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라나는 세대에서의 성평등 의식 수준은 성별에 따른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며, 이것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추세임. 실제 초중등 일부 남학생들 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571392
2020
-
337
학술저널
1-390(39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라나는 세대에서의 성평등 의식 수준은 성별에 따른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며, 이것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추세임. 실제 초중등 일부 남학생들 사...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자라나는 세대에서의 성평등 의식 수준은 성별에 따른 격차가 큰 것으로 확인되며, 이것이 점차 심화되고 있는 추세임. 실제 초중등 일부 남학생들 사이에서 여성비하 내지는 여성혐오 경향이 관찰되기도 함. 향후 성별갈등이 주요 사회갈등으로 대두될 것으로 예견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학교환경은 이와 같은 학생의 의식 변화와 문화에 충분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음. 학교에서의 성평등교육은 학교장 재량에 의존하여 단발성 교육에 그치거나 그마저도 실시되지 못하는 상황이며, 실제 학교에서 성평등교육이 어떻게 운영되고 있는지 실태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고 있음.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본 연구에서는 학생 개인적 차원 및 학교 구조적 차원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적 교육환경을 진단하고, 학교에서의 성평등교육 실태를 전반적으로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성평등한 학생을 길러내기 위한 교육환경 마련 및 초중등 성평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방안을 모색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데 주력하고자 함. 2. 연구내용 ?학교에서의 성평등교육 필요성 검토 -성평등한 학교 교육환경의 중요성 논의 -성평등교육의 효과성 및 교육방법 등 검토 ?성차별적인 학생 문화 및 학교 풍토에 대한 실태 분석 -성별 혐오, 성희롱 등 학생 간 성차별 문화 실태 -학교교육활동 및 교사의 생활지도에서의 성차별 실태 -남녀학생의 성역할, 성평등 의식의 분화 분석 ?학교의 성평등교육 추진 실태 분석 -제도 및 정책에서의 현황 검토 -현장에서의 성평등교육 추진 실태 -성평등교육 운영 및 추진ㅛ상의 애로사항 ?초중등 성평등교육 운영의 한계와 정책적 대안 제시 -초중등 성평등교육의 문제점과 한계 -초중등 성평등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향 제시 -학생의 성평등 의식 제고를 위한 학교환경 구축 방안
목차 (Table of Contents)
미투운동 이후 문화예술계 대학생의 성폭력 피해 현황과 향후 대응과제
북한 여성의 경제적 역량 강화를 위한 남북한 교류협력사업 추진 방안(Ⅰ)
여성폭력 검찰통계 분석(Ⅱ): 디지털 성폭력범죄, 성폭력 무고죄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