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구분의 타당성 연구 = The Study on Dividing Groups of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Questionnai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2098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how Perfectionism Tendency (PT) and Negative Consequence (NC) that consist of Perfectionism Questionnaire (PQ) are related to the positive/negative,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in regard to dividing groups in functiona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Firs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Q and positive/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the correl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how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striving need factor’,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maladaptive evaluation need factor’, are related to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For thi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ewitt and Flett, 1991), which measured positive/ 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was us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on the achievement goal, for the purpose of pro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As a result, Perfectionism Tendency (P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ich i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P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ower significantly with the positive approach orientation, which is a motivational attribute perfectionism. And, Negative Consequence (NC)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negative and 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In addition, N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oefficient significantly with the negative avoidance-oriented achievement goal and positive approach-oriented achievement goal that are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on the method of dividing groups of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Questionnair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how Perfectionism Tendency (PT) and Negative Consequence (NC) that consist of Perfectionism Questionnaire (PQ) are related to the positive/negative,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mo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how Perfectionism Tendency (PT) and Negative Consequence (NC) that consist of Perfectionism Questionnaire (PQ) are related to the positive/negative,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in regard to dividing groups in functional/ dysfunctional Perfectionism. First, in order to test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Q and positive/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the correla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plore how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striving need factor’,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maladaptive evaluation need factor’, are related to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For thi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Hewitt and Flett, 1991), which measured positive/ negative and adaptive/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was used. Second,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Perfectionism Tendency and Negative Consequence on the achievement goal, for the purpose of probing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and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As a result, Perfectionism Tendency (PT) had a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ich i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P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power significantly with the positive approach orientation, which is a motivational attribute perfectionism. And, Negative Consequence (NC) had positive an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oth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s a negative and mal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and th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s a positive and adaptive tendency in perfectionism. In addition, NC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coefficient significantly with the negative avoidance-oriented achievement goal and positive approach-oriented achievement goal that are the motivational attribute of Perfectionism. From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on the method of dividing groups of functional/dysfunctional Perfectionism in Perfectionism Questionnai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의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에 대한 구분방법, 즉 PQ의 하위척도인 완벽주의 성향(PT)이 높은 집단을 완벽주의 집단으로 보고,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높으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부정적 결과(NC)가 낮으면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나누는 구분방법이 역기능적 집단의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에 이의를 제기하여, PT와 NC가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 그리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과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은 각각 완벽주의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Hewitt와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를 준거로 하여, MPS에서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취욕구 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성’과 ‘부정적 평가염려 요인’인 ‘사회부과 완벽성’이 완벽주의 성향(PT)과 부정적 결과(NC)와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로, PQ에서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 완벽주의 성향을 예측해주는 동기적 속성과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성취목표를 사용하여 완벽주의 성향(PT)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관적으로 완벽주의 성향(PT)은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는 완벽주의의 부정적 성향과 긍정적 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부정적인 회피지향성 성취목표’와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을 구분하는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와 제안이 언급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의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에 대한 구분방법, 즉 PQ의 하위척도인 완벽주의 성향(PT)이 높은 집단을 완벽주의 집단으로 보고, 완벽주의의 부정...

      본 연구에서는 완벽주의 질문지(PQ)에서의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에 대한 구분방법, 즉 PQ의 하위척도인 완벽주의 성향(PT)이 높은 집단을 완벽주의 집단으로 보고,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높으면 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 부정적 결과(NC)가 낮으면 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으로 나누는 구분방법이 역기능적 집단의 적응적으로 기능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 있다는 점에 이의를 제기하여, PT와 NC가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 그리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과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첫째로, 완벽주의의 긍정적/부정적 특성은 각각 완벽주의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다는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Hewitt와 Flett(1991)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를 준거로 하여, MPS에서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취욕구 요인’인 ‘자기지향 완벽성’과 ‘부정적 평가염려 요인’인 ‘사회부과 완벽성’이 완벽주의 성향(PT)과 부정적 결과(NC)와 어떠한 양상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둘째로, PQ에서의 기능/역기능과 관련된 완벽주의 성향을 예측해주는 동기적 속성과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성취목표를 사용하여 완벽주의 성향(PT)과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가 성취목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일관적으로 완벽주의 성향(PT)은 완벽주의의 긍정적 성향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유의미한 설명력을 보였다. 완벽주의의 부정적 결과(NC)는 완벽주의의 부정적 성향과 긍정적 성향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을 보였고, 완벽주의의 동기적 속성으로서 ‘부정적인 회피지향성 성취목표’와 ‘긍정적인 접근지향성 성취목표’ 모두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과 설명력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로부터 PQ에서 기능적/역기능적 완벽주의 집단을 구분하는 방법의 타당성에 대한 논의와 제안이 언급되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6-07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2 2.32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9 2.58 3.685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