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행정서비스 품질 평가척도의 적합성 비교에 관한 연구 - 민원행정서비스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Evaluation of Service Quality Measurement Models in Civil Affairs Administ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738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연구의 현황, 측정 도구 및 방식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서비스 품질 연구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별적인 측정도구의 적합성을 상호 비교함...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연구의 현황, 측정 도구 및 방식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서비스 품질 연구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개별적인 측정도구의 적합성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가장 최적의 품질측정도구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정형화된 서비스 품질 평가모형인 ‘SERVQUAL 방식’, ‘SERVPERF 방식’, ‘비차감방식’의 설문지를 동시에 이용하여 각 모형의 타당성을 경험적으로 비교ㆍ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ERVQUAL 방식, SERVPERF 방식, 비차감 방식의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는 각각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을 통해 세 가지 모두 나름대로 행정서비스 품질을 측정하는 유용한 척도임을 발견하였다. 둘째, 적합성 비교의 경우,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지각 및 고객만족의 수준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SERVQUAL 방식보다는 SERVPERF 방식의 적합성이 높았으며, SERVPERF 방식보다는 비차감 방식이 보다 타당한 것으로 나타나 결국 전체적으로 가장 적합성이 높은 방식은 비차감 방식으로 나타났다. 셋째, 세 가지 서비스 품질 평가척도에 의해 규명된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에 대한 지각은 각각 모두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종합적으로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지각의 수준을 측정한 세 가지 척도 모두 인과관계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행정서비스 부문에서 고객만족을 위한 서비스 품질 관리의 중요성을 다시금 상기시켜 주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idity of three alternative service quality models developed so far. Specifically, the SERVQUAL model suggested by PZB(1988; 1991), the SERVPERF model developed by Cronin and Taylor(1992), and 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validity of three alternative service quality models developed so far. Specifically, the SERVQUAL model suggested by PZB(1988; 1991), the SERVPERF model developed by Cronin and Taylor(1992), and the Non-Difference Score model proposed by Brown, Churchill and Peter(1993) are evaluated for its relevance. Above all, this researcher made an empirical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total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the researcher made a questionnaire survey of people visiting civil affairs offices established at 58 public institutio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through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three models were tested to find that SERVQUAL model, SERVPERF model and Non-Difference Score model had positive effects on total service quality. In addition, each of the three models showed differences in its significance according to its dimension of service quality. Second, the three models were verified to show that SERVQUAL model SERVPERF model and Non-Difference Score mode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three models showed differences in its significance according to its dimension of service satisfaction. Third, that total service quality influences customer satisfaction was demonstrated true. Finally, that Non-Difference Score model is more effective in measuring the quality of Civil administrative service than SERVQUAL and SERVPERF model was tested by way of comparing the three models in validity and reliability, correlation coefficient, predictive feasi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한국어 초록
        Ⅰ. 서론
        Ⅱ. 행정서비스 품질평가 척도에 관한 이론적 쟁점
        Ⅲ. 연구 및 측정설계
        Ⅳ. 연구결과 및 결과의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영어 초록
      • 한국어 초록
        Ⅰ. 서론
        Ⅱ. 행정서비스 품질평가 척도에 관한 이론적 쟁점
        Ⅲ. 연구 및 측정설계
        Ⅳ. 연구결과 및 결과의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영어 초록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