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SCIE KCI등재

      심미적 측모 판단에 미치는 성별과 문화의 영향력 =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determining esthetic facial profi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0282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교정치료를 받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중요한 동기중의 하나가 미적 안모의 추구이기 때문에, 미적 안모를 평가하는 기준이 성별이나 환자가 속해있는 문화권에 따라서 달라진다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치료목표의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이나 문화가 매력적인 측모를 판단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4개의 의 평가군으로 하여금 133명의 일반인 사진 중에서 좋은 측모를 가진 사람의 사진을 채점방식에 의해 선택하게 하였고, 좋은 측모 군을 평가하는 경향이나 평가점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4평가 군 사이에 좋은 측모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과randomized block designed ANOVA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4개의 평가 군은 한국에 거주하는 10명의 20대 남자 군과 10명의 20대 여자 군,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남자군, 그리고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여자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선택된 좋은 안모 군의 연조직 형태는 두부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사용하여 선계측, 각계측, 그리고 비율계측을 함으로써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심미적인 측모를 판별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적인 차이 여부를 통계적으로 입증한 결과,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이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통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2.동일한 문화권에 살고있는 한국인에서, 성별의 차이는 심미적 측모의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다른 문화권에서 생활하는 같은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두 집단의 한국인간에 심미적 측모를 선택하는데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미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문화가 더 큰 변수임을 입증하고 있다.
      4.좋은 안모 군과 좋지 않은 안모 군에서의 연조직 분석에서 하안면부 수직 고경의 비율, 안면 돌출도 및 상하순의 전후방적 위치 관계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요 단어 : 심미성, 측모, 성별, 문화)

      번역하기

      교정치료를 받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중요한 동기중의 하나가 미적 안모의 추구이기 때문에, 미적 안모를 평가하는 기준이 성별이나 환자가 속해있는 문화권에 따라서 달라...

      교정치료를 받고자 하는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중요한 동기중의 하나가 미적 안모의 추구이기 때문에, 미적 안모를 평가하는 기준이 성별이나 환자가 속해있는 문화권에 따라서 달라진다면,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치료목표의 설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별이나 문화가 매력적인 측모를 판단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4개의 의 평가군으로 하여금 133명의 일반인 사진 중에서 좋은 측모를 가진 사람의 사진을 채점방식에 의해 선택하게 하였고, 좋은 측모 군을 평가하는 경향이나 평가점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4평가 군 사이에 좋은 측모를 선정하는데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를 Bonferroni's multiple comparison과randomized block designed ANOVA를 통하여 통계적으로 검증하였다.
      4개의 평가 군은 한국에 거주하는 10명의 20대 남자 군과 10명의 20대 여자 군,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남자군, 그리고 10명의 20대 재미한국인 여자 군으로 구성되었으며, 선택된 좋은 안모 군의 연조직 형태는 두부방사선 사진의 투사도를 사용하여 선계측, 각계측, 그리고 비율계측을 함으로써 비교 분석하였고, 이를 통해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심미적인 측모를 판별하는데 있어서의 개인적인 차이 여부를 통계적으로 입증한 결과, 아름다움에 대한 개념이 지극히 주관적이라는 통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사료 된다.
      2.동일한 문화권에 살고있는 한국인에서, 성별의 차이는 심미적 측모의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3.다른 문화권에서 생활하는 같은 민족적 동질성을 가진 두 집단의 한국인간에 심미적 측모를 선택하는데 서로 다른 양상을 보였으며, 이는 미의 기준을 설정하는 데에 있어서 문화가 더 큰 변수임을 입증하고 있다.
      4.좋은 안모 군과 좋지 않은 안모 군에서의 연조직 분석에서 하안면부 수직 고경의 비율, 안면 돌출도 및 상하순의 전후방적 위치 관계에서 특징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
      (주요 단어 : 심미성, 측모, 성별, 문화)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ecause many of patients seeking orthodontic treatment worry about the facial appearance and their chief motiva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facial esthetic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the evaluation of profile esth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y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judging facial profile. 4 different groups were asked to evaluate 133 facial profiles to test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judging good facial profiles.
      Those 4 groups consisted of 10 Korean males, 10 Korean females, 10 Korean American males, and 10 Korean American females. 2 evaluation systems were introduced, absolute and relative. Soft tissues of selected good profile group were analyzed and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
      1. Inter-evaluator difference for judging good facial profi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if there was general agreement for the best profile among 40 raters.
      2. Gender difference under the same cultural environmen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3. The same ethnic group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reference on judging good profile.
      4. Good facial profile group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compare to remaining group in several so tissue measurement which were vertical facial ratio, soft tissue facial convexity, and antero-posterior relative lip position.
      번역하기

      Because many of patients seeking orthodontic treatment worry about the facial appearance and their chief motiva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facial esthetic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the evaluation of pro...

      Because many of patients seeking orthodontic treatment worry about the facial appearance and their chief motivation for orthodontic treatment is facial esthetic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the evaluation of profile esthet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any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judging facial profile. 4 different groups were asked to evaluate 133 facial profiles to test the influence of gender or culture on judging good facial profiles.
      Those 4 groups consisted of 10 Korean males, 10 Korean females, 10 Korean American males, and 10 Korean American females. 2 evaluation systems were introduced, absolute and relative. Soft tissues of selected good profile group were analyzed and statistic analysis was performed. Conclusions were as follows :
      1. Inter-evaluator difference for judging good facial profi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ven if there was general agreement for the best profile among 40 raters.
      2. Gender difference under the same cultural environment wa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3. The same ethnic groups with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t preference on judging good profile.
      4. Good facial profile group had their own characteristics compare to remaining group in several so tissue measurement which were vertical facial ratio, soft tissue facial convexity, and antero-posterior relative lip posi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서론
      • Ⅱ.연구대상 및 방법
      • 가.계측점
      • 나.계측항목(Fig. 2~4)
      • Ⅲ.연구성적
      • Ⅰ.서론
      • Ⅱ.연구대상 및 방법
      • 가.계측점
      • 나.계측항목(Fig. 2~4)
      • Ⅲ.연구성적
      • Ⅳ.총괄 및 고찰
      • Ⅴ.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