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남희, "현대시의 서정적 체험 교육 연구" 서울대 2007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의 교육내용 쟁점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대 2008
5 심영택, "통일 대비 국어 교육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37) : 2000
6 권오현, "초․중등학교에서의 세계문학 교육:현황 및 제안" 한국헤세학회 10 : 2003
7 이성천, "주체문학론 이후의 북한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19 (19): 303-328, 2006
8 오성호, "전후 복구건설기의 북한시 연구" 배달말학회 39 (39): 395-418, 2006
9 장문강,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19): 195-234, 2008
10 김미혜, "사회․문화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언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33 : 2005
1 김남희, "현대시의 서정적 체험 교육 연구" 서울대 2007
2 최현, "한국인의 다문화 시티즌십(multicultural citizenship) : 다문화 의식을 중심으로" 제3섹터연구소 5 (5): 147-173, 2007
3 황규호, "한국 다문화교육의 교육내용 쟁점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008
4 양영자, "한국 다문화교육의 개념 정립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탐색" 이화여대 2008
5 심영택, "통일 대비 국어 교육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37) : 2000
6 권오현, "초․중등학교에서의 세계문학 교육:현황 및 제안" 한국헤세학회 10 : 2003
7 이성천, "주체문학론 이후의 북한시 연구" 한민족문화학회 19 (19): 303-328, 2006
8 오성호, "전후 복구건설기의 북한시 연구" 배달말학회 39 (39): 395-418, 2006
9 장문강, "새터민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 다문화교육 관점을 중심으로 -"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19 (19): 195-234, 2008
10 김미혜, "사회․문화적 문해력 신장을 위한 방언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33 : 2005
11 박승희, "북한시의 서정과 개성 문제" 우리말글학회 35 : 241-270, 2005
12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2" 청동거울 2002
13 김종회, "북한문학의 이해" 청동거울 1999
14 김경숙, "북한 시의 형성과 전개 과정 연구" 이화여대 2002
15 이영미, "북한 문학교육의 동향 고찰" 한국문학교육학회 22 (22): 183-204, 2007
16 장인실, "미국 다문화교육과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학회 24 (24): 27-53, 2006
17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출판부 2000
18 김대행, "문학교육 틀짜기" 역락 2000
19 신형기, "문학과지성사 한국문학선집 1900~2000 in:북한문학" 문학과지성사 2007
20 정상준, "다문화주의를 넘어서" 미국학연구소 24 : 77-93, 2001
21 박영민, "다문화시대의 국어 교과서 단원 개발을 위한 연구" 청람어문교육학회 34 (34): 67-84, 2006
22 윤여탁, "다문화교육으로서의 한국어교육 : 현실과 방법론" 국어교육연구소 22 (22): 7-34, 2008
23 Banks, James A., "다문화교육 입문" 아카데미프레스 2008
24 김복영, "다문화 시대의 배려교육과정:사회적 소수를 중심으로" 2008
25 원진숙, "다문화 시대 국어교육의 역할" 국어교육학회 30 (30): 23-50, 2007
26 Bouber․Martin, "나와 너" 문예출판사 2001
27 Bernheimer, Charles, "Comparative literature in the age of Multiculturalism"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1995
28 박순선, "1990년대 북한의 서정시 전개양상- 『조선문학』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이론학회 26 (26): 85-107, 2005
29 "18종 문학 (하)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