 박윤우, "설정식 시에 나타난 현실인식과 서사적 성격, In 운당 구인환 선생 화갑기념 논총" 한샘출판사 1999

      30 하정숙, "설정식 시 연구: 아나키즘적 성격을 중심으로" 영남대 2004

      31 한용국, "설정식 시 연구" 건국대 1996

      32 전미정, "설정식 시 연구" 서강대 1991

      33 유시욱, "설정시론"

      34 강지웅, "설의식의 정치노선과 역사인식에 관한 연구-중간파 지식인에 관한 일 사례연구" 서울대 1993

      35 설정식, "새그릇에 담은 노래"

      36 김기림, "분노의 미학-시집《포도》에 대하여" 4 (4): 1948

      37 이철주, "북의 예술인" 계몽사 1966

      38 상씨(常氏), "복무에의 시《제신의 분노》를 읽고"

      39 윤영천, "배인철의 흑인시에 대하여" 63 : 204-213, 1989

      40 김동석, "민족의 종-설정식 시집을 읽고"

      41 설정식, "물 깃는 저녁"

      42 설정식, "만주국"

      43 "동아일보, 문학, 서울신문, 자유신문, 조선일보, 중앙일보"

      44 설희관, "당신은 하늘의 구름이었습니다, In 아버지의 추억" 따뜻한손 2006

      45 설정식, "단발"

      46 윤석중, "내가 겪은 이십세기"

      47 설희관, "나의 아버지 설정식 시인" (겨울) : 2004

      48 티보 머레이, "기억과 고통, 의심 그리고 희망" 민음사 2006

      49 설정식, "고향"

      50 설정식, "거리에서 들려주는 노래"

      51 김종욱, "강한 사람들" 민교사 1949

      52 설정식, "가을"

      53 정지용, "《포도》에 대하여, 산문" 동지사 1949

      54 강용흘, "《종》을 읽고"

      55 김병덕, "1948년 문화 총결산"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Modern Literature -> The Journal of Modern Korean Literature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7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88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