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다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본 북한 서정시와 문학교육 = North Korean Lyric Poetry and Literary Education Seen from the View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4177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most important virt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olerance and respect for diversity, but discuss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leans towar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multicultural phenomena in Korean society with races and nations alon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comprehend the issue of discrimination against various minority groups in Korean society. The subjects of education also need to include all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It is because multicultural education is for realizing democracy that implements society respecting the dignity of individuals in various minority groups and leading a human life. From this viewpoint, we considered that North Korean lyric poetry would be a meaningful material for finding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be pursued by our education, and examined North Korean lyric poems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Until now, our literary education has assumed a negative view toward the ideological inclina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giv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North Korean literature. In North Korea, however, numerous poems have been written that express personal naive feelings in individuals` daily life since the 1990s. These works can be divided into those expressing emotions permeated with various daily experiences, those expressing the pains of division and fervent desire for reunification, and those revealing passionate love for the national land by describing beautiful natural scenes. Although these poems are non mainstream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y may be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at South Korean learners may embrace `differences`.
      번역하기

      The most important virt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olerance and respect for diversity, but discuss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leans towar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l...

      The most important virt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tolerance and respect for diversity, but discussion on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leans toward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for ethnic minorities. Because it is difficult to explain multicultural phenomena in Korean society with races and nations alone, and multicultural education must comprehend the issue of discrimination against various minority groups in Korean society. The subjects of education also need to include all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society. It is because multicultural education is for realizing democracy that implements society respecting the dignity of individuals in various minority groups and leading a human life. From this viewpoint, we considered that North Korean lyric poetry would be a meaningful material for finding direction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o be pursued by our education, and examined North Korean lyric poems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literary education. Until now, our literary education has assumed a negative view toward the ideological inclination of North Korean literature rather than giving students opportunities to experience North Korean literature. In North Korea, however, numerous poems have been written that express personal naive feelings in individuals` daily life since the 1990s. These works can be divided into those expressing emotions permeated with various daily experiences, those expressing the pains of division and fervent desire for reunification, and those revealing passionate love for the national land by describing beautiful natural scenes. Although these poems are non mainstream in North Korean literature, they may be meaningful as a starting 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so that South Korean learners may embrace `dif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남희, "현대시의 서정적 체험 교육 연구" 서울대 2007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의 교육내용 쟁점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대 2008

      5 심영택, "통일 대비 국어 교육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37) : 2000

      6 권오현, "초․중등학교에서의 세계문학 교육:현황 및 제안" 한국헤세학회 10 : 2003

      7 이성천, "주체문학론 이후의 북한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19 (19): 303-328, 2006

      8 오성호, "전후 복구건설기의 북한시 연구" 배달말학회 39 (39): 395-418, 2006

      9 장문강,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19): 195-234, 2008

      10 김미혜, "사회․문화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언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33 : 2005

      1 김남희, "현대시의 서정적 체험 교육 연구" 서울대 2007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의 교육내용 쟁점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대 2008

      5 심영택, "통일 대비 국어 교육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37) : 2000

      6 권오현, "초․중등학교에서의 세계문학 교육:현황 및 제안" 한국헤세학회 10 : 2003

      7 이성천, "주체문학론 이후의 북한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19 (19): 303-328, 2006

      8 오성호, "전후 복구건설기의 북한시 연구" 배달말학회 39 (39): 395-418, 2006

      9 장문강,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19): 195-234, 2008

      10 김미혜, "사회․문화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언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33 : 2005

      11 박승희, "북한시의 서정과 개성 문제" 우리말글학회 35 : 241-270, 2005

      12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2" 청동거울 2002

      13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1999

      14 김경숙, "북한 시의 형성과 전개 과정 연구" 이화여대 2002

      15 이영미, "북한 문학교육의 동향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22 (22): 183-204, 2007

      16 장인실,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7-53, 2006

      17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2000

      18 김대행, "문학교육 틀짜기" 역락 2000

      19 신형기,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in:북한문학" 문학과지성사 2007

      20 정상준,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미국학연구소 24 : 77-93, 2001

      21 박영민, "다문화시대의 국어 교과서 단원 개발을 위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4 (34): 67-84, 2006

      22 윤여탁, "다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 현실과 방법론" 국어교육연구소 22 (22): 7-34, 2008

      23 Banks, James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24 김복영, "다문화 시대의 배려교육과정:사회적 소수를 중심으로" 2008

      25 원진숙, "다문화 시대 국어교육의 역할" 국어교육학회 30 (30): 23-50, 2007

      26 Bouber․Martin, "나와 너" 문예출판사 2001

      27 Bernheimer, Charles,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age of Multiculturalism"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28 박순선, "1990년대 북한의 서정시 전개양상- 『조선문학』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26 (26): 85-107, 2005

      29 "18종 문학 (하) 교과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1.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2 1.22 1.606 0.4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