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동 "임청각(臨淸閣)"의 건축 이력과 원형 가구(架構) 추정 -사랑채와 안채를 중심으로- = Construction History of the Old House "IMCHEONGGAK" in Andong and Estimation of its Original Structure -Focused on the 'Inner chamber' and the 'Sarang se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924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mcheong-gak[臨淸閣] was a familial residence constructed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was partially destroyed by a fire during the 1590s war[壬辰倭亂] with the Japanese, and another fire that was caused between 1631 and 1634. The inner chamber[An-chae] and the Sarang section[Sarang-chae] today is the result of a partial reconstruction that took place back in 1626 and again around 1634. The residence also went through some changes because the new Ondol[溫突] heating system had to be applied to the structure. Based upon sections that remain in their original forms, we can presume that the Imcheong-gak residence originally had an inner chamber which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elements: A main structure which was built upon a foundation featuring a Matbae[맞배] roof, two "Ik'rang[翼廊, flank]" sections on the East and West sides of the inner chamber, and a "Haeng'rang[行廊, passage]" structur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structure. Unlike the main structure, other portions of the inner chamber were all built directly upon the ground, and showed multiple stories, with Matbae roofs of their own. We can also assume that the Sarang section in the south would have been a pre-Ondol[溫突] bedroom, with a Board platform[板房] and a Gomi-ceiling[Gomi-banza] fashion.
      번역하기

      Imcheong-gak[臨淸閣] was a familial residence constructed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was partially destroyed by a fire during the 1590s war[壬辰倭亂] with the Japanese, and another fire that was caused between 1631 and 1...

      Imcheong-gak[臨淸閣] was a familial residence constructed in the early half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It was partially destroyed by a fire during the 1590s war[壬辰倭亂] with the Japanese, and another fire that was caused between 1631 and 1634. The inner chamber[An-chae] and the Sarang section[Sarang-chae] today is the result of a partial reconstruction that took place back in 1626 and again around 1634. The residence also went through some changes because the new Ondol[溫突] heating system had to be applied to the structure. Based upon sections that remain in their original forms, we can presume that the Imcheong-gak residence originally had an inner chamber which was composed of the following elements: A main structure which was built upon a foundation featuring a Matbae[맞배] roof, two "Ik'rang[翼廊, flank]" sections on the East and West sides of the inner chamber, and a "Haeng'rang[行廊, passage]" structur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main structure. Unlike the main structure, other portions of the inner chamber were all built directly upon the ground, and showed multiple stories, with Matbae roofs of their own. We can also assume that the Sarang section in the south would have been a pre-Ondol[溫突] bedroom, with a Board platform[板房] and a Gomi-ceiling[Gomi-banza] fash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종택" 2008

      2 김종헌, "한국 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12 (12): 1996

      3 김일진, "조선시대 15세기 주택의 영쌍창에 관한 연구" 9 (9): 1993

      4 오지현, "안동임청각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20 (20): 2000

      5 장백기, "안동 임청각의 문자형태에 나타난 의미와 택법에 관한 연구" 10 (10): 2001

      6 오지현, "안동 임청각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7 문화재청,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실측조사보고서(본문)" 2001

      8 문화재청,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실측조사보고서(도판)" 2001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문서집성 49: 안동 법흥 고성이씨편" 2000

      10 이종서, "고려~조선전기 상류 주택의 防寒 설비와 炊事 도구"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41-68, 2007

      1 문화재청, "한국의 전통가옥: 법흥동 고성이씨 탑동파종택" 2008

      2 김종헌, "한국 전통주거에 있어서 안채와 사랑채의분화과정에 대한 연구" 12 (12): 1996

      3 김일진, "조선시대 15세기 주택의 영쌍창에 관한 연구" 9 (9): 1993

      4 오지현, "안동임청각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20 (20): 2000

      5 장백기, "안동 임청각의 문자형태에 나타난 의미와 택법에 관한 연구" 10 (10): 2001

      6 오지현, "안동 임청각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7 문화재청,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실측조사보고서(본문)" 2001

      8 문화재청, "안동 임청각 정침 군자정 실측조사보고서(도판)" 2001

      9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고문서집성 49: 안동 법흥 고성이씨편" 2000

      10 이종서, "고려~조선전기 상류 주택의 防寒 설비와 炊事 도구" 한국역사민속학회 (24) : 41-68, 2007

      11 金一鎭, "韓國建築의 영雙窓에 關한 硏究: 鄕校·書院·寺刹建築을 中心으로" 東國大學校 大學院 1989

      12 이종서, "朝鮮前期의 住居用 層樓 建築 傳統" 한국역사민속학회 (22) : 133-158,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 0.2 0.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 0.28 0.744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