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말일제 초 제주 하모리의 호구파악―光武戶籍과 民籍簿의 비교 분석" 53 : 2006
2 "족보의 인구 등재와 부등재―17~19세기 단성지역 한 가계를 대상으로, 전환기의 한국가족―글로벌리제이션과 탈전통ㆍ탈식민 발표문" 2006.11.17.
3 "조선시대 均分相續制에 관한 一硏究―그 변화요인의 역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23, 1983
4 "제주도 하모3리 사무소 소장"
5 "일제하의 가족정책과 관습법형성과정 서울대 법학연구소" -2, 1992
6 "일제의 관습조사와 의의 국역관습조사보고서 한국법제연구원" 1992
7 "일제시대 친족관습의 변화와 조선민사령 개정에 관한 연구" 33 : 1999
8 "일제시기 조선인의 일본국민화 연구―호적제도를 중심으로" 34 : 1999
9 "단성호적대장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10 "단성현호적대장의 여호편제방식과 의미" 한국사연구회 126 : 2004
1 "한말일제 초 제주 하모리의 호구파악―光武戶籍과 民籍簿의 비교 분석" 53 : 2006
2 "족보의 인구 등재와 부등재―17~19세기 단성지역 한 가계를 대상으로, 전환기의 한국가족―글로벌리제이션과 탈전통ㆍ탈식민 발표문" 2006.11.17.
3 "조선시대 均分相續制에 관한 一硏究―그 변화요인의 역사적 성격을 중심으로" -23, 1983
4 "제주도 하모3리 사무소 소장"
5 "일제하의 가족정책과 관습법형성과정 서울대 법학연구소" -2, 1992
6 "일제의 관습조사와 의의 국역관습조사보고서 한국법제연구원" 1992
7 "일제시대 친족관습의 변화와 조선민사령 개정에 관한 연구" 33 : 1999
8 "일제시기 조선인의 일본국민화 연구―호적제도를 중심으로" 34 : 1999
9 "단성호적대장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10 "단성현호적대장의 여호편제방식과 의미" 한국사연구회 126 : 2004
11 李英美, "韓國近代戶籍關聯法規の制定及び改正過程―民籍法を中心に" 學習院大學 東洋文化硏究所 6 : 2004
12 牟田和惠, "近代家族’槪念と日本近代の家族像" 吉川弘文館 2002.6
13 大口勇次郞, "農村における女性相續人" 勁草書房 1995.10
14 "舊習及制度照査委員會決議" 1923
15 "簡易國勢調査에 관한 件" -66, 1925.5.28
16 홍양희, "植民地時期 戶籍制度와 家族制度의 變容" 한국사학회 (79) : 167-205, 2005
17 水野直樹, "植民地支配の基礎硏究―‘植民地住民登錄制度’の成立に關するノト, 朝鮮臺灣における植民地支配の制度機構政策に關する綜合的硏究" 2004
18 최재석, "朝鮮時代 相續制度에 關한 硏究" -5354, 1972
19 "朝鮮前期의 사회변동과 상속제도" -129, 1991
20 黑須里美, "明治戶籍分析歷史人口學―多摩戶籍からみる離家パタンと家族システム" 東洋經濟 2001.11
21 "日帝下 戶主相續慣習法의 定立" 한국법사학회 -9, 1988
22 "日帝下 家族法制의 整備에 따른 傳統的인 家族制度의 歪曲變容 한국전통문화연구 5" 1989
23 "慶尙道丹城縣戶籍大帳"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6
24 J. Smith, "town and city in 'pre-modern' Japan' Household and Family in Past Time"
25 Akira Hayami, "'Size of household in a Japanese county throughout Tokugawa era' Household and Family in Past Time"